• 제목/요약/키워드: 신고전주의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7초

신고전주의 양식의 현대적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in Modern Meaning of the Neo-classicism style)

  • 이은주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0-31
    • /
    • 1999
  • 신고전주의 미학사상은 고대의 고전주의적 유산의 18세기적 특수화다. 신고전주의는 고전주의의 연장이지만 18세기라고 하는 특수한 시대적 환경속에서 당대의 전반적인 요구 -논리화와 과학화-에 부응하고자 시작한 미학적 대처 방안이었다. (중략)

  • PDF

한국 산업화의 이중구조 (A Dualistic Development in Korean Industrialization)

  • 이재민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3호
    • /
    • pp.27-51
    • /
    • 2012
  • 신고전주의 학자들은 한국의 산업화 과정이 '노동잉여' 모델에 따르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 모델은 개발도상국들의 경제발전은 무한한 값 싼 노동력이 제조업 부문으로 이전되면서 진행되고, 따라서 산업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노동집약적 기술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Fei와 Ranis는 일본의 초기 산업화 단계(1887-1915)에서 일본이 노동집약적 기술을 사용하였고 이는 일본의 경제발전을 이끌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산업화 과정이 과연 이 모델에 기인하고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의 검증을 위하여 Kelly와 Williamson이 고안한 신고전주의 이중모델의 기본 틀이 사용되었다. 이 모델 하에서 연산일반균형 (CGE) 방식을 통해 한국 산업화 기간 중 (1965-1992) 추정된 주요 경제변수와 실제 역사적 수치를 비교해 보았다. 검증 결과 두 수치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는바 따라서 한국의 산업화 과정은 시장의 힘에 기초한 비교우위 생성의 결과라는 신고전주의 가설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우에르따의 신고전주의 비극 『라?』에 나타난 대중적 성공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pular Success Factors Shown in Raquel, Huerta's Neoclassical Tragedy)

  • 윤용욱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393-418
    • /
    • 2016
  • 스페인의 18세기 극작가 비센떼 가르시아 델 라 우에르따의 대표작 "라?"은 상연 당시 커다란 흥행 성공과 대중적 인기를 얻은 연극으로, 당시의 주된 미학적 조류였던 신고전주의의 규범을 충실하게 따른 가장 이상적인 극작품으로 여러 학자와 비평가들에 의해 평가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 연극의 대중적 성공을 가능케 한 요인은 삼단일성의 원칙이라든지 희극적 인물의 배제 등과 같은 신고전주의의 외적 규범에 대한 준수에 있었던 게 아니라, 여전히 이전 시대의 바로크 연극적 성향에 열광하고 있었던 당시의 스페인 관객들의 독특한 경향과 기호에 맞도록 그 주제나 내용을 전통극에 맞도록 조화시켰던 데에 있었다. 즉, 당시의 스페인 관객은 자신들 고유의 극적 취향과는 무관하게 이전 시대의 바로크적 연극을 미신과 비이성, 비논리와 무질서로 가득 찬 연극으로 간주하며 이러한 연극에 열광하는 자신들을 일방적으로 계몽하려는 신고전주의자들의 연극을 철저히 외면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신고전주의 비극과 스페인 연극적 전통의 조화를 이루어낸 우에르따의 비극 "라?"은 극적 성공에 대중의 지지와 후원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잘 알려주는 극작품이라 할 수 있겠다. "라?"에 나타난 전통극적 요소로는 크게 명예, 시적 정의, 그리고 사랑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 요소들은 공히 스페인의 바로크 연극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한 극적 코드들인 것이다.

$18\~19$세기 복식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의 미적 가치 (Aesthetic Value of the Neoclassic Style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Fashion)

  • 함연자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125-14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neoclassic style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fashion. Researching into philosophy and aesthetics i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oclassic style in fashion is considered the clarity of form, the utility of function, and the sensuality combined with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larify of form is found in geometric form based on anatomical truth of the human body in relation with rational and scientific thoughts. The utility of function is found in simple and suitable construction considering purely practical purpose of dresses. The sensuality combined with body is found in natural silhouette dress alluding naked body in connection with Rousseau' naturalism. Understanding aesthetic value of the neoclassic style will help to develop fashion designs associated with neoclassical forms.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적 조경양식 특성 -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Dumbarton Oaks)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Neoclassical Style in American Garden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Dumbarton Oaks by Beatrix Farrand -)

  • 이형숙;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9-166
    • /
    • 2014
  • 본 연구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류 조경가인 비트릭스 파란드의 덤바튼 오크의 정원분석을 통하여, 파란드의 작품경향 및 미국 1900년대 초의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덤바튼 오크는 유럽의 고전주의 양식의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닌, 아트 앤 크래프트의 기본철학을 배경으로 미국의 지역적 특성과 주변환경 및 문화에 맞게 해석하고 적용된 성공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덤바튼 오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미국 후기 신고전주의 양식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여러 개의 가든룸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정원공간은 다양한 지면의 높이를 갖는 테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연적 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였다. 둘째, 정형성과 비정형성의 공존, 대칭 및 의도적인 비대칭의 조화이다. 셋째, 식재선택 및 재식방법에 있어서도 유럽 고전주의 양식과 영국의 아트 앤 크래프트 양식이 공존하며, 공간구성 및 형태와 조화되도록 하였다.

