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생관리

Search Result 94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Plot Scale Experiment to Assess the NPS Reduction for Non-irrigated Cropland (밭 비점오염 저감효과 평가를 위한 포장실험 연구)

  • Park, Tae-Yang;Kim, Sung-Jae;Jang, Jeong-Ryeol;Choi, Kang-Won;Kim,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3-313
    • /
    • 2011
  • 오염물질은 배출원의 형태에 따라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로 구분하고 있고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등으로 발생원이 명확하고 수집하여 처리 및 관리가 용이하나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위치가 명확하지 않으며, 강우 시 일시적으로 대량 배출되는 특징을 가진 농경지, 도로, 대지, 임야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비점오염은 전체 수질오염의 42~67%(2003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5년에는 전체 수질오염의 65~7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중 농업 비점오염원은 총 수질 오염량의 3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를 저감하기 위한 최적관리방법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중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기법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를 설치하여 밭 비점오염에 대한 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제어대책을 개발하여 최적관리기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매뉴얼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려 한다. Silt Fence는 주로 건설공사현장에서 홍수유출 발생 시 인접한 하천 및 호소 등으로 유사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하는 시설로 합성 직물 필터를 나무나 금속 막대로 연결하여 등고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의 토양이 교란되기 전에 그 지역 아래쪽에 설치한다. 식생밭두렁은 밭의 이랑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강우 시 빗물이 하단에 이를 때 늘어난 유량과 빠른 유속으로 토양침식이 가중되는데, 이때 30~35m간격으로 식생밭두렁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와 하부의 침식정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여 식생밭두렁을 설치하지 않은 지역에 비해 토양의 침식정도가 작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밭 비점오염의 저감효과 평가 및 제어대책 개발을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조성 하였으며, 시험포장내에 6개의 Plot을 만들어 하단부에 포장에서의 유출수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플룸을 설치하였고 실내실험을 통해 플룸의 수위-유량관계 곡선을 작성하였다. 포장의 토양특성을 판별하기 위해 Plot별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특성을 분석 한 결과 6개 Plot모두 모래함량이 많은 점토질 사질토로 분류되었다. 향후 강우 시 시험포장에서 발생하는 유출수의 수질을 분석하고 Silt Fence/식생밭두렁/침사구의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어대책을 개발하게 되면 농업수자원확보를 위한 관리방안 선정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될 수 있으며 비점오염 배출을 최소화시켜 수질의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농업에 적합한 최적영농관리기술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Landscape Forest of Taeneung, Joseon Dynasty Royal Tomb, Seoul, Korea (조선왕릉 태릉(泰陵)의 역사경관림 변화와 관리방안)

  • Kim, Myoung-Sin;Lee, Kyong-Jae;Kim, Jong-Yup;Hur, Ji-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2
    • /
    • pp.56-72
    • /
    • 2015
  • This study area for this research was the Taereung of the 2009 World Heritage-listed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The Taereung space was divided into that of the royal tomb space, religious service space, transposition space and entry space. The original vegetation is assumed to have been planted at the right, left and backside of the tomb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literature. Regarding the original vegetation landscape of Taeneung, it was assumed that Pinus densiflora was distributed around the tomb lines and tomb space, Pinus densiflora was distributed in the religion services space and transposition and Alnus japonica was distributed in the entry space. By the present status of vegetation in Taeneung, the Pinus densiflora forest was the widest area with 50.3% with the broadleaf forest at 33.7%.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ongolica were the main species found in Taeneung. The planting area was 7.9% and Pinus densiflora were the main species planted. To analyz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aeneung, 108 plots were set and divided into four spaces. The importance of the percentage of those districts was analyzed on a spatial basis an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dominant species of the tomb space was Pinus densiflora. However, as Pinus densiflora began dying out, the power of Quercus acutissima increased and an ecological succession from the Pinus densiflora forest to Quercus aliena forest was made. In the spaces of religious services and transposition, Pinus densiflora was decreasing and Quercus spp. was expanded. In the space of entry, the dominant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lien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aliena. As soil of this area is argillaceous, Pinus densiflora is expected to disappear in the end. The prior vegetation(assumed) and present vegetation of Taeneu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a goal of vegetation management and the way in which to manage vegetation were suggested. The goal of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was to analy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changes, maintain and restore a landscape suitable for historical landscape forests by space. About the space of the tomb,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Pinus densiflora planting zones forests should be maintained and there should be efforts to restore and manage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stead of the Quercus spp. forests. About the space of religious services, Pinus densiflora forests and Pinus densiflora planting zones sh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and there should be efforts to restore and manage Pinus densiflora forests to replace Quercus spp.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space of transposition sh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and Pinus densiflora forests should be restored to replace Quercus spp. trees. Alnus japonica forests should be restored in the space of entry.

