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품보존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27초

천연보존제 나린진과 키토산의 비교....LM & TEM적 소견 (The comparative of Naringin and Chitosan using Natural preservation agents by LM and TEM)

  • 김인숙;유근창;채수철;이종빈;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3-292
    • /
    • 2005
  • 본 연구는 가토안에서 나린진과 키토산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나린진의 주성분은 자몽씨 추출물로서 이는 항산화, 항균, 항암제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식품보존제와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또다른 천연 보존제중 하나인 키토산은 식품보존제, 건강음료, 차에 사용되며, 갑각류의 외피나 곤충의 표피, 곰팡이 및 효모 등의 세포벽에 널리 분포되어 인체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균성을 보이는 천연항균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장용함으로써 각 결막 독성과 감염을 일으키는 화합보존제를 대체할 천연 보존제의 적당한 농도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LM과 TEM을 사용하여 각막상피, 내피를 형태학적으로 비교하였다. In vivo 방법으로, 나린진과 키토산을 가토안의 안구에 직접 3-4방울을 일주일간 하루 4차례씩 점안하였다. 안구 적출 후, LM과 TEM을 통하여 각막의 손상상태를 관찰하였다. 손상된 세포는 대체적으로 키토산이 나린진보다 심하였다. 하지만 나린진도 1%의 농도에서는 세포에 손상을 주었다. 콘택트렌즈 보존제로서 가장 중요한 요건은 적당한 농도를 사용하는 것이다.

  • PDF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안정성(安定性) 비교(比較) 연구(硏究) (Study on Stability of Red and White Ginseng by Storage Years)

  • 최진호;변대석;박길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1983
  •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을 실온(室溫)에서 장기보존(長期保存)하였을 때 인삼(人蔘)의 유효약리성분(有效藥理成分)으로 밝혀진 사포닌의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른 함량변화(含量變化) 및 triol계(系)사포닌과 diol계(系)사포논의 비(比) 즉 PT/PD ratio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총질소(總窒素),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지방(粗脂肪)의 함량(含量)은 서서히 감소(減少)하였으나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사이에는 큰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총(總)사포닌 함량(含量)은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상당한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었는데 그 정도는 홍삼(紅蔘)보다 백삼(白蔘)이 현저하였다. 3년(年)동안 보존(保存)했을 때 홍삼(紅蔘)은 12%만 감소(減少)한 반면 백삼(白蔘)은 27%나 감소(減少)하였다. (3) HPLC로 정량(定量)한 주성분(主性分)사포닌의 함량(含量)도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감소현상(減少現象)이 뚜렷하였는데 보존기간(保存期間) 3년(年)이 경과(經過)했을 때 홍삼(紅蔘)은 16.8%만이 감소(減少)한 반면 백삼(白蔘)은 같은 기간(期間)에 무려 42.2%가 감소(減少)하였다. (4)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른 PT/PDratio를 보면 홍삼(紅蔘)은 0.646~0.694%의 범위내에 또 백삼(白蔘)은 0.414~0.428%의 범위내에 있어 홍삼(紅蔘)이 백삼(白蔘)에 비(比)해 PT/PD ratio가 약 50% 정도가 높았다. 이것이 홍삼(紅蔘)의 약리작용(藥理作用)에 깊이 관계(關係)할 것으로 생각된다. (5)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추출액(抽出液)의 가시부(可視部)의 변화(變化)를 보면 백삼(白蔘)이 홍삼(紅蔘)보다 증가폭(增加幅)이 더 크므로 불안정(不安定)함을 알 수 있고, 또 자외부(紫外部)의 변화(變化)를 보면 278nm에서 홍삼(紅蔘)의 흡광도(吸光度)가 백삼(白蔘)보다 크므로 홍삼(紅蔘)의 향미(香味)가 백삼(白蔘)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

  • PDF

경인지역 초등학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보존료 검사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Preservatives in Children's Favorite Foods Around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 박신영;최진원;연지혜;이민정;하상도;박기환;문은숙;고명희;이지현;조유선;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24-230
    • /
    • 2006
  • 경인지역 초등학교 주변의 문구점과 소형 식품점에서 판매중인 조미건어포류, 빵 및 과자류, 소시지류, 당류가공품류 및 만두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미생물의 오염도와 식품보존료 사용의 유무 및 함량을 조사${\cdot}$분석하였다. 총호기성균은 만두에서 가장 높은 평균 $4.81\;log_{10}\;CFU/g$의 오염도를 보였으며 그 범위는 $1.40\~6.91\;log_{10}\;CFU/g$로 높은 오염수준을 나타냈다. 대장균군은 빵 및 과자류와 조미건어포류에서 높은 오염수준인 3.73과 $5.10\;log_{10}\;CFU/g$ 오염도를 보였으며 최대 $6.60\;1og_{10}\;CFU/g$까지 검출된 제품이 있었다. S. aureus는 검사 대상 5 제품 모두에서 검출되었고 이 중 만두에서 가장 높은 $100\%(1.18\~3.31\;log_{10}\;CFU/g)$의 검출율을 보였다. B. cereus는 빵 및 과자류와 만두에서는 불검출되었고, 조미건어포류, 소시지류 및 당류가공품류에서만 각각 $20.51\%(0.70\~2.48\;log_{10}\;CFU/g)$, $50\%(0.70\;log_{10}\;CFU/g)$$11.11\%(0.30\;log_{10}\;CFU/g)$의 검출률을 보였다. E. coli와 Salmonella spp.는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보존료는 15개 제품 중 조미건어포류의 4개 제품만이 보존료의 사용 표시가 되었으나 이들 4개 제품을 포함한 13개 제품에서 보존료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조미건어포류에 속하는 한 개 제품에서는 표시기준에 의거 표시된 소르빈산 $0.02\%$보다 15배$(0.30\%)$ 높은 검출결과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경인지역 초등학교주변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품은 식품의 제조단계에서부터 유통, 판매에 이르기까지 안전을 위한 관리방안이 조속히 수립되어야 한다.

