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적 자연

Search Result 84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Vegetation Structural Restoration Model for Naturalness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 강현경;방광장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59-172
    • /
    • 2001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아까시나무림을 중심으로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녹지의 자연성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은 서울도심지역으로 중구 남산과 서대문구 안산, 서울외곽지역으로 은평구 봉산과 부천시, 성주산, 비도시지역으로 경기도 천마산을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로 구분하였가. 생태적 특성평가는 천이단계, 자연성 및 다층적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을 실시하였으며, 복원모델은 적정수종, 개체수, 흉고단면적, 수목간 최단거리를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복원모델은 비도시지역 중 자연성이 높으며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자생식물군집을 선정하였으며 적정식물은 교목성장 3종, 아교목성정 7종, 관목성장 16종, 주연부 수종 4종 초본식물 27종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아끼시나무림읜 자연성 복원을 위해서 자연림인 참나무류로의 천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자생종 중심의 생태적 복원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할 것이다.

  • PDF

Classification of Protected Flora through Delphi Method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천연기념물 식물 유형 개발)

  • Son, Ji Won;Shin, Jin Ho;Lee, Jae Jin;Kim, Do H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9 no.4
    • /
    • pp.218-227
    • /
    • 2016
  • Protected Flora are natural heritage that involve a wide variety of valuable natural values and cultural values. Over tim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has been changing the definition and the criteria of Protected Flora. In addition to the academic value and the rarity of the plant, historical, ethnic and landscape values have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or that reason the declaration and management processes of the Protected Flora need to be improved. However, the current statute has focu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which have a limit to encompass various values of the plant. It also does not correspond to the definition of Protected Flora and its declaration criteria stat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Law." For this reas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ypes of Protected Flora so that various Protected Flora can be discovered in the future.

Flora and Classification by Characteristics of Nature Every Second Year in Wolchulsan National Park (월출산국립공원 자연휴식년제 구간의 식물현황과 특성별 분류)

  • Oh, Hyun-Kyung;Beon, Mu-Sup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0 no.2
    • /
    • pp.201-211
    • /
    • 2007
  • The vascular plants at the nature every second year in Wolchulsan National Park was listed 325 taxa: 86 families, 205 genera, 283 species, 1 subspecies, 36 varieties and 5 form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Lilium callosum (Preservation priority order; No. 191), Viola albida (No. 202), Wikstroemia trichotoma (No. 120)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8 taxa were recorded; Carex okamotoi, Lilium amabile, Carpinus coreana, Clematis trichotoma, Stewartia koreana, Ajuga spectabilis, Weigela subsessilis, Adenophora triphylla var. hirsute.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4 taxa; Prunus davidiana, Wistaria floribunda in class IV, 9 taxa (Neolitsea aciculata, Vaccinium bracteatum, Utricularia racemosa, etc.) in class III, 5 taxa (Bupleurum longiradiatum, Ostericum melanotilingia, Cirsium schantarense) in class II, 28 taxa (Polygonatum falcatum, Eurya japonica, Ajuga spectabili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4 families, 6 genera, 9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2.8% of all 325 taxa vascular plants.

자연학습장으로 활용을 위한 제주시 지역 습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 O, Sun-Ja;Jin, Guk-Rim;Go, Seok-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0-172
    • /
    • 2008
  • 28개소의 습지를 대상으로 총 131종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수생식물은 총 71종으로 전체식물의 54.2%에 해당한다. 식물 종다양성의 측면에서 보면 반못, 정물, 모사니물, 돌개기못, 웃못, 용수저수지 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물과 용수저수지를 비롯하여 모사니물, 돌개기못, 웃못, 연화못 등에는 식물의 생활형이 5$\sim$6군으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수생식물의 유형은 정물, 모사니물, 용수저수지, 반못, 돌개 기못, 몰순이못, 웃못 등 23개소에서 4군 또는 5군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물, 용수저수지, 돌개기못, 모사니물, 웃못 등은 식물의 종다양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활형의 식물이 분포하고, 수생식물의 유형이 다양하고 수생식물의 종수 또한 많아 습지에 대한 환경 교육의 기본적인 지식의 습득과 자연 관찰을 위한 자연학습장으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수생식물들 중에는 보호대상 식물인 물부추, 좀어리연꽃, 통발, 흑삼릉 등이 출현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존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식물모사 유동 연구개발 동향

  • Lee, Jin-Gi
    • Journal of the KSME
    • /
    • v.53 no.5
    • /
    • pp.35-40
    • /
    • 2013
  • 이 글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가 수행되는 자연모사 기법 중 식물모사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식물의 유동 원리 및 중요성, 식물 유동원리를 이용한 식물모사 마이크로 디바이스의 설계, 식물의 진화혼적 최적화의 공학적 접근에 대해 논한다.

  • PDF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 Jung, Su-Young;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Types of Natural Monument Plants in Different Countries (천연기념물(식물)의 유형 및 지정기준 변화에 대한 비교 고찰)

  • Son, Ji-Won;Shin, Jin-Ho;Ji, Yun-Ui;Lee, Na-Ra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0 no.2
    • /
    • pp.26-39
    • /
    • 2017
  • Natural monument system was originally developed as an environmental movement and introduced in Korea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Korea, Japan and Germany are the countries that have the natural monument systems. They are controlled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in Korea and Japan but by the law of the protection of natural environment in Germany. For that reason the progress of the law and policy directions are similar between Japan and Korea. The natural monument system of Korea has been in use since 1930s, but the values and conditions of natural monument systems have changed over time. In terms of contents, these days cultural identity involved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an the natural scenic and ecological values, or rarity of plants. Also it's a trend to expand the preserved area around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been preserved on individual basis befo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and manag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potential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by creating the registration standard for natural heritage.

