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식물상 연구

Search Result 1,1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Flora of Munsu Mt. in Gimpo (김포 문수산의 식물상)

  • Jong-Won Lee;Yu Cheol Park;Seung Se Choi;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35-35
    • /
    • 2020
  • 본 연구는 한남정맥의 최 북서쪽에 위치한 경기도 김포시의 문수산(376m) 일원을 중심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97과, 241속, 340종, 41변종, 6아종, 2품종 등 총 389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병꽃나무, 복사앵도 및 산이스라지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은 부싯깃고사리, 비목나무, 삿갓사초, 소사나무 등 15분류군,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돌단풍, 피나무, 오리나무 등 6분류군, III등급은 좀작살나무, 좀개미취, 산벚나무, 병아리꽃나무 등 5분류군, IV등급은 복상앵도, 산복사 등 3분류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외래종 및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도깨비가지, 미국쑥부쟁이, 애기수영, 털물참새피 등 53분류분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조사되었던 멸종위기종 II급인 매화마름과 산림청지정 희귀식물 위기종 깽깽이풀 2분류군이 조사되지 않아 추후 추가 조사 및 유전자원 현지내외 보전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PDF

Diversity of Moojechineup's flora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 Park, Seongjun;An, Bo-Ram;Jang, Soon-Young;Park, SeonJo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1 no.4
    • /
    • pp.370-382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area around four moors from May 2009 to June 2010 for plant diversity in Moojechineup, officially designated as the Ramsar wetland. The vascular plants of Moojechineup at Mt. Jeongjok were recorded as total 149 taxa, 55 families, 105 genera, 128 species, 1 sub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Rare plants were observed 7 taxa (Eriophorum gracile Koch, Drosera rotundifolia L.,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Kobresia bellardii (All.) Degl, Utricularia bifida L., Utricularia racemosa Wall., Utricularia yakusimensis Masam.). Korean endemic plants were 1 taxon, floristics special plants were 19 taxa, and naturalized plants were 3 taxa. Phytogeographical and evolutionarily, Eriophorum gracile is an important species; henc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serve it. Moojechineup is similar to the Shinbulsan wetland in terms of wetland plants (hydrophytes). Moojechineup's flora changes are in process slowly compared to earlier work; thus, continuing interest a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encouraged.

Effects of Plants, Rhizobacteria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n the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오염 토양의 식물상 복원효율에 미치는 식물, 근권세균 및 물리.화학적 인자의 영향)

  • Hong, Sun-Hwa;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5 no.4
    • /
    • pp.261-271
    • /
    • 2007
  • Phytoremediation is an economic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echnique to remediate contaminated-soil.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lants, rhizobacteria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n phytoremediation have been reviewed. For successful phytoremediation, the selection of plants is primarily important. To remediate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 raygrass (Lolium multiflorum lam), white mustard, vetch (Vicia villosa),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legumes, poplar, and Pine (Pinus densiflora) were mainly appli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etroleum hydrocarbon were ranged 68 to 99%. Corn (Zea mays), raygrass (Lolium multiflorum lam), vetch (Vicia villosa), mustard, clover (Trifolium repens), and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were used for the removal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and their removal efficiencies were 50-98%. Rhizobacteria play significant roles for phytoremediation because they can directly participate in the degradation of contaminant as well as promoting plants growth. The following rhizobacteria were preferred for phytoremediation: Azospirillum lipoferum, Enterobactor cloacae, Azospirillum brasilense, Pseudomonas putida, Burkholderia xenovorans, Comamonas testosterone, Pseudomonas gladioli, Azotobacter chroococcum, Bacillus megaterium, and Bacillus subtilis. P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pH, temperature, nutrient, electron acceptor, water content, organic content, type of contaminants are consequential limiting factors for phytoremediation.

Composition,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Andong Serpentine Flora, South Korea (안동 사문암 지역의 식물상과 생태와 보전)

  • Park, Jeong Seok;Kim, Yun Ha;Nam, Hee Jung;Eom, Byeongcheol;Lee, Gyeong-Yeon;Kim, Jong Wo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4
    • /
    • pp.515-540
    • /
    • 2022
  • The ultramafic serpentine area, the small size of 3 km2, remains in Andong, South Korea. We researched the ecological flora and its structure through the 12 times field investigations from 2013 till 2018. A total of 527 taxa including the previously recorded species-list was analyzed. Among them, 331 taxa were filed up as a real flora of the serpentine area. On the vegetation land-cover map describing a characteristic aspect of species distribution, a matrix of the sparse forest by Pinus densiflora and the grassland patches were the main landscape. The study area was acknowledged as a home for the ethnobotanical species and grassland components, and clearly distinctive from the non-serpentine area. The original habitat was too deteriorated by introducing the non-site soils and exotic plants. Conclusionally a designation of a protected area and the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were requested.

