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식균성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해조류 첨가사료가 돌돔의 성장과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 김병기;원경미;유병서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80-81
    • /
    • 2003
  • 양식 생물의 질병 제어는 예방과 치료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항생제의 오ㆍ남용으로 인하여 약제 내성균의 증가와 치료 효과가 감소하고, 나아가 식품안전성 문제로 양식생물의 소비를 위축시켜왔다. 따라서 질병이 발생한 후에 시행하는 화학약품 치료법은 이미 한계에 달하였다. 이에 따라 사전에 질병을 차단하는 예방법인 vaccine이나 질병에 대한 저항능력을 키우는 비특이적 면역 증강물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해조류에는 다량의 lectin이 포함되어 있는데, Lectin은 당에 결합하는 단백질의 총체적인 이름으로, defence molecule로 작용하여 어류가 섭취할 경우 외래 항원으로 인식하여 지속적으로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돔사료에 kelf meal을 첨가하여 공급한 후 이들의 성장과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상업용 kelf meal을 0%, 2%, 5% 첨가하고, 2반복으로 500L FRP 탱크에서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어류는 40g 내외의 돌돔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료공급 4주 및 8주에 각 실험구의 돌돔을 대상으로 비특이적 면역기구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체액성 면역 조사로는 혈청 및 점액 lysozyme 활성과 Escherichia coli에 대한 혈청 내 보체의 살균 능력을 조사하였고, 세포성 면역 조사는 전신 식세포의 NBT 환원 실험과 말초혈액의 식세포 식균능을 측정하였다. 식균능 시험은 Escherichia coli FKC (formalin killed cell)에 대한 식균율 및 식균지수로 나타내었다. 나아가 돌돔 말초혈액의 혈구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혈구 5,000 세포당 임파구, 전구, 호중구의 수를 계수하였다. 8주간의 사육결과 사료계수는 각각 1.20, 1.25, 1.42로 대조구와 2% 첨가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5% 첨가구는 나빠지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섭취량은 kelf meal의 첨가량이 늘어나면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비특이적인 면역 기구에 대한 자극 효과는 체액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lysozyme의 활성도는 혈청과 점액 모두에서 대조구보다 실험구에서 활성이 높았고, 혈청 lysozyme 활성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내 보체의 살균능은 실험구간 차이가 없었다. 세포성 면역의 지표로 측정한 전신 식세포의 $O_2$ 생성능(NBT 환원능)은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의 식균능은 식균율과 식균지수 모두 실험구에서 높았고, 특히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말초 혈액 혈구조성의 변화는 임파구와 전구의 경우 실험구에서 높았으나 호중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양식 돌돔에 kelf meal을 2% 첨가하는 것이 사료계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돌돔의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을 적절히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나, 돌돔의 기능성 사료 첨가물로서 이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 및 생물학적 특성 (Host plants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lleis koebelei Timberlake (Coleoptera: Coccinellidae: Halyziini) in Gyeonggi-do)

  • 이영수;장명준;이진구;김준란;이준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5-301
    • /
    • 2015
  • 경기도 8개 지역에서 2010년부터 2012년 동안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발생기주를 조사한 결과, 흰가루병에 감염된 12종의 식물에서 관찰이 되었다. 특히 가장 밀도가 높았던 배과원에서 노랑무당벌레는 7월 상순부터 11월 상순까지 발견되었다. 식균성인 노랑무당벌레의 장내에서는 흰가루병 균사나 포자 외에 다른 먹이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고, 알과 번데기를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균을 섭식하는 특성을 볼 때 절대적 식균성 곤충으로 생각된다. $25^{\circ}C$에서 오이 흰가루병균을 섭식한 노랑무당벌레의 발육기간은 알, 유충, 번데기, 성충이 각각 3.9, 10.4, 4.1, 37.7일 이었고, 발육단계별 오이 흰가루병 섭식량은 45.6, 144.4, 372.2, 628.1, $473.7mm^2$로 4령, 성충, 3령, 2령, 1령 순으로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노랑무당벌레의 오이 흰가루병에 대한 섭식능력을 바탕으로 향후 유용 토착천적으로써 대량사육기술, 저독성 약제 선발 등 작물 흰가루병 종합방제기술(IPM)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Demethylteracycline 발효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Demethyltetracycline Fermentation)

