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신개념

Search Result 927,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new supporting system using steel ribs in sandy soil (사질토 지반에서 강지보를 고려한 신개념 지보시스템에 대한 연구)

  • Kim, Sang-Hwan;Kim, Ji-Tae;Kang, Jun-Gu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3 no.5
    • /
    • pp.395-411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new supporting system using steel ribs.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wer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scaled model tests for the new supporting system consisting of the steel ribs and rock bolts were carri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isting supporting system. The numerical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ew supporting system to verify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new tunnel supporting system will reduce the tunnel damage.

신개념 항만하역시스템 연구

  • Kim, U-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307-309
    • /
    • 2013
  • 선박의 대형화와 더 높은 서비스수준의 요구에 따라 많은 항만하역시스템이 전세계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신개념의 항만하역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판단기준 및 항만에서의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적 측면의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하역시스템의 개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전문가 설문을 통해 AHP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고속 수직이착륙기 개발동향과 스마트무인기 개발사업

  • An, O-Seo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55-60
    • /
    • 2006
  • 헬리콥터와 같은 전통적인 수직이착륙항공기는 이착륙시 활주로가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고 속비행 및 고고도 성능에 있어서는 고정익기에 뒤떨어진다. 고효율의 엔진개발에 따라 고정익 항공기가 최 대속도 및 성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한대 비해, 헬리콥터의 최대속도는 160 ~170 kts (300~315 km/h) 수 준으로 제한되어왔고 장거리 운항에서 필수적인 고고도 운항능력에 있어서도 4km 이상의 고도에서 효율 적인 비행을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 반세기 동안 다양한 신개념 비행체 연 구가 수행되었다. 스마트무인기기술개발사업단에서는 항공선진국의 이러한 연구개발동향 및 그 결과를 종 합하여 미래적 신개념 비행체 대안을 모색하였고, 그 결과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여 상세설계를 종료한 상태이다. 이러한 경과에 대한 요약과 현재 활발히 진행중인 항공선진국의 미래형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 기종의 현황, 성능비교를 통해 고속, 고고도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에 관한 세계적 추세와 본 사업의 연관 성을 고찰해 보았다.

  • PDF

U.S Navy's Distributed Lethality Concept and Its Implications for East Asian Security (미 해군의 전력분산의 치명성이 동아시아 안보에 주는 함의)

  • Moon, Changhwan
    • Strategy21
    • /
    • s.44
    • /
    • pp.79-102
    • /
    • 2018
  • 2015년 미 해군에서 발간한 미 수상함대전략(Surface Force Strategy)에 따르면, 미 해군은 반접근-지역거부(Anti-Acess and Anti-Denial, A2/AD) 전략에 대한 대응책으로 '분산된 치명성(Distributed Lethality, DL)'이라는 신 작전개념을 개발 중에 있다. 이 개념은 각 유닛(unit)의 공격력(offensive power)을 향상시키고 지리적으로 분산 시킴으로써(geographical dispersion) 생존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동맹국(한국/일본 등)이 '분산된 치명성(DL)' 개념에 기여할 수 있는 영역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미 해군 내에서는 동맹국과 어떻게 공조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미 해군은 향후 '분산된 치명성(DL)' 이라는 작전개념에 동맹국이 줄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동맹국을 활용한 분산된 치명성(Distributed Lethality with Allies, DL+A)' 개념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동맹국을 활용한 분산된 치명성(DL+A)' 개념이란 동맹국이 가지고 있는 전력, 시설, 플랫폼 등 가용자산을 최대한 활용하여 기존의 '분산된 치명성(DL)' 개념을 강화시키는 신 작전개념이다. 미 해군은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신 작전개념(DL+A)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영역(정찰, 군수, 지리적 요충지, 플랫폼)에서 동맹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맹국은 미 해군의 신 작전개념을 적용함으로써 A2/AD 전략에 대비한 안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초임계압 유동층보일러 2대, 1,000MW 증기터빈 조합 신개념 발전 플랜트 소개

  • Kim, Hyeon-Cheol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10
    • /
    • pp.44-48
    • /
    • 2016
  • 에너지 생태계의 급변하는 환경속에 고효율, 대용량, 연료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이 펼쳐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 최대, 최초 초임계 순환유동층 보일러 2대와 1,000MW 증기터빈을 조합한 신개념 설계의 2개 호기(2,000MW) 건설, 한국남부발전(주) 삼척그린파워를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신개념 해수담수 및 수처리 기술의 연구 동향

  • Lee, Ju-Dong;Hong, Sang-Yeon;Seo, Seong-Deok
    • Journal of the KSME
    • /
    • v.57 no.2
    • /
    • pp.37-41
    • /
    • 2017
  • 이 글에서는 가스하이드레이트 형성원리를 이용한 신개념 해수담수화 및 수처리 응용기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d Prospects of Hybrid Propulsion System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기용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의 특성 및 발전전망)

  • Park, Tosoon;Song, Jaeho;Kwon, S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4-559
    • /
    • 2017
  • Recently, the global attention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renewal aero-propulsion systems proved in the air pollution, the noise, the great operational cost, safety and risks. Especially, various study are conduct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high power to weight ratio aircraft through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fuel consumption and upgrade of the propulsion efficiency, using the alternative propulsion system developments such as hydrogen and solar power system. The hybrid propulsion system can be the representative propulsion system which get the power sources by combining the merits of two or more power sources. In this study, the advancement trends, characteristics, design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the renewal future UAV development.