Back Pressure Dissipation and Vegetation Restoration Effect of Land Slope by Using Mattress/Filter (Mattress/Filter를 이용한 절개지사면의 배수압소산과 식생복원효과)

  • Park, Jae Min;Bae, Sang Su;Lee, Seung Yun;Jee, Hong 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95-1399
    • /
    • 2004
  • 절개지사면에 구조물이 설치될 경우 배수압소산과 식생복원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다공성이 뛰어나고 식생의 서식이 가능한 구조물로 설계되어야 하며, 동시에 사면의 안정을 제공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구조물이 설치될 지역에 Mattress/Filter를 사용할 경우 배수압의 소산과 식생의 활착이 가능한 구조물로 사면의 안정과 식생복원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개지사면에 토목구조물이 설치될 경우 식생의 복원과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 Mattress/Filter에 Slag를 채워서 다공성을 부여함으로써 사면의 배수압소산과 식생촉진 뿐만 아니라 사면의 안정성을 제공해줄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Mattress/Filter는 다공성이 뛰어나 자연배수가 가능한 구조물로서 그 구변 생태계에 필수적인 물의 상호교류 즉, 투수와 배수가 가능하고 배수압의 소산이 가능하여 식생복원과 사면안정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Mattress옹벽은 배면의 지하수 배제를 촉진시켜 사면의 안정화에 기여하게 되려, 식생의 복원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attress에서 Fitter의 채움 재료로 산업계기물(Slag) 및 건설폐기물(폐콘크리트, 사석) 등을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Mattress는 채움재료의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생태계의 보존에도 Mattress/Filter의 사용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Actual Vegetation and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to Baekje Historic Site in Seoul - Focusing on Pungnaptoseong(風納土城) and Mongchontoseong(夢村土城) - (서울 백제역사유적지 관리를 위한 현존식생과 과거 대상식생 비교 연구 - 풍납토성(風納土城)과 몽촌토성(夢村土城)을 중심으로 -)

  • Cha, Doo-Won;Oh, Choong-H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1
    • /
    • pp.74-80
    • /
    • 2022
  • The vegetation of historical sites has been a form of vegetation that has remained since some years ago, but in modern times, vegetation and terrain have been deformed or damaged due to urban development, which was followed by an industrialization. As a solution t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by referring to the vegetation and landscape remaining in the historic site as indica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vegetation and landscape management of Baekje Historic Sites in Seoul by comparing and analyzing location characteristics, existing vegetation, and remaining vegetation of past substitutional vegetation for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Baekje Historic Site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are located near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Pungnaptoseong is located on a flat land consisting of natural embankments and floodplains, and Mongchontoseong is located on a hilly area. In the case of existing veget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Pungnaptoseong mainly has ornamental trees planting sites, while Mongchontoseong has a distribution of residual species from the past that grow in villages and hilly lowlands. The Substitutional vegetation of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was synthesized based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actual vegetation, it is estimated that the hilly areas may have been divided into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and so o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on dry land,"Salix koreensis Andersson.", "Juglans mandshurica Maxim.", "Alnus japonica (Thunb.) Steud." in rivers and tributaries, "Quercus acutissima Carruth." in the main part of the forest,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Salix koreensis Andersson.", "Zelkova serrata (Thunb.) Makino." as a divine tree in the beginning of the village. Since the 1960s, all substitutional vegetation in the past has disappea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pecies and the creation of urban areas in Pungnaptoseong and Mongchontoseong, and the landscape has also been damaged. Fortunately, the substitutional vegetation was estim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of residual trees distributed along the walls, climat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imes, bu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and existing vegetation surve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ast target vegetation in Baekje historical sites in Seoul through quantitative experiments such as plant relic analysis in the futur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 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 Back, Seung-Jun;Kang, Hyun-Kyung;Kim, Sun-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4
    • /
    • pp.487-49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Gugok landscap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y deducing the vegetation landscape factors inherent in Yongha Gugok and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e of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Yongha valley in Woraksan National Park. There were broad and flat rocks, natural layered stones, clear water, light stones, stream, valleys, waterfalls, Pinus densiflor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as a result of deducing natural factors on poetry. There were P. densiflora and A. pseudosieboldianum appeared as one of main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The actual vegetat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natural vegetation occupied 67.5% and it was classified as P. densiflo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mongolica community, Q. mongolica-P. densiflora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The artificial vegetation(18.7%) was classified as Q. serrata community-Larix kaempferi community, Q. mongolica- Castanea cren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L. kaempferi-C. crenata community, fruticeta, L. kaempferi-Q. mongolica community. The grassland area(2.0%) was classified as Miscanthus sinens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d other areas were classified as landscape tree planting area, farm, orchard, residential area.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were P. densiflora community,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L. kaempferi community, Deciduous broad-leaved tree community in Yongha Gugok.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Shannon was 0.6274~0.9908 on the whole. Yongha Gugok, as a symbol of succession on confucianism and reverence for nature, should be preserved natural valley landscape being clean and wijungchuksa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historical and cultural Gugok,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plan is needed to landscape maintenance with P. densiflora community, density control with L. kaempferi community. And it is considered when natural disasters and artificial damages happened, P. densiflora-oriented vegetation restoration plan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restore.

