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정화시스템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articulate Matter and CO2 Improvement Effects by Vegetation-based Bio-filters and the Indoor Comfort Index Analysis (식생기반 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개선효과와 실내쾌적지수 분석)

  • Kim, Tae-Han;Choi, Boo-Hun;Choi, Na-Hyun;Jang, Eun-S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7 no.4
    • /
    • pp.268-276
    • /
    • 2018
  • BACKGROUND: In the month of January 2018, fine dust alerts and warnings were issued 36 times for $PM_{10}$ and 81 times for PM2.5. Air quality is becoming a serious issue nation-wide. Although interest in air-purifying plants is growing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risk of chemical substances of regular air-purifying solutions, industrial spread of the plants has been limited due to their efficiency in air-conditioning perspective.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vegetation-based bio-filter system that can assure total indoor air volume for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air-purifying plants. In order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system, time-series analysis was conducted on air-conditioning performance, indoor air quality, and comfort index improvement effects in a lecture room-style laboratory with 16 persons present in the room. The system provided 4.24 ACH ventilation rate and reduced indoor temperature by $1.6^{\circ}C$ and black bulb temperature by $1.0^{\circ}C$. Relative humidity increased by 24.4% and deteriorated comfort index. However, this seemed to be offset by turbulent flow created from the operation of air blowers. While $PM_{10}$ was reduced by 39.5% to $22.11{\mu}g/m^3$, $CO_2$ increased up to 1,329ppm. It is interpreted that released $CO_2$ could not be processed because light compensation point was not reached. As for the indoor comfort index, PMV was reduced by 83.6 % and PPD was reduced by 47.0% on average, indicating that indoor space in a comfort range could be created by operating vegetation-based bio-filters.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vegetation-based bio-filter system is effective in lowering indoor temperature and $PM_{10}$ and has positive effects on creating comfortable indoor space in terms of PMV and PPD.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and Water Purification of Ecological Fish-way and Floodplain Back Wetland Created as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e at Maeno Stream (매노천에서 생태적수질정화비오톱(SSB)으로 창출된 생태어도 및 홍수터 배후습지의 생태계 복원과 생태적 수질정화효과)

  • Byeon, Chan-Woo;Kim, Yong-M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508-523
    • /
    • 2017
  • This study monito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of ecological stream focusing on the places which are applied Sustainable Structured wetland Biotop (SSB) system and ecological Fish-way for restoration of Maeno stream. A total of 11 species and 191 individuals of fishes were founded out which were not verified inhabitation before restoration at SSB wetlands. Especially, it was could identified that micro habitat and healthy Fish-way was created because the restored target species, Microphysogobio yaluensis and Iksookimia koreensis were identified that habitation was monitored in SSB wetland. Amphibian have been restored to a number of Rana nigromaculata found in and around wetlands at the time of the third survey, which is highly active after restoration. Specified endangered species class 1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Lutra lutra lutra, as a Mammalian, uses the wetlands and ecological Fish-way as habitat areas, and the his habitat is restored. In the case of Flora, vascular plants emerging in the survey area were increased to 7 and 13 species before restoration and 15 and 19 species directly after restoration, and 22 species and 33 species after restoratio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was found to be a basic producer of various ecosystems and a plant community that contributes to the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such as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s the result of water quality monitoring, the average of treatment efficiencies were BOD 64.3%, T-N 47.2%, T-P 80.7%. Successful treatment of the nonpoint pullution source, which is a limiting factor to disturb the ecosystem, creatively restored the target species in the water quality class I, II.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Automatic System for Preparing Input Parameters in PRMS (PRMS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 자동화 추출 시스템 개발 및 적용)

  • Hwang, Eui-Ho;Kwon, Hyung-Joong;Yoo, Byung-Hyuk;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59-46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유출분석의 입력자료 생성 시 발생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다양한 수질 수문 모형에 적용을 위한 유역특성자료 도출 기반의 미비로 인하여 보다 편리하고 체계적인 유역특성자료 분석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 PRMS를 이용하여 유출분석 시 입력자료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USGS WEASEL 벤치마킹을 통하여 시스템 개발항목을 도출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UML을 이용한 객체지향 시스템 설계를 수행하였다. 또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및 다양한 수질 수문 모형에 적용하기 위한 GIS 컴포넌트 기반인 ArcGIS ArcObject를 이용한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범 연구지역인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임상도 등을 구축하여 유역특성자료 분석 시스템에 적용하여 PRMS의 입력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에 의하여 추출된 매개 변수의 검토를 위하여 용담댐 유역과 구량천 유역을 대상으로 PRMS를 이용한 장기유출모의를 수행하였다. 강우자료 및 기상자료는 기상청의 장수기상관측소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모의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하천유출량 자료는 용담댐 지점과 동향수위관측소 자료를 사용하였다. 장기유출모의 목적에 맞는 PRMS 모형을 구성하고 유역특성자료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추출된 매개변수로서 1966년부터 2001년까지 용담댐 유역에 대하여 모의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하였고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유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 유역에 대해서는 0.49에서 0.83까지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구량천 유역에 대해서는 0.57에서 0.75까지의 모형효율을 나타내어 모의결과가 실측치에 대하여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99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 PDF