20세기 초 모더니즘 패션에 나타난 신고전주의 양식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형식의 명료성을 중심으로-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Modernism)

  • 함연자;김민자
    • 복식
    • /
    • 제56권4호
    • /
    • pp.148-15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modernism. Researching relations in fashion between eighteenth to nineteenth century and twentieth century, the theory of 'linked solution' suggested by Kubler and Broadsky has been acce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early twentieth century fashion, continuity of the neoclassic style is considered as presentation of geometric form based on anatomical truth of the human body and moderation of decoration. Also simple construction to present practical purpose of the dress in honesty were continued. On the other hand, discontinuity of the style is found in the imitation of men's classic tailored suits and standardization of sizes and styles. These are considered to reflect such early twentieth century sociocultural contexts as equality of the sexes and mechanical aesthetics. Hopefull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broadening of insight in fashion connecting traditions.

19세기(世紀) 문화(文化)와 복식(服飾)에 표현(表現)된 복고(復古) - 신고전주의(新古典主義)와 낭만주의(浪漫主義) 여성복(女性服)을 중심(中心)으로 - (Retro Expressed in Culture and Dress of the 19th Century - Focused on Woman's Dress to Neoclassicism and Romanticism -)

  • 안광숙;박명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4호
    • /
    • pp.105-120
    • /
    • 2003
  • Culture and society exist in the present, but they came from the past. So did clothing. As dressing is deeply based on culture pattern of the times, it is affected by various culture patterns and still keeps developing in modern time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features of retro fashion on culture and dressing of the 19th century. The features of retro fashion on Neoclassical and Romantic culture and dressing are objection to the existing pattern, recursion to the past, and creativity characteristic of pattern of those days. Neoclassicism arose as it rejected Baroque and Rococo style, and imitated culture and artistic pattern of Greece and Rome. Romanticism objected to formal and universal pattern of Neoclassicism, and imitated Gothic style while recognizing historical facts and studying medieval times. Dressing in Neoclassicism did not accept exaggerated and luxurious Rococo pattern, and imitated simple, soft and straight silhouette of Greece and Rome and created its unique Empire Style. Romanticism imitated luxurious style of Renaissance, the Middle Ages, Baroque, and Rococo, different from simple and straight neoclassical style during the Bourbon restoration, and created its unique style. Thus, it is shown that retro fashion on Neoclassical and Romantic culture and dressing reflect the style of those days.

X 스툴의 권위적 상징 의미에 대한 고찰 - 고대~신고전주의시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uthority Symbolic meaning of X-stool - From Ancient Times to Neo-Classicism -)

  • 최이승;신영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05-316
    • /
    • 2012
  • This study considered stools not just as a tool for sitting but with their symbolicity as well. Regarding the changes and meanings of general stools and X-stools, this paper studied their images and explanations as well as literatures by quoting as it limited their range from the ancient times till Neo-classicism. In conclusion, the origin of stools exists in consciousness and also the social hierarchy of authority. There still remain the elements of X in any way along with the functions. This proves that furniture has reason for existence even today not just for its functions but something beyond that. Along with the historic flow of X-stools, we should know that there is diversity of thinking in the area of stools. In understanding furniture design or furniture, now is the time to approach to it in various ways, and it is expected that new design can be born through that thinking.

  • PDF

모더니즘조경의 설계 특성에 관한 연구 -신고전주의 이후 나타난 정원설계를 중심으로-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With the Trends of Garden Design after Neo-Classicism-)

  • 김영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62
    • /
    • 1995
  • This paper is to define what characteristic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are in terms of garden desig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not only for practical design works but also for design ideology. Th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anlayzing several crucial drawing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s from the later nin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is found that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had been evolved after Neo-classicism in its design language, use of materials and principles. And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was formulating its own design language not only by borrowing the language from other design fields, such as modern architecture but also by making own vocabulary itsel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were defined as collapse of genre, organic structure, pictorial composition, change of living thing, including those of modern architecture. Modern landscape architects drew their humanistic image on "the garden palette" which pursued artistic sense of cre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