Development of Eco-Friendly Eco-Mat for the vegetation-Restoration (생태복원을 위한 친환경적 식생매트 개발)

  • Park, Hyun-Jun;Kim, Sun-Joo;Kim, Chang-Bae;An, Min-woo;Choi, Kyo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12-2116
    • /
    • 2009
  • 최근 자연환경보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대두로 하천환경의 보전과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하천의 환경적 기능을 고려하는 관리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는 것이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하천기능 복원기술의 개발이다. 이는 하천정비나 관리에 있어서 하천의 생태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1990년대 이후 확산된 환경기능을 고려한 하천정비 및 관리보다 구체화된 하천의 생태환경기능의 회복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구성이 강화된 식생매트를 개발함에 있어 라텍스를 이용한 친환경 코팅 매트를 개발하여 식물의 정착효과를 비교분석하여 효율적인 저수호안공법을 제시 하였다.

  • PDF

The Management Plant of the Youido Satkang Ecology Park Based on Ecosystem Monitoring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

  • 최병언;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26-38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 나라 최초의 생태공원인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하여 생물서식환경 조성기법을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니터링은 생물서식환견으로서는 수환경과 토양환경을 분석하였고, 생물상 모니터링으로 식물상, 식물군집구조, 동물상으로 구분하였고, 동물상은 조류와 어류의 변화에 국한하여 고찰하였다. 구체적인 모니터링 내용은 식물상의 변화와 식물군집의 천이과정, 두 연못에 적용된 식생호안 공법별 식생피복룰과 발생식물상의 변화, 귀화식물의 발생 정도에 따른 귀화율의 비교이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조류와 어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 PDF

Classification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Management System (위성영상을 이용한 난대림 식생 분류와 관리 시스템)

  • 조성민;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2
    • /
    • pp.231-235
    • /
    • 2004
  • Landsat satellite images were analyzed to study vegetation change patterns of warm-temperate forests from 1991 to 2002 in Wando. For this purpose, Landsat TM satellite image of 1991 and Landsat ETM image of 2002 were used for vegetation classification using ENVI image processing software. Four different forest types were set as a classification criteria; evergreen broadleaf, evergreen conifer, deciduous broadleaf, and others.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was applied to classily forest types. Although it was impossible to draw exact forest types in rocky areas because of differences in data detection time and rough resolution of image, 2002 data revealed that total 2,027ha of evergreen broadleaf forests were growing in Wando. Evergreen broadleaves and evergreen conifers increased in total areas compared to 11 years ago, but there was sharp decrease in deciduous broadleaves. GIS-based management system for warm-temperate forest was done using Arc/Info.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base of Wando such as vegetation, soils, topography, land owners were built with Arc/Info and ArcView. Graphic user interface which manages and queries necessary data was developed using Avenue.

Numerical experiment of bed deformation in meandering channel depending on vegetation colonization and debris (식생대번성과 유송잡물에 따른 만곡부 하상변동의 수치실험)

  • Kang, Tae Un;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0-230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지성 호우는 대량의 홍수를 일으켜 유송잡물을 동반한 흐름을 야기할 수 있다. 대량의 유송잡물이 하상에 퇴적되면 통수능을 저하시키기도 하며 식생효과와 마찬가지로 유목주변으로 유속이 증가하면서 세굴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하상저하를 일으키며 수공구조물의 안정성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기후변화는 또한 강우패턴을 변화시켜 식생의 성장과 활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지역인 내성천 회룡포의 경우, 2015년 대가뭄 발생 이후 식생활착으로 인해 식생대 면적이 증가하고 잇는 상황이다. 이는 연구지역의 흐름과 사주교란 및 하상변동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식생의 증가는 유송잡물의 증가를 야기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생과 유송잡물의 영향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흐름모형인 Nays2D와 입자법기반의 유목동역학 모형을 활용하여 식생과 유송잡물이 하상변동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수치실험을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식생의 경우, 식생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시간에 따라 식생이 성장하여 항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유송잡물의 경우, 하상에 퇴적되는 유송잡물의 개수와 면적만큼 항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흐름의 경계 조건은 일반화된 부정류 수문곡선을 입력하였으며 초기 하도의 형상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는 평지로 가정하여 부정류에 따라 하상변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유송잡물보다 식생대 번성이 하상변동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송잡물의 경우 국부적으로 퇴적 분포되어 그 주변으로 침식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송잡물은 하안의 얕은수역에서 주로 퇴적되었다. 본 연구는 만곡부 하상변동에 대해 식생과 유송잡물을 고려하여 예측모의를 수행한 사례로서, 식생과 유송잡물이 흐름과 하상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는 추후에 식생을 고려하는 하천관리방안을 수립 시, 식생과 유송잡물의 영향을 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