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ects of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as Demonstrated by Kim Chang Heup and Kan Chazan

김창흡과 간챠잔을 통해서 본 18·19세기 한일 한시의 한 면모

  • 최귀묵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Received : 2016.12.31
  • Accepted : 2017.02.23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poetic theories and Chinese poems of the Korean author Kim Chang Heup and his Japanese counterpart, Kan Chazan. Kim Chang Heup and Kan Chazan shared largely the same opinions on poetry, and both rejected archaism. First, they did not just copy High Tang poetry. Instead, they focused on the (sometimes trivial) scenery right in front of them, and described the calm feelings evoked by what they had seen. They also adopted a sincere tone, instead of an exaggerated one, because both believed that poetry should be realistic.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ets are also noteworthy. Kim Chang Heup claimed that feelings and scenery meet each other within a literary work through Natural Law, and the linguistic expressions that mediate the two are philosophical in nature. However, Kan Chazan did not use Natural Law as a medium between feelings and scenery. Instead the Japanese writer said the ideal poetical composition comes from a close observ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scenery. In sum, while Kim Chang Heup continued to express reason through scenery, Kan Chazan did not go further than depicting the scenery itself. In addition, Kim Chang Heup believed poetry was not only a representation of Natural Law, but also a high-level linguistic activity that conveys a poetic concern about national politics. As a sadaebu (scholar-gentry), he held literature in high esteem because he thought that literature could achieve important outcomes. On the other hand, Kan Chazan regarded it as a form of entertainment, thereby insisting literature had its own territory that is separate from that of philosophy or politics. In other words, whereas Kim Chang Heup considered literature as something close to a form of learning, Kan Chazan viewed it as art. One might wonder whether the poetics of Kim Chang Heup and Kan Chazan reflect their individual accomplishments, or i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ry that Korean and Japanese poets had long sought after had finally surfaced in these two writers. This paper argued that the two authors' poetics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try in Korea and Japan, 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s in a wider sense. Their request to depict actual scenery in a unique way, free from the ideal model of literature, must have facilitated an outward material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ry characteristics that had developed over a long time.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의 김창흡과 일본의 간챠잔의 시론과 한시 작품을 비교 검토했다. 본론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김창흡과 간챠잔은 의고주의 비판에 동조했다. 두 사람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일견이 일치했다. 성당시를 일방적으로 모방하지 않는다. 눈앞의 (소소하기까지 한) 경물에 눈길을 주고, 거기서 촉발된 차분한 정감을 담는다. 과장된 언어가 아닌 실다운 언어를 사용한다. 모름지기 시는 사실적이어야 한다. 두 사람의 차이점 또한 주목된다. 김창흡은 정감과 경물은 천리를 매개로 하여 작품 안에서 만나게 되며, 둘을 매개하는 언어 표현은 철학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정감과 경물을 매개하는 천리를 상정하지 않았다. 간챠잔은 경물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세밀하게 표현하는 데 작시의 이상이 있다고 했다. 요컨대 김창흡은 경물을 통해 이치를 표현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간챠잔은 경물 자체를 표현하는 데 머문 차이가 있다. 또한 김창흡은 시는 천리의 표현이면서 국가의 정치에 대한 관심을 담아내는 고차원의 언어활동이라고 했다. 사대부로서 문학의 위상을 높이 두고, 문학이 할 수 있는 일이 많고 크다고 했다. 반면 간챠잔은 문학은 오락이라고 하면서 문학은 철학과 정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자기 고유의 영역이 있다고 보았다. 김창흡은 문학은 학문과 가까운 자리에 있다고 했다면 간챠잔은 문학은 문예여야 한다고 한 것이다. 김창흡과 간챠잔의 시학이 각자 개인의 성취라고 볼 것인가, 아니면 두 나라 한시사의 기저에 놓여 있던 특성이 두 사람을 만나서 표면화한 것인가 생각해 볼 수 있다. 필자는 두 사람의 시학은 좁게는 한시, 나아가는 두 나라 문학 일반의 특성을 표면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전범에 매이지 말고 실경을 개성적으로 그리라는 요구는 오랜 기간 성장해 온 두 나라 문학의 특성이 드러나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