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학(詩學)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주택가 길의 차량통행이 도시 주민들의 사회적 교류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raffic of residential street on the social interactions among urban residents)

  • 최유선;노시학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3-43
    • /
    • 2000
  • 주택가 길은 거주지인 주택들과 인접하여 있다는 특성으로 인해 도시 내 다른 어떤 길들보다도 주민들간의 사회적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는 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활발한 사회적 교류가 이루는 서로간의 신뢰, 지역애, 연대의식의 고양은 급진적으로 진행되어온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인간소외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주택가 길에서의 주민들간 사회적 교류는 과도한 차량통행으로 인해 적극 제한되고 있다. 경험적 연구 분석 결과, 교통량이 많은 길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담소, 놀이 등의 사회적 교류활동이 현저하게 낮게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사회적 교류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사회적 교류의 잠재적 활동 예컨대, 휴식, 작업, 운동 등 주택가 길에서의 개인적 활동 및 어린이 놀이의 동반활동 등도 주택가 길의 차량이 많을수록 활동정도가 낮아진다. 주택가 길에서의 이러한 활동에 제약을 주는 요소로서 차량을 인식하는 정도는 교통량이 많은 길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 PDF

도시교통의 사회적 영향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 노시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7-47
    • /
    • 1996
  • 경제적 효율성의 추구를 최고의 목표로 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생산과 소비의 과정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수행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통행에 소요되는 시간은 일종의 '낭비'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통행은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자가용 등 차량에 의한 통행이 선호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차량통행의 증가 특히 자가용 통행의 증가와 이에 따른 차량위주의 도시교통체계는 여러가지 형태의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며 특히 차량통행의 증가에 따른 지역사회의 황폐화, 계층간 접근성 및 이동성의 차등화 등의 측면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교통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영향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교통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사회적 영향들의 형태와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수도권 노인 통행행태의 변화 (Change in Travel Behavior of the Elder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노시학;조창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81-796
    • /
    • 2011
  • 우리나라 인구의 급격한 노령화 추세로 인해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장년과 비교한 노인의 통행행태의 특성을 검토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노령화가 진행되는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도와 2006년도의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 노인통행은 청장년과는 많은 측면에서 큰 차이들을 보이며, 노인 인구, 특히 65세에서 69세 사이의 '젊은'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는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도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이러한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 증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태 여성시의 텍스트성 비교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A Comparative Study of Textuality in Korean-Thai Female Poems -Feminism Point of View-)

  • 임명숙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2호
    • /
    • pp.263-2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and compare the contemporary Korean-Thai female poems from a feminine standpoint to newly clarify the textuality of their poems. The textuality defined in this manuscript is the text of Korean-Thai contemporary female poems. To newly clarify the textuality of their poems are to go against the existing discussion method and to newly read out the text as re-vision method. This discussion is to analyse deeply how the central exis composing a text which is the identity of woman in a body, appearance of uttrance, or action of abjection is exposed in gender space and to identify the poem's textuality. In other word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text of poems, which are very complicated as a skein of yarn, place a high value of Korean-Thai female poems. Transcending time, nations and races, if the text of female poem would not free from a biased male-dominated thinking or make a mystery of female poem textuality without critics or tend to be stereotype the text of poem as pathos of female, it would not get out from man-centered reading. To escape from the state of sexual discrimination, the new reading method was seriously analysed and found out that the female text poems not only implicate sexual discrimination but also link to expansive cultural and social structure. And for that reason, this study raise a question to male-dominant sexual discriminated norm.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rough this elaborate and in-depth text poem analysis, a creation process of female poem is traced. Eventually, the comparative study on Korean-Thai female poems is meaningful and worthy in regard to the contribution to promo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Thai two nations and furthermore extend to East Asia to make a basement for the vitalization of Asia comparative literature.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과 그의 철학 (Aristotle's writings and his philosophy)

  • 이재현
    • 철학연구
    • /
    • 제144권
    • /
    • pp.285-318
    • /
    • 2017
  • 본 논문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기본 이해와 태도에 대하여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 주목하여 반성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관되고 통일된 하나의 체계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이 철학이 가진 학문적 위상에 비춰볼 때 당연한 기대처럼 여겨진다. 특히 현재 우리에게 전승된 그의 저작은 논리학에서 출발하여 자연학, 형이상학, 윤리학과 정치학, 그리고 수사학과 시학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순서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이념에 기인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도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그의 저작이 전승되고 편집된 역사를 살펴보면 이러한 기대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이해하기보다 오해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나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의 초기 전승사, 특히 기원전 1세기경 최초의 아리스토텔레스 전집(Corpus Aristotelicum)의 편집자로 알려진 로도스 출신의 안드로니코스의 작업을 주목함으로써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가진 구성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작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함께 전승된 저작에 대한 고전문헌학적 고찰, 그리고 그의 철학 전반에 관한 폭넓고 깊이 있는 이해와 관련되지 않을 수 없다. 결론적으로 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가지는 구성적 특징을 그의 저작이 전승된 과정에서 유심히 살펴봄으로써 '순수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완전한 복원과 재구성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이 주장이 그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아말릭 희곡의 부조리 시학 (Poetics of the Absurd in Andrei Amalrik's Dramaturgy)