Study on PM10, PM2.5 Reduction Effects and Measurement Method of Vegetation Bio-Filters System in Multi-Use Facility (다중이용시설 내 식생바이오필터 시스템의 PM10, PM2.5 저감효과 및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 Kim, Tae-Han;Choi, Boo-H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80-88
    • /
    • 2020
  • With the issuance of one-week fine dust emergency reduction measures in March 2019, the public's anxiety about fine dust is increasingly growing. In order to assess the application of air purifying plant-based bio-filters to public facilities,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for measuring pollutant reduction effects by creating an indoor environment for continuous discharge of particle pollutants and conducted basic studies to verify whether indoor air quality has improved through the system. In this study conducted in a lecture room in spring,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was created by using mosquito repellent incense as a pollutant one hour before monitoring. Then, according to the schedule, the fine dust reduction capacity was monitored by irrigating for two hours and venting air for one hour. PM10, PM2.5, and temperature & humidity sensors were installed two meters front of the bio-filters, and velocity probes wer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three air vents to conduct time-series monitoring. The average face velocity of three air vents set up in the bio-filter was 0.38±0.16 m/s. Total air-conditioning air volume was calculated at 776.89±320.16㎥/h by applying an air vent area of 0.29m×0.65m after deducing damper area. With the system in operation, average temperature and average relative humidity were maintained at 21.5-22.3℃, and 63.79-73.6%, respectively, which indicates that it satisfies temperature and humidity range of various conditions of preceding studies. When the effects of raising relatively humidity rapidly by operating system's air-conditioning function are used efficiently,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indoor fine dust and maintain appropriate relative humidity seasonally.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creased the same in all cycles before operating the bio-filter system. After operating the system, in cycle 1 blast section (C-1, β=-3.83, β=-2.45), particulate matters (PM10) were lowered by up to 28.8% or 560.3㎍/㎥ and fine particulate matters (PM2.5) were reduced by up to 28.0% or 350.0㎍/㎥. Then, the concentration of find dust (PM10, PM2.5) was reduced by up to 32.6% or 647.0㎍/㎥ and 32.4% or 401.3㎍/㎥ respectively through reduction in cycle 2 blast section (C-2, β=-5.50, β=-3.30) and up to 30.8% or 732.7㎍/㎥ and 31.0% or 459.3㎍/㎥ respectively through reduction in cycle 3 blast section (C-3, β=5.48, β=-3.51). By referring to standard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vegetation bio-filters in public facilities, this study provided plans on how to set up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environment. By doing so, it was possible to create monitoring infrastructure more objective than a regular lecture room environment and secure relatively reliable data.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Efficiency in Juam Lake Eco-wetland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주암호 생태습지의 수생태학적 효율 평가)

  • Lee, Sang-Gyu;Seo, Dong-Cheol;Choi, Ik-Won;Kang, Se-Won;Seo, Young-Jin;Lim, Byung-Jin;Lee, Jun-Bae;Kim, Sang-Don;Heo, Jong-Soo;Cho, Ju-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2
    • /
    • pp.317-324
    • /
    • 2012
  •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Juam Lake eco-wetlands, purification efficiencies of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at three different systems. The constructed wetlands (CWs) consisted of A system, B system and C system. A system consisted of $1^{st}$ free water surface (FWS) CW, $2^{nd}$ FWS CW, $3^{rd}$ FWS CW, $4^{th}$ subsurface flow (SSF) CW and $5^{th}$ SSF CW. B system consisted of $1^{st}$ FWS CW, $2^{nd}$ FWS CW, $3^{rd}$ FWS CW, $4^{th}$ FWS CW and $5^{th}$ SSF CW. C system consisted of $1^{st}$ FWS CW, $2^{nd}$ FWS CW, $3^{rd}$ FWS CW, $4^{th}$ FWS CW and $5^{th}$ SSF CW. The concentrations of BOD, COD, SS, T-N and T-P in inflow ranged 0.20 ~ 0.91, 1.24 ~ 8.00, 0.60 ~ 8.60, 0.04 ~ 2.50 and $0.001{\sim}0.685mg\;L^{-1}$ from March to October in 2011, respectively. Removal rates of BOD, SS, T-N and T-P were high in Autumn, Spring,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In A system, $1^{st}$ FWS CW, $2^{nd}$ FWS CW and $3^{rd}$ FWS CW were dominated by Leersia oryzoides. In B system, $1^{st}$ FWS CW, $3^{rd}$ FWS CW and $4^{th}$ FWS CW were dominated by Leersia oryzoides. In C system, $2^{nd}$ FWS CW and $3^{rd}$ FWS CW were dominated by Nymphaea teragona.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oad Based on Watershed Unit in Bocheong Seream (보청천에 대한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

  • Shin, Geun-Su;Kim, Hung-Soo;Kim, G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61-965
    • /
    • 2007
  • 현재 오염총량관리제를 시 군 단위의 기초자치 단체별로 시행하고 있는데 실제로 오염물질의 전달은 행정구역단위가 아닌 유역내에서 이루어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 단체별이 아닌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과 삭감량을 산정함으로써 유역 단위의 오염총량관리제 계획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청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인 WMS(Watershed Management System)와 ArcView를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인자들을 추출하고, 각 소하천의 토지이용도와 생활계, 축산계, 양식계, 토지계를 바탕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발생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소하천별 발생부하량 산정 결과를 토대로 각 수질관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배출부하량의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수질 데이터는 QUAL2E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 하였으며, 수리 및 수질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유달부하량은 BOD는 2013.16kg/일, TN은 1091.34kg/일, TP은 235.16kg/일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장래에 수질이 악화될 경우를 고려하여 수질 항목별 오염량이 2배, 3배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였다. 오염량이 2배 증가하였을 경우,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보청천3 지점에서 BOD는 184.68kg/일이 삭감되어야 하고, 오염량이 3배 증가하였을 경우 BOD는 1775.69kg/일이 삭감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와 같이 유역단위로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경우, 오염원을 줄이는데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오염총량관리제를 위해 유역단위의 오염부하량 산정을 고려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위성 상실로 인한 자기수요 감소를 초래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경기도 광주에서 백자관요가 운영되었으므로 지방인 상주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