  • 최남희;장덕진;양한철;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3-206
    • /
    • 1992
  • Demeclocycline 생산균주를 세포 융합하여 얻은 변이주를 이용하여 demethyltetracycline을 생산하기 위한 발효조건에 대해 연구한 결과, 발효 최적온도는 $25^{\circ}C$였고, 초기pH는 6.7였으며 발효기간 중 pH를 일정하게 조절하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식균량이 많을 수록 초기 당 소모와 점도가 높았는데, 이는 식균량이 증가함에 따라 발효가 급격히 진행됨을 나타냈다. 식균량은 5(v/v)일 때 생산성이 가장 높았으며 전배양 시간과 전배양 pH가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 PDF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혈구세포 식균반응에 대한 피리프록시펜의 억제효과 Nalini Madanagopal (Pyriproxyfen Inhibits Hemocytic Phagocytosi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이용준;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4-170
    • /
    • 2007
  • 외래 병원체 침입에 대해서 방어기작으로서 곤충이 보이는 선천성 면역작용은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을 포함하며, 이는 비자기 인식 후 유기된다. 최근 여러 연구는 유약호르몬이 외래 물질에 반응한 세포성 면역작용을 조절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약호르몬 동력제로서 곤충생장조절제인 피리프록시펜을 이용하여 이 약제가 가지는 면역억제작용을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하여 파밤나방 최종령 유충으로부터5가지 형태의 서로 다른 혈구세포를 동정하였다. 이 가운데 과립혈구와 부정형혈구는 전체 혈구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Giemsa 염색법에 의해 이들 상호간에 뚜렷한 형태적 구분이 가능했다. 유약호르몬 동력제인 피리프록시펜의 혈구세포의 식균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FITC로 표지된 세균(Providencia vermicol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과립혈구와 부정형혈구는 활발한 식균작용을 보였다. 피리프록시펜은 현격하게 이들 두 혈구세포의 식균작용을 억제시켰다. 본 연구는 면역억제자로서 피리프록시펜의 새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앤드류스 실습림의 토양절지동물의 종류와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Fauna of Soil Microarthropods in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 우건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0-220
    • /
    • 1989
  • H.J. Andrews Expt. Forest의 토양절지동물의 분포상을 조사한 결과 Coleoptera가 14과 41종으로 우점군임이 밝혀졌으며, 토양응애는 6과 7종의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Typhlodromus, Gymnodamaeus, Phauloppia 및 Scleroribates 등은 계절변동 없이 발생하고 있음이 알려져 구북구계의 발생생태와 차이가 있었다. 기타 곤충군의 발생은 Collembola 4과 16종, Psocoptera 4과 4종, 식균성 총채벌레 3과 16종, Hemiptera 1과 1종, Diptera 3과 6종, Hymenoptera 1과 10종이었다. 산림토양의 절지동물은 산림생산단계의 1차 분해자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부식절이 풍부한 토양조건은 무식생구에 비하여 종다양성은 낮으나 안전도가 높게 나타나 재생산의 주요인자로 해석된다.

  • PDF

Streptococcus iniae의 형태학적 특성과 병원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Streptococcus iniae)

  • 김현정;우승호;김진우;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 iniae의 병원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capsule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에 따른 capsule과 병원성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즉, 집락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viscous form (V+)과 non-viscous form (V-)의 균주로 구분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리균의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으로는 숙주의 방어 기작에 대한 저항성이나 병원성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형태학적으로 큰 차이를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V+인 경우 cell wall 표면에 capsule이 존재하지만 V-에서는 capsule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V+는 넙치 혈청에서 증식할 수 있지만 V-는 넙치 혈청에 의해 살균되는 것으로 나타나 capsule의 유무에 따라 넙치의 체액성 면역 요소에 대한 저항력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V+는 넙치 신선 혈청으로 감작한 경우에도 V-에 비해 macrophage의 식균율이 낮았으며 식균된 이후에는 균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일반 어류 주화 세포 내로 침입하여 생존 및 증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는 앞으로의 백신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식 세포인 Raw264.7 cell에서 scopoletin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copoletin in RAW264.7 Macrophages)