  • 박현섭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281-296
    • /
    • 2017
  • 안드레이 아말릭의 희곡들은 70년 소비에트 희곡사에서 전무후무한 독특한 현상이다. 그것은 소비에트 희곡이 20세기 초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성과를 고의적으로 망각한 지 반세기가 지난 뒤에, 동시대 서방의 실험적인 연극 실천들로부터 철저하게 고립된 소비에트의 연극 환경 속에서 느닷없이 출현한 괴물 같은 부조리 희곡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아말릭의 희곡들은 현재의 러시아 내에서 뿐만 아니라 외국의 러시아 문학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거의 잊혀져가고 있다. 소비에트 체제가 붕괴한 뒤, 러시아에서는 1991년에 아말릭의 수기가 발간된 것 말고는 작품집도 나오지 않았으며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재평가 움직임도 눈에 뜨이지 않는다. 그러나 아말릭은 반드시 온당한 평가를 받아야 하는 작가이다. 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고골, 흘레브니꼬프, 마야코프스키, 오베리우 등으로 이어지는 러시아 그로테스크-부조리 극문학의 혈통을 복원하는 일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 작업의 한 시도로서 아말릭 희곡의 구성 메카니즘에 관해 알아보기로 한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글로리아 안잘두아의 『경계지대들/경계선에서: 새로운 메스티자』의 혼성성의 시학 (The Poetics of Hybridity of Gloria Anzaldúa's The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 in Multicultural Society)

  • 정순국
    • 영미문화
    • /
    • 제10권2호
    • /
    • pp.231-266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hybridity and hybridized relations that see mixings and crossings as the first mo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References to hybridity often assume that the definition and orientation of the term are located within biology; that is, hybridity constitutes a mixing of two formally discrete objects. In this regard, there seems to be a dialectical preoccupation with purity that goes hand in hand with discussions of hybridity. This dialectical reference to hybridity privileges whole, complete entities as the original instance before mixing, and in this way purity becomes reified. My analysis of hybridity foregrounds mixings that occur at the level of the social, not exclusively at the level of the biological. Hybridity contexts the myth of monoculturalism in the United States and foregrounds multiculturalism as the initial context around which difference has begun to be conceived. In destabilizing the myth of racial origins,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a retroactive construction of purity, which is historically, ideologically, and ethnically examined in Gloria Anzaldua's Borderlands/ La Frontera: The New Mestiza. Through this work composed of disparate narratives discourses, Anzaldua employs physical differences to ward off the colonial desire that has defined others as objects which are to be controlled. In this regard, this paper pursues the way that physical differences could be repositioned in terms of 'hybridity' that has been related to the cultural, historical, economical significations of borderlands. The space of borderlands is also a place marked psychologically; it will turn differences mobilized in the borderland into an acute consciousness that makes us recognize 'otherness' within ourselves. In sum, this paper attempts to elaborate the productive and creative interactions among disparate languages, classes, genders, and ideas, which will draw attention to their own interlocking nature.

생태시의 윤리와 관계의 시학 -메리 올리버의 다른 몸 되기 (The Ethics of Ecological Poetry and the Poetics of Relation: Mary Oliver's Becoming Other)

  • 정은귀
    • 영어영문학
    • /
    • 제56권1호
    • /
    • pp.25-45
    • /
    • 2010
  • While environmental ethics, a relatively new field of philosophy, has gained its practical power in the contemporary world, the ethics of ecological poetry has not been studied we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ethics has also been troubled for a long time. How can it be probed, interrogated, and constructed in ecological criticism? Attempting to steer some critical focus to the topic of ethics and poetic language, this essay is to elucidate these questions within the ecological traits of Mary Oliver's poems. In the process of revisiting Oliver's poems, this essay tries to rescue the poet Oliver, one of the most gifted poets in contemporary American poetic landscape, but a long-neglected one, and questions of ethics which have been evaded for a long time in ecological criticism. Oliver's ecological imagination at once invites readers to become other in the outer world in a most spontaneous way and re-questions the fundamental distanc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n the process of becoming other. Challenging the humanistic view of nature, she opens the various layers of becoming other: from the possible state of perfect merging to the sad recognition of the impossibility of merging, from the happy moment of rebirth beyond death, to the conflicting moment of being-together. In the different cycles and levels of becoming other, Oliver's poetry completes the poetics of relation in the components of 'self-in-relation.' In those different layers of relations, the ethics of ecological poetry is newly explored rather than residing in the safe net of goodness or sympathy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or the stark division between the two. Oliver's witty, sensitive, sometimes sad eyes toward others, therefore, entice readers to move from the established view of nature to the extraordinary moment of encountering it, thus accomplishing the ethics of beings, not just of ecological poetry.