(4)외국과 우리나라의 HACCP 적용 현황

  • 노민정
    • 식품기술
    • /
    • 제14권2호
    • /
    • pp.94-98
    • /
    • 2001
  • 외식, 단체급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식중독의 발생이 날로 대형화, 다양화되어 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식품에 대한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고 있다.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위생관리 제도로 국제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란 식품원료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시작하여 제조.가공, 보존, 유통.판매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소비자가 섭취할 때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조사.분석하고, 각 위해요소에 대한 방지 방법을 구축하여 계획적으로 감시.관리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고자 하는 체계적인 관리방법이다. HACCP 계획은 위해요소 분석, 중요관리점 결정, 한계기준 설정, 모니터링 방법 확립, 개선조치 방법 확립, 검증절차 확립, 기록 유지 및 문서화 방법 확립의 과정을 거쳐개발되며, 최종제품을 검사하는 기존의 사후 관리적 방식과는 달리 HACCP는 중요관리점을 확인하고 모니터링 함으로써 최종제품의 위생안전성을 담보하는 예방적 관리방법이다. 1960년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비행사들의 우주식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된 HACCP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제도로 평가받고 있다.

  • PDF

소금절임시 키토산 첨가가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효과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Chitosan during Salting)

  • 노홍균;박인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32-936
    • /
    • 1995
  • 김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0.5% 키토산용액을 0(대조군), 5, 10, 20 혹은 30%(키토산 첨가군) 첨가한 10% 소금용액에 배추를 절인 후 김치를 담구어 $10^{\circ}C$에서 숙성하는 동안 관능검사(신맛, 아삭아삭한 정도, 종합적인 맛)와 기계적인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관능검사에서 대조군은 숙성 10일 이후 신맛이 강하고 아삭아삭한 정도와 종합적인 맛은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키토산 첨가군, 특히 20%와 30% 첨가한 군은 숙성 20일째 비로소 신맛을 나타내었으며, 아삭아삭한 정도와 종합적인 맛도 숙성 20일까지 조직감이 있고 맛이 있는 김치로 유지되었다. 한편 김치의 조직감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hardness와 gumminess는 키토산 가군 사이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hardness와 gumminess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절임시 키토산 첨가가 김치의 보존성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키토산을 20% 혹은 30% 첨가한군은 대조군에 비해 보존기간을 10일 이상 연장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 PDF

L1 요추 압박골절에 대한 진단방사선학 및 보존적 치료 (Diagnostic Radiology and Conservative Management of L1 Lumbar Spine with Compression Fracture)

  • 김재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5-170
    • /
    • 1998
  • 교통사고로 인한 척추골절 환자 S75에서 손상부위에 따른 진단방사선학 및 보존적 치료 소견을 임상 문헌과 함께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흉요추 좌측방 단순필름에서 L1 요추에 설상변형 정도가 약 10%인 쐐기형 압박골절이 확인되었다. 2. L1 요추의 CT촬영 결과 추체부 전면에 궁형의 불규칙한 골 절편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T12∼L1는 구조상 손상빈도가 높은 부위로 밝혀졌으며, Denis의 골절형태는 중간주와 후방주가 잘 보존된 전방주의 다발성 압박골절로 분류되었고, Cobb의 척추 만각증은 없었으며, Frankel의 신경손상 분류형태는 E형이었다. 3. 정형외과적 치료방법은 비수술 요법의 보존적 치료를 원칙으로 하였고, 수분·전해질, 영양 및 혈장제 대용으로 공급하는 수액과 함께 브스테로이드성 항염진통제, 근육 이완제를 투여하면서 철저한 침상안정을 유도하였다. 4. 수상후 3주째는 폴리에틸렌 back corset를 착용하고 조기재활을 시도하였으며, 수상 8주 후에도 경도의 불편감이 남아 있었으나, 추시 관찰한 결과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점차 척추는 안정성을 찾게 되었다.