  • 이수경;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2호
    • /
    • pp.1377-1383
    • /
    • 2015
  • Scopoletin은 Erycibe obtusifolia, Aster tataricus, Foeniculum vulgare 그리고 Brunfelsia grandiflora라는 식물들에서 발견된 성분이다. 이것은 신 혈관형성 억제와 항알러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식세포인 Raw264.7 cells 에서 scopoletin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조사되었다. 먼저 Scopoletin이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cells에서 nitric oxide (NO) 생성과 식균작용(phagocytosis)에 대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였다. Scopoletin은 NO생성과 식균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NO와 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과 관련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염증성 cytokine인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그리고 TNF-α의 발현을 조사 하였는데, IL-1β and IL-6의 발현은 scopoletin의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는 scopoletin을 8 hr 처리하였을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copoletin이 iNOS, COX-2, IL-1β, IL-6, TNF-α 또한 phagocytosis 그리고 NO생성을 감소시켜 항염증 효능을 나타내어, 향후에 항염증제로서 활용의 잠재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Vibrio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 사람 분리균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의 생존율 (Viability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solated from human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임수연;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7-63
    • /
    • 2022
  • Vibrio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 같은 인체 위해성 세균들은 수산물을 통하여 인체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생선회로 선호도가 높은 넙치에서 이들 세균이 어느 정도 생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온도와 염분 농도가 다른 배지에서 이들 세균의 생장도를 조사하였다. 37℃ 에서 보다 25℃에서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는 약 50~60% 감소한 생장률을 보였다. 그러나 1%, 2% 및 3% NaCl을 함유한 배지로 25℃에서 배양하였을 때의 생장은 3% NaCl을 함유한 배지에서 V. vulnificus가 증가된 생장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 차이는 없었다.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넙치의 감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106CFU/fish로 복강 주사하여 인위 감염을 하였으나 1주일간 사망 개체는 없었다.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넙치의 방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넙치의 혈청 및 체표 점액에서의 세균 생존력과 신장에서 분리한 macrophage의 식균 활성을 알아보았다. 혈청에서는 3시간 이내에 각각 85%, 99% 이상의 균이 제거되었고 체표 점액에서는 12시간까지 세균 수가 감소하였으며 신장백혈구는 약 70% 이상에서 식균 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넙치는 환경 수에 있는 V. parahaemolyticus와 V. vulnificus에 대한 단순 이동매개체로 작용한다 할지라도 발달된 자체 항균력으로 이들 세균의 수를 감소시켜 인체 감염 가능성을 저하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어류 병원성 세균 Edwardsiella 에 대한 뱀장어의 면역 반응 (Immune response of eel against fish pathogen, Edwardsiella tarda)

  • 박수일;최윤정;이주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20
    • /
    • 1993
  • 뱀장어의 복강내에 Edwardsiella tarda의 FKC, HKC 및 crude LPS를 주사한 후 경시적으로 순환혈액 중 면역세포 수의 변화와 식작용, 항체가를 비교하여 항원 종류별 뱀장어의 면역 반응을 검토하였다. 백신 투여 뱀장어의 순환혈액 중 림프구 수는 백신 투여 후 6시간까지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24시간 후에는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이후 모든 면역 실험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림프구 수가 증가된 상태로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중구의 출현수를 대조구와 비교하면 백신 투여 후 12시간 이내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서서히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백신 투여 실험구의 혈청중 항체가는 백신 투여 3주째에 128에 이르러 높은 항체가가 지속되었으나, HKC 면역구의 경우에는 6주후 4로 떨어졌다. 호중구의 식작용에 있어서는 LPS 면역구의 항원 주사 6시간 후와 1주후의 반응 6시간째의 식균지수가 각각 28.3과 3.9로 가장 높았다. 항원 주사 후 12시간째의 식균지수가 반응 6시간째 FKC 면역구 18.8, HKC 면역구 10.7, LPS 면역구 28.3 및 대조구 1.2로서, 1 주 후 각 면역구의 식균지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 항혈청의 항균작용은 FKC와 LPS 투여구에서만 나타나고, HKC 투여구에서는 세균 수의 감소를 볼 수 없었다. 그리고, 공격시험에서는 HKC, FKC 및 LPS 면역구의 RPS가 각각 10%, 20% 및 30% 이었으므로, 본 세균은 항원의 처리 방법에 따라 숙주의 방어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of DA-l131, A New Carbapenem Antibiotic(III)

  • Park, Seong-Hak;Kim, Gye-Won;Kim, Ji-Young;Kim, Dong-Sung;Chang, Min-Sun;Junnick Ya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9-239
    • /
    • 1996
  • DA-1131은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Proteus mirabilis, Proteus vulgaris 및 Pseudomonas aeruginosa 의 시험균주에 대하여 1-4의 MBC/MIC 비를 나타내었으며, 약물첨가에 의한 세균증식억제 과도 매우 우수하였으므로 광범위의 강력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A-1131의 PAE는 S. aureus Smith에 대하여는 1.28시간, K. pneumoniae 1에 대하여는 0.65시간, P. aeruginosa 93에 대하여는 1.90시간으로 나타나, MIC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도 세균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E. coli K-12에 DA-1131을 1/4 MIC(0.0125 $\mu\textrm{g}$/$m\ell$) 농도로 작용시켰을 때 균의 팽화와 신장 및 구형화가 동시에 일어나는 등 균형태변화를 초래하는 효과와 큰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DA-1131은 감염방어효 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는 mouse macrophage와 매우 우수한 협력적살균작용을 나타내어 E. coli K-12 생세포는 1/16 MIC 이상의 DA-1131 공존하에서 쉽게 식균소화(phagocytosis)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