김창흡과 간챠잔을 통해서 본 18·19세기 한일 한시의 한 면모 (Aspects of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Demonstrated by Kim Chang Heup and Kan Chazan)

  • 최귀묵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4호
    • /
    • pp.115-147
    • /
    • 2017
  •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의 김창흡과 일본의 간챠잔의 시론과 한시 작품을 비교 검토했다. 본론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김창흡과 간챠잔은 의고주의 비판에 동조했다. 두 사람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일견이 일치했다. 성당시를 일방적으로 모방하지 않는다. 눈앞의 (소소하기까지 한) 경물에 눈길을 주고, 거기서 촉발된 차분한 정감을 담는다. 과장된 언어가 아닌 실다운 언어를 사용한다. 모름지기 시는 사실적이어야 한다. 두 사람의 차이점 또한 주목된다. 김창흡은 정감과 경물은 천리를 매개로 하여 작품 안에서 만나게 되며, 둘을 매개하는 언어 표현은 철학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정감과 경물을 매개하는 천리를 상정하지 않았다. 간챠잔은 경물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데 작시의 이상이 있다고 했다. 요컨대 김창흡은 경물을 통해 이치를 표현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간챠잔은 경물 자체를 표현하는 데 머문 차이가 있다. 또한 김창흡은 시는 천리의 표현이면서 국가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담아내는 고차원의 언어활동이라고 했다. 사대부로서 문학의 위상을 높이 두고,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이 많고 크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문학은 오락이라고 하면서 문학은 철학과 정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자기 고유의 영역이 있다고 보았다. 김창흡은 문학은 학문과 가까운 자리에 있다고 했다면 간챠잔은 문학은 문예여야 한다고 한 것이다. 김창흡과 간챠잔의 시학이 각자 개인의 성취라고 볼 것인가, 아니면 두 나라 한시사의 기저에 놓여 있던 특성이 두 사람을 만나서 표면화한 것인가 생각해 볼 수 있다. 필자는 두 사람의 시학은 좁게는 한시, 나아가는 두 나라 문학 일반의 특성을 표면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범에 매이지 말고 실경을 개성적으로 그리라는 요구는 오랜 기간 성장해 온 두 나라 문학의 특성이 드러나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다.

황상(黃裳)의 추사가(秋史家)와의 교류와 시적 형상화 (Hwangsang's Exchanges with Chusa Family and Poetic Embodiment)

  • 구사회;김규선
    • 동양고전연구
    • /
    • 제59호
    • /
    • pp.157-181
    • /
    • 2015
  • 이 논문은 19세기에 활동했던 치원(?園) 황상(黃裳, 1788~1870)이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와 맺었던 교류 관계를 추적한 것이다. 황상에게 추사란 어떤 존재이고, 추사에게 황상이란 무슨 존재였을까? 대답은 추사에게 황상이란 존재보다는 황상에게 추사의 존재가 무엇이었느냐는 문제로 귀결된다. 이것은 황상과 다산의 관계가 사제지간으로 맺어진 매우 유의미한 존재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추사가 형제들도 반상의 신분을 떠나서 황상을 아꼈고 예우를 갖춰 시인으로 대접하였다. 추사는 황상을 다산 시학의 계승자로 인정한 비평가였고, 한편으로 문단의 패트런과 같은 존재가 되었다. 추사가와 관련된 황상의 한시는 "치원유고"에 31제(題) 34수(首), "치원소고(?園小藁)"에 14제(題) 18수(首)로 모두 45제(題) 52수(首)로 집계된다. 반면에 추사가 황상을 대상으로 지은 한시는 "완당전집"에 2제 3수, 기타 <기황수(寄黃?)> 정도가 전할 뿐이다. 황상이 추사를 비롯한 삼형제를 처음 대면한 것은 1853년 9월, 그의 네 번째 상경으로 이뤄졌다. 황상이 추사 삼형제를 만나고 시인으로 인정받는 모든 과정에는 다산 정약용의 큰 아들인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 1783~1859)의 역할이 컸다. 정학연은 다산가의 장남으로써 황상을 위해 여러모로 노력하였다. 황상은 추사에게 시인으로서의 역량을 보이고 자신의 시집 서문을 받으려고 노력하였다. 당시 문단에서 차지하고 있는 추사의 비중으로 볼 때, 그것은 황상 자신이 더 이상 지방의 무명 시인이 아니라 중앙문단에서도 인정받는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추사 삼형제에 대한 황상의 시작품에는 공통적으로 교분과 우의, 그리고 각별한 존경심이 담겨 있었다. 황상이 다산가나 추사가와의 교류 과정을 보면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중앙과 지방이라는 지역적 차별성이나 반상이라는 봉건제도의 계급적 차별을 벗어나서 상호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어지고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