Flora and Actual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Mt. Hambaek (함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및 현존식생)

  • Lee, Jung-Hyun;Kim, Dong-Kap;Shin, Jae-Kwon;Jung, Se-Ho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49-49
    • /
    • 2018
  • 본 연구는 함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데이타 수립을 위하여 식물상과 정밀식생조사를 수행하였다. 함백산 산림유존자원보호구역에 분포하는 식물상은 83과 222속 321종 2아종 36변종 등 359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산마늘, 등칡 등 총 10과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3등급 종은 15과 20분류군, 4등 급종은 8과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산림청 특별산림보호 대상종은 3과 3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7과 10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9과 16분류군이 출현하였다. 함백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26개 조사구역에 대하여 정밀식생조사를 수행한 결과. 식생유형은 산지관목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가래나무군락, 거제수나무군락,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 거제수나무-층층나무군락, 거제수나무-피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피나무군락, 피나무-거제수나무군락 등 총 11개의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생조사와 드론을 활용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 함백산 유전자원보호구역은 총 470.9ha로, 그 중 신갈나무군락이 총 390.8ha로 가장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이 34.3ha, 산지관목림 18.5ha 순으로 대부분 10ha 이하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with The Types of Abandoned Channels in The Mangyeong River (만경강 폐천 유형별 식생구조 분석)

  • Kim, Eun-Jin;Hong, Il;Yeo, Hong-Koo;Cho, K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23-2027
    • /
    • 2009
  • 본 연구는 현재와 과거의 하도 지형자료 분석을 통하여 만경강에서 나타나는 폐천(Abandoned channel)을 파악하고, 유형을 폐쇄형, 개방형, 육화형 폐천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본류구간과 함께 식물상 및 식생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만경강의 경우 1918년 하도 형태가 경지정리 및 치수사업에 따른 제방축조 등 인위적인 절단(Engineered cutoff)으로 8개소 이상의 구간에서 하도 선형이 크게 변경됨으로써 폐천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폐천부지는 육화형태의 농지 이용 및 개방형 또는 폐쇄형의 습지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천 유형에 따라 나타난 식물상은 폐쇄형 56종류, 개방형 31종류로 조사되었다. 육화형의 본류의 경우 보에 의한 영향으로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과 저수로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등의 수생식물이 우점하는 정체수역이 나타났다. 개방형 폐천은 갈수기에도 수심이 깊은 수역이 확보되어 본류에 비하여 출현종수가 높았다. 폐쇄형 폐천은 연꽃(Nelumbo nucifera),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등의 다양한 수생식물이 출현하여 본류에 비해 안정된 습지 생태계를 유지하였다. 만경강의 개방형과 폐쇄형 폐천은 수생식물의 증가와 전형적인 습지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본류의 정체수역이 관찰되었다. 본래 하천의 연속성을 향상하기 위한 유수생태계의 복원은 하천의 건강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이 될 것이다.

  • PDF

The Vascular plants of Ganmu-bong(Inje, Gangwon) in the vicinity of the DMZ (DMZ 일원 간무봉(강원도 인제군)의 관속식물상)

  • Bak, Gippeum;Park, Jinsun;Hwang, Hee-Suk;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Song, Jin-Heon;Yoo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2-72
    • /
    • 2019
  • 간무봉(555.8m)은 강원도 인제군 남면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으로 대부분 둘러싸여 있으며 북서쪽에 봉화산(874.4m), 북동쪽에 기룡산(940.4m)과 이어진다. 현재까지 간무봉을 대상으로 한 식물상 조사 이력은 없었으나, DMZ 일원에 위치하는 산이기 때문에 DMZ의 식물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보전하고 탐색하는 의미가 있다. 현지조사는 2018년 4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수행하였다. 간무봉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소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형태였으며, 조사 결과 관속식물은 73과 175속 211종 3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4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그 중 양치식물은 고비, 고사리삼, 십자고사리, 퍼진고사리 4분류군이고, 나자식물은 소나무, 일본잎갈나무 2분류군, 피자식물은 노랑제비꽃, 은방울꽃, 꽃향유 등 205분류군이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494분류군(국립수목원, 2016)의 5.45%에 해당한다. 간무봉에서 확인한 특산식물은 진범, 할미밀망,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등 6 분류군이며, 희귀식물은 미치광이풀(LC), 말나리(LC) 2 분류군 이외에 VU 이상에 해당하는 희귀식물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침입외래식물(국립수목원, 2016)의 경우 미국자리공, 수박풀, 미국쑥부쟁이, 단풍잎돼지풀 등 17 분류군이었다. 간무봉 주변에는 경작지, 군부대 훈련장소 등이 있으며, 서쪽 사면은 이미 벌목이 많이 된 상태이며, 북동쪽도 마을과 더불어 경작지로 개간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인위적인 간섭이 많은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미 유입된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종에 의한 변화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 PDF

A history of bryolog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선태식물 연구사)

  • Lee, Ji-Yeon;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2 no.2
    • /
    • pp.109-115
    • /
    • 2012
  • This study introduces the bryological history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rench missionary Urban Faurie was the first person to collect Korean bryophytes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ost of his bryophyte collections from Korea were studied and recorded by Jules Cardot (for mosses) and by Franz Stephani (for liverworts). Japanese studies of Korean bryophytes were described in chronological order. Hong Won Shic and Choe Du Mun carried out an inventory and flora research on bryophytes in South Korea. The most recent bryological studies of North Korea are also reviewed here as a reference.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 Jung, JI-Young;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