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wangsang's Exchanges with Chusa Family and Poetic Embodiment

황상(黃裳)의 추사가(秋史家)와의 교류와 시적 형상화

  • Received : 2015.05.16
  • Accepted : 2015.06.25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thesis pursued exchanges of Hwangsang with Chusa Family, who existed in the 19th century. What was Chusa to Hwangsang and what was Hwangsang to Chusa? The answer is concluded to the question of which existence Chusa was to Hwangsang but not of which existence Hwangsang was to Chusa. However, disregarding social positions of the nobles and the commoners, brothers of Chusa also cherished Hwangsang and respectfully treated him as a poet at all times. Chusa was a critic who recognized Hwangsang as a successor to Dasan poetics and became a patron of the literary circles on the other hand. Hwangsang's Chinese poems related to Chusa Family are counted as 45 JE 52 SU in total which consist of 31 JE 34 SU in "CHIWONYUGO" and 14 JE 18 SU in "CHIWONSOGO", On the other hand, Chinese poems which Chusa wrote for Hwangsang are only a few pieces shown in "WANDANGJEONJIP". Hwangsang first met three brothers including Chusa in September 1853 when he came up to the capital for the 4th time. Jeong Hak-yeon, the oldest son of Dasan Jeang Yak-y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whole process that Hwangsang met Chusa's three brothers and was recognized as a poet. As the oldest son of Dasan Family, Jeong Hak-yeon made efforts in various ways for Hwangsang. Hwangsang tried his efforts to exhibit his ability as a poet to Chusa and to get Chusa's introduction of his poetical works. Considering Chusa's importance in then literary circles, the introduction seemed to reflect recognition by the literary circles in the metropolis and it also showed that Hwangsang was no more than an obscure poet in the provincial area. Poetical composition of Hwangsang for Chusa three brothers commonly contained friendship, intimacy and special respect at all times. Seeing from exchange process between Hwangsang and Dasan Family or Chusa Family, it is found that mutual exchanges were actively made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overcoming regional differentiation between capital and province, or feudalism class distinction of social positions of the nobles and the commoners.

이 논문은 19세기에 활동했던 치원(?園) 황상(黃裳, 1788~1870)이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와 맺었던 교류 관계를 추적한 것이다. 황상에게 추사란 어떤 존재이고, 추사에게 황상이란 무슨 존재였을까? 대답은 추사에게 황상이란 존재보다는 황상에게 추사의 존재가 무엇이었느냐는 문제로 귀결된다. 이것은 황상과 다산의 관계가 사제지간으로 맺어진 매우 유의미한 존재였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그렇지만 추사가 형제들도 반상의 신분을 떠나서 황상을 아꼈고 예우를 갖춰 시인으로 대접하였다. 추사는 황상을 다산 시학의 계승자로 인정한 비평가였고, 한편으로 문단의 패트런과 같은 존재가 되었다. 추사가와 관련된 황상의 한시는 "치원유고"에 31제(題) 34수(首), "치원소고(?園小藁)"에 14제(題) 18수(首)로 모두 45제(題) 52수(首)로 집계된다. 반면에 추사가 황상을 대상으로 지은 한시는 "완당전집"에 2제 3수, 기타 <기황수(寄黃?)> 정도가 전할 뿐이다. 황상이 추사를 비롯한 삼형제를 처음 대면한 것은 1853년 9월, 그의 네 번째 상경으로 이뤄졌다. 황상이 추사 삼형제를 만나고 시인으로 인정받는 모든 과정에는 다산 정약용의 큰 아들인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 1783~1859)의 역할이 컸다. 정학연은 다산가의 장남으로써 황상을 위해 여러모로 노력하였다. 황상은 추사에게 시인으로서의 역량을 보이고 자신의 시집 서문을 받으려고 노력하였다. 당시 문단에서 차지하고 있는 추사의 비중으로 볼 때, 그것은 황상 자신이 더 이상 지방의 무명 시인이 아니라 중앙문단에서도 인정받는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추사 삼형제에 대한 황상의 시작품에는 공통적으로 교분과 우의, 그리고 각별한 존경심이 담겨 있었다. 황상이 다산가나 추사가와의 교류 과정을 보면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중앙과 지방이라는 지역적 차별성이나 반상이라는 봉건제도의 계급적 차별을 벗어나서 상호간의 활발한 교류가 이어지고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