  • PDF

감마선 조사 고추장의 미생물 및 일반품질 특성 변화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Kochujang(Fermented Hot Pepper Paste))

  • 김동호;육홍선;연규춘;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2-77
    • /
    • 2001
  • 고추장의 보존성 향상을 목적으로 고추장에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고 $25^{\circ}C$에 12주간 보존하면서 고추장의 미생물 및 일반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Bacillus는 감마선 조사에 대하여 3.94 kGy의 $D_{10}$값을 보여 감마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으며 효모와 젖산균은 10 kGy의 선량에서 완전 사멸에 가까운 살균효과를 보였다. 고추장 보존 중의 일반품질 평가 요소인 아미노산성질소, 총환원당, protease 및 amylase 활성, pH, 갈변도의 변화는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고추장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미생물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켜 제품의 보존 유통 및 가공에서 미생물 관점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열충격 Salmonella Typhimurium의 산과 산화제에서 생존력 증가 (Increased Viability of Sub-lethal Heat Shocked Salmonella Typhimurium on Acids and Oxidants)

  • 문보연;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12-716
    • /
    • 2008
  • Salmonella로부터 식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보존법의 병용처리에 의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S. Typhimurium을 열과 산, 산화제 등으로 연속 처리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열충격에 의하여 S. Typhimurium 내에 발현되거나 억제되는 단백질을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기로 분석하였다. 열처리된 S. Typhimurium은 초산과 염산의 pH 4에서의 생균수가 1.3-1.8 log CFU/mL가 줄었고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생균수가 약 5 log CFU/mL가 감소하였다. 열처리 S. Typhimurium은 butyl hydrogen peroxide와 과산화수소에서 생균수가 1.1-1.7 log CFU/mL가 줄었으나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5.4-5.6 log CFU/mL 감소하였다. 충분하지 않은 사멸 열처리는 S. Typhimurium의 생존력을 증가시키고 산과 산화제 등의 보존제에서 저항성이 커지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차원 전기영동과 MALDI-TOF 질량분석에 의한 발현 단백질 분석 결과 비열처리 S. Typhimurium은 17개의 단백질이 검출되었고 열처리 S. Typhimurium에는 13개의 단백질만 검출되었다. 이들 중에 열충격 단백질로 알려진 DnaK, small heat shock protein 등이 검출되었고 이들이 산과 산화제에서의 생존 저항성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열처리를 포함하는 hurdle technology를 적용하여 식품을 보존처리할 때 다른 보존제에 대한 교차보호성이 증가되는 사실을 고려하여 적절한 열처리가 고려되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식품보존에 이용된 식물의 천연보존료 함유량 연구 (A study of the levels of natural preservatives in wild plants)

  • 백경아;강현각;신명희;박종진;김종대;박성민;이미영;임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5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적으로 방부 또는 살균효과가 있어 떡 등에 첨가되거나 저장 및 포장에 이용되었던 자생식물 15종 21건에 대하여 데하이드로초산(sodium dehydroacetate), 소르빈산(sorbic acid), 안식향산(benzoic acid), 파라옥시안 식향산메틸(m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eth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프로필(isoprop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이소부틸(isobutyl p-hydroxybenzoate),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butyl p-hydroxybenzoate),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솔잎, 망개잎, 대나무잎 등 15종에 대한 천연유래 보존료 함유량을 조사한 결과 솔잎, 대나무잎, 칡잎, 모시잎, 쑥, 잣나무잎 등 6종에서 안식향산, 소르빈산, 프로피온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안식향산은 대나무잎, 모시잎, 솔잎, 쑥, 칡잎, 잣나무잎에서 8.201~21.839 mg/kg, 소르빈산은 대나무잎과 칡잎에서 5.630~24.995 mg/kg, 프로피온산은 모시잎에서 61.324~62.726 mg/kg이 검출되었다. 조사 식물 중 망개잎, 토란잎, 조릿대, 연잎, 원추리, 구절초, 떡갈나무잎, 산초잎, 감잎 등 9종에서는 천연보존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목초액의 항균활성 및 농약, 식품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 and Application as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 이성숙;안병준;조성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41-348
    • /
    • 2010
  • 목초액의 농약 또는 식품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나무 및 참나무류 기계식 목초액을 대상으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활성의 경우 미정제 목초액은 0.5% 이상의 농도 에서, 정제 목초액은 1.0%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 식물병원균 및 목재부후균의 생장을 완전히 억제하여 미정제 목초액이 정제 목초액보다 항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나무류 목초액이 소나무 목초액보다 항 균활성이 높아 탄화 원료인 수종에 따라 항균활성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균종별로는 표고 해균인 주홍 꼬리버섯에 대한 항균효과가 다른 공시 균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균의 종류에 따라 목초액에 대한 감수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균에 대한 항세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소나무 및 참나무류 미정제 목초액의 경우 10% 농도에서 모든 공시 균주에 대해 생육저지환을 형성한 반면 정제 목초액 의 경우에는 저지환을 형성하지 않아 항세균활성도 미정제액이 정제액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종에 따른 감수성에도 차이가 있어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그람 음성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탄화 원료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목초액은 식물병원균, 목재부후균, 식품부패균 및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하여 유기합성 농약을 대체하거나 식품의 부패를 막기 위한 식품보존제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