  • PDF

New High-performance Supporting System of Shallow Tunnel in Soil (저토피 구간의 신개념 고성능 터널지보시스템에 대한 연구)

  • Kim, Sang-Hwan;Yun, Seung-Gi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5 no.7
    • /
    • pp.11-2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new high-performance supporting system of the shallow tunnel. In order to perform this research the mechanism of new supporting system is suggest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isting supporting system. It is found that the new supporting system as pre-support system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ement of ground before tunnel excavation and increment of capacity of the tunnel support. The construction procedures of this supporting system are also reviewed. In addition, the numerical simulation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ew supporting system. It is found that the new high-performance supporting system is very applicable in shallow depth tunnel such as portal area, tunnel in soil and weak zone, and so on.

A Study of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the Concept of God, Divine Beings, and the Divine Dao as Depicted in the I Ching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신·신명·신도 개념을 중심으로 -)

  • Choi, Chi-bong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8
    • /
    • pp.267-302
    • /
    • 2017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through gods, divine beings, and divine Dao as they are featured in the I Ching. This study also explores analysis by dividing the 'one' from the I Ching into personal subject, metaphysical and fundamental marvel, innate divinity and morality of human beings as being among various concepts of god. Among the terms regarding god, divine Dao is especially clear in its depiction of this concept. In this context, the study looks closely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God. The divine Dao is actually an order that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world by Sangje's will and the gods are endowed with His mandate. Through such order, the divine Dao leads to the Dao of divinely empowered humans by the Great Dao of mutual beneficence and natural solution. Divinely empowered humans is a concept which corresponds to the idea that 'Divine affairs are akin to those of humans.' Divine beings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in the afterlife, and due to their close relationship to human beings, they exercise an influence over human beings. They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while alive as well. In addition, they also have grievances and grudges. Such grievances and grudges can be resolved by mutual beneficence. And the divine affairs and activities move in accordance with Taegeuk (the Great Ultimate), Sangje's will, and the divine Dao. Therefore, it is a principle that divine beings should obey and an operational law in theonomy. Sangje's divine Dao and heavenly mandate accord with the Great Ultimate and are thereby revealed. Natural solutions can be reached wh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gain awareness of this truth. To realize the divine Dao, humans and divine beings should practice the dao of benevolence, justice, propriety, wisdom, and they should rely on one another. Furthermore, this is done to accomplish the dao of heaven and earth.

틸트로터 비행체 개발추세와 고속 VTOL기 개발경쟁

  • An, Oh-Su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1
    • /
    • pp.75-92
    • /
    • 2007
  • 2002년 프론티어사업의 일환으로서, 10년간 1200억의 예산으로 미래형 신개념비행체 기술개발사업을 시작한 스마트무인기사업은, $2002{\sim}2003$년 수행한 개념연구를 통해 미래형 신개념 고속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념으로서 틸트로터 개념을 선정하고 이의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사업단에서는 우선, 항공 선진국에서 지난 반세기 동안 시행한 다양한 비행체 개념연구결과에 대해 자체적인 비교 분석 및 국제공동 연구를 근간으로하여, 당시 틸트로터에 필적하는 가능성을 보였던 스탑트로터(보잉사), 복합자이로콥터(카터콥터사) 개념이 아닌, 틸트로터 비행체의 기술개발을 결정하게 되었다. 각각의 비행체 개념이 갖는 위험성과 도전성, 그리고 소요기술, 설계특성, 개발 위험도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기초로 한 사업단의 체계적 의사결정은 주효했다. 스탑트로터개념은 비행시험의 잇단 실패와 지연/잠정 중단사태가 이어졌고, 복합자이로콥터 또한 잇단 비행사고로 2002년 기록한 148kts를 능가하는 고속성능 시현에 지금까지 실패함으로써, 실용화 가능한 고속수직이착륙기로서의 검증을 위해서는 해결해야할 기술적 과제가 많이 남아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틸트로터 개념의 경우 V-22의 설계 수정형에 대한 성공적인 비행시험완료 및 인증획득으로 전면양산승인이 2005년 결정되어 458대가 (미해병대(360), 해군(48), 공군(50)) 납품될 예정이고, 2010년 인증획득을 목표로 민수용으로 개발중인 BA609의 순조로운 비행시험진행, 무인기로 개발된 Eagle Eye 기술시현기의 비행 시험성공과 2003년 미 해양경찰청으로부터 Deep Water 프로그램의 장거리 순찰임무 주력기종 선정과 같이 군용, 상용, 무인용 고속 수직이착륙 시장의 전 방위적 진입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업계의 반응은 2가지 방향으로 나뉘고 있다. 하나는 유럽의 ERICA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 기술 개발을 서두르자고 주장하는 방향이고, 다른 하나는 시콜스키의 X2 프로그램과 같이 틸트로터와는 차별화된 독자적인 고속 수 직이착륙 비행체 개념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국내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지난해까지 일구어낸 성공적인 스마트무인기 상세설계 종료 및 축소형 비행체 전환비행성공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틸트로터 개발사를 통해, 신개념 비행체 개발의 어려움과 교훈을 알아보고, 세계에서 2번째로 틸트로터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스마트무인기 사업의 현황과 기술적 특징 및 의의의 정리, 그리고 틸트로터의 대안으로 진행중인 새로운 고속 VTOL 비행체 연구현황에 대한 소개 와 간단한 기술적 평가를 포함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