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생활영역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18초

식생활교육지원법과 중학교 식생활교육 - 2007 개정 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and Middle School Dietary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etary Section of the Revised 2007 Home Economics Textbooks)

  • 김지현;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3
    • /
    • 2010
  •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지원법에 제시된 식생활교육의 기본방향이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식생활 단원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11종의 2007개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모든 교과서들이 식생활교육지원법에 명시된 식생활교육의 기본방향 - 건전한 식습관 형성, 식생활 체험활동 촉진, 환경친화적인 식생활 실천, 전통 식생활 문화 계승과 지역 농수산물의 활용 등 - 에 대체로 부합하는 구성 및 서술을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림, 사진, 그래프 등의 시각적 자료, 신문기사,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작은 이야기 등의 활용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중 가정 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Recognitions on Experiment and Practice for Home Economics area of a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 이주희;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7
    • /
    • 2007
  • 기술 가정 교과를 위한 실험 실습실의 여건을 살펴보고, 기술 가정 교과 중 가정영역의 실험 실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교사의 전공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전국 중학교를 대상으로 기술 가정 교과 교사에게 메일을 발송하여 웹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 220명의 응답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와 던컨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학교에 가정 실험 실습실이 있지만 그 시설 및 교구 설비 상태는 열악하며 특히 의생활과 주생활영역의 실험 실습실 시설 및 교구 설비는 실질적인 실험 실습을 위해 보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식생활 영역의 필요도를 가장 높게 인식했고, 주생활 영역의 필요도를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가정 전공 교사가 타 전공 교사보다 가정 영역 실험 실습을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기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의 수준이 학생에게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왔으며 식생활 영역에 대한 실험 실습 내용 수준이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한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절하지 알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 분량과 수업 시수에 대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옷 만들기와 재활용'은 교사의 전공과 상관없이 수업 분량과 수업 시수의 적절성이 가장 낮게 나타나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가정 전공교사가 타 전공교사에 비해 실험 실습 내용의 분량과 수업시수의 문제점을 크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관심정도는 보통보다 높다고 교사가 인식하고 있었으며 '조리의 기초와 실제'에 대해 가장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인다고 생각하는 반면 '주택의 유지와 보수'에 대해서는 학생이 흥미와 관심을 가장 적게 보인다고 생각하였다. 여섯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내용이 실생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는 정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식생활 영역이 가장 높게 주생활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가정영역 실험 실습 시행정도는 보통으로 식생활 영역>의생활 영역>주생활 영역 순으로 실험 실습이 시행되고 있었다. 가정 전공교사는 비전공 교사 보다 실험 실습을 더 많이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영역의 실험실습은 매우 중요한데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설 및 교구 설비 상태를 개선해야 한다. 또한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의 실험 실습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실험 실습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요구되며 이에 앞서 가정 영역 내에서의 교과과정 정비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통해서 실험실습 분량의 과다와 수업시수의 부족이라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교사의 전공에 따라 실험실습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가정영역은 가정전공교사가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4호통권275호
    • /
    • pp.248-249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6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3호통권274호
    • /
    • pp.164-165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6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6호통권277호
    • /
    • pp.426-428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6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8호통권279호
    • /
    • pp.564-566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7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2호통권273호
    • /
    • pp.88-89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6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7호통권278호
    • /
    • pp.492-493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7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개원의를 위한 악관절학

  • 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0권5호통권276호
    • /
    • pp.344-346
    • /
    • 1992
  • 최근들어 문명의 발달과 사회의 복잡화에 따른 식생활 문화의 변천과 스트레스의 증가 등으로 악관절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개원의도 악관절 질환 환자를 접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에 필자는 6회에 걸쳐 개원의가 손쉽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영역 그리고 그 이에외 전문병원에 의뢰해야 되는 증례 및 영역은 어떤 것이며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 지를 서술하고자 한다.

  • PDF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육성민;박소희;문현경;김기랑;심재은;황지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5호
    • /
    • pp.419-428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집단의 식생활지침 실천과 식생활의 질과 수준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 및 국가의 영양정책과 식생활지침,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후보항목을 도출하여 건강결과 변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평균섭취량을 비교하고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량을 5분위수로 나누어 분위수별 교차비와 교차비의 경향성을 검정하였다. 후보항목의 통계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식사의 충분도 영역 9개 항목, 식사의 절제 영역 5개 항목등 총 14개의 지수 구성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근거로 점수화 기준을 마련하고 각 항목별로 5~10점을 배정하여 총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사의 충분도 영역 9항목 (총 과일류, 생과일류, 총 채소류, 김치와 장아찌 제외 채소류, 우유 유제품, 총 단백질 식품, 흰 고기 : 붉은 고기 섭취비율, 전곡류, 아침식사 빈도)과 식사의 절제 영역 5가지 항목 (나트륨, 고열량 저영양 식품 에너지비, 지방 에너지비, 도정곡류, 탄수화물 에너지비)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기반으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인 대상 인구집단의 식사의 질을 모니터링 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향후 타당도 확인과 국가의 식생활지침 개정과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등에 따라 필요시 개정과 보완을 통해 국가의 영양정책 도출 및 사업 결과의 평가 및 활용에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