Pond Vegetation Assessment of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수도권 지역 골프장의 연못식생 평가)

  • Kim Chang-Hwan;Ahn Deug-Soo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4 no.3
    • /
    • pp.279-288
    • /
    • 2005
  • The vascular plant at Korea CC was researched in 95 taxa and Korea CC had the highest number of vascular plants among the ponds of 9 golf courses in the capital reg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at Eunhwasam CC was 21 taxa which followed as the second most. Most of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consist of a mon-ocotyledon with 1-2 years of life and a dicotyledon as perennial. The ratio between an introduced species of pond vegetation and planting species from Jisan CC is $52.3\%$, which is the highest. The lowest ratio of those is $21.1\%$, which is from Pine Creek Cc. Pine Creek CC has 25 plant communities in total, with 16 semi-natural and natural communities and 9 planting or introduced communities. Pine Creek CC has the most varied plant communities among 9 golf clubs. There are plant communities of semi-natural and natural vegetation from all ponds, and there are 12 aquatic plant communities at disturbance or planting vegetation. We found out that Pine creek CC has more natural communities than disturbance or planting communities compared to other golf clubs, and there is not any natural vegetation at Pristine Valley CC. According to value grade from assessment indicator, the natural aspect of Seseoul CC and Eunhwasam CC are the lowest among 9 golf clubs. Taeyoung CC, Eunhwasam CC, Jisan CC, Seseoul CC are superior in made vegetation among the group in terms of euclidean similarity coefficient on natural aspect and are classified as one group. Korea CC and Pristine Valley CC have distinguished semi-natural vegetation and Midas Valley CC and Pine Creek CC, which have a relatively high natural aspect, are classified as one group. Blue Heron CC is separated from other groups into its own group because it has a high value of scenery in particular. In conclusion,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ural aspect of a pond and size of vegetation.

Damage of Nature-Friendly River Works by Heavy Rain (집중호우에 의한 자연형하천 공법의 훼손 및 유실 현황)

  • Kim, Jin-Hong;Kim, Eun-L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82-182
    • /
    • 2011
  • 2010년 9월 21일 오전부터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최대 200mm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로 인해 도림천에서는 하천 복원 공사가 한창이었으나, 공사가 진행된 지점에서 자연형하천 공법의 훼손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자연형하천 공법의 훼손 현황을 현지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이의 원인을 검토, 분석하여 복구대책 수립에 지침이 되도록 하였다. 자연형하천 공법의 훼손은 주로 하천의 수리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발생하였다. 흐름의 유속을 고려하지 않는 수생식물 식재, 하도 내에 설치된 진입계단, 전망데크, 불투수성의 자전거길 및 저수호안공의 훼손은 추후 흐름의 유속과 와류 등을 고려한 수리적인 안정성 확보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한편, 저수호안에 식재한 갯버들+자연석 호안공은 이번 호우에도 어느 정도 대응 가능하였음을 감안할 때, 흐름의 유속이 빠르다고 하여 자연석 호안공을 시멘트로 메워 식생을 도입하지 않았던 공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comparative study of vegetation between River Experiment Center and near-streams (하천실험센터와 주변 하천의 식생 비교 연구)

  • Kim, Eun-Jin;Yeo, Hong-Gu;Park, Moon-Hyeong;Kim,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42-742
    • /
    • 201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는 이수, 치수, 환경을 조화시키는 하천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2009년 11월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하아리 낙동강변에 준공되었으며 초당 8톤의 인공홍수발생이 가능한 3개의 실험수로와 유 출입수조, 다목적호수실험장, 저류지 및 연구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하천실험센터의 식생과 3가지 유형(본류형, 자연제방지류형, 인공제방지류형)의 인근 하천식생을 비교분석하여 하천실험센터의 현재 식생환경을 파악하고 차후 연구의 기초선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하천실험센터(급경사수로, 직선수로, 사행수로, 유출수조, 자연식생보존구간),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에서 대표성을 갖는 장소 각각 1개 지소를 선정하여 식물상조사 및 식생단면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습생도, 교란도, 외래종율, 종다양성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하여 현재 하천실험센터의 식생환경이 타 조사지의 하천식생과 비교하여 어떤 유사성을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전체조사구간에서 총 108종류의 식물이 출현하였다. 3개의 실험수로는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일반하천의 수 습생식물의 종수보다 적었으며 반면에 육상식물의 종수는 더 많게 조사되었다. 또한 1 2년 식물의 경우 실험수로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고 다년생초본과 목본은 소수였다. 하천실험센터의 자연식생보존구간의 경우 총 식물 종수 및 수 습생식물의 종수가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식물상의 출현유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낙동강 본류, 상리천, 하아천과 유사도가 낮게 구분되었으며 자연식생보존구간은 낙동강 본류 및 상리천과 유사도가 높게 분류되었다. 하천실험센터의 실험수로는 준공당시 기존의 식생이 모두 제거된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조성되었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하천식생의 특징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육상식생에 가까운 식생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식생보존구역의 경우 다양한 버드나무류와 초본류가 정착되어 있으며 타 대상지에 비하여 가장 뛰어난 생태성을 가지고 있다. 하천실험센터는 하천실험을 위한 장소이나 그 자체로 생태가치가 높으며 차후 생태연구, 홍보, 교육활동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