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추선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ummary on the System for Drilling Drillship (특수선 Drilling Drillship System 개요)

  • Kim, Deok-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229-230
    • /
    • 2006
  • 해상플랫폼설치가 불가능한 심해지역이나 파도가 심한 해상에서 원유를 발굴하는 선박형태의 시추설비인데, 심해에서의 시추능력은 물론 기동성까지 겸비한 고부가치선으로서 최근 고(高)유가에 따라 발주가 늘어나고 있는 해양분야의 대표적인 성장엔진으로, 파도와 바람이 심한 해상에서도 안정적 시추가 가능한 최첨단 자동위치 제어시스템, 드릴링장비, 통합제어시스템 등, 드릴쉽이 갖추고 있는 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 PDF

Analysis of Long Term Stress and Fatigue of Semi-Submersible Drilling Platform (반잠수식 시추선의 피로 해석 연구)

  • Yu, Byung-Ku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06-115
    • /
    • 1988
  • 반잠수식 시추선의 설계에 있어서 구조의 피로수명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또한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실용화된 Aker H-3모델에 대하여 Palmgren-Miner 가정에 의하여 시추선의 hot-point인 수평 및 수직 K-brace 멤버에 대하여 피로수명을 로이드 선급의 커브에 따라 계산한 결과 북해의 해성환경 조건에서는 16년 동안 계속 작업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나 응력 집중계수 (SCF)를 선정하는데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사용하는데 주위를 요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mi-Submersible Drilling Rig with Oil Recovery System

  • Lee, Kwi-Joo;An, Ju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99-401
    • /
    • 2011
  • 반잠수식 시추선의 주선체(lower hull)를 세 가지 타입으로 설계하여 주선체에 대한 유체정역학적 계산, 조종성능 및 내항성능 계산 그리고 이론계산을 수행하여 wave distribution과 height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주선체의 Convention type, Bulbous bow type, 그리고 Ice breaking type 중 Ice breaking type 선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다음으로는 반잠수식 시추선의 모든 조건(작업, 이동, 생존)에서 주기둥(column) 또는 주선체(Lower)가 손상되어 부력을 상실했을 시 전복 되지 않도록 고안된 예비부력 기능과 기름 유출 사고시 기름을 회수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유회수 겸용 예비부력 탱크를 개발하였다.

  • PDF

Study on the Behavior of Tubular Member with Partial End Fixity (부분 고정단을 가진 원통형 부재의 거동에 관한 연구)

  • Cho, K. N.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90-94
    • /
    • 1988
  • 본 논문은 반 잠수식 시추선과 선박과의 충돌해석에의 정적 압축법의 응용에 대해 다루었다. 선박이 시추선의 취약 부재에 충돌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으며 이 취약한 부재의 충돌에너지 흡수능력을 상세 해석 없이 추출하는 방법으로, 관련된 구조물 전체 강성 매트릭스를 부재의 양단에 정적 압축을 시켜 양단 유연도를 추출한 뒤 이 유연도를 양단에 가진 원통형 부재를 해석함으로써 외력-변형 관계를 얻을수 있었다. 충돌에너지 양은 외력-변형 선도를 적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새로운 방법에 의한 결과를 3차원 수치해석 방법과 강체 프라스틱 방법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와 상호 비교하였으며, 이 새로운 방법이 해양구조물 충돌해석이 매우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Evaluation of Heat Production in Deep Boreholes by Gamma-ray Logging (감마선 검층자료를 이용한 국내 대심도 시추공 암반의 열생산율 평가)

  • Jo, Yeonguk;Kim, Myung Sun;Lee, Keun-Soo;Park, In Hwa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4 no.1
    • /
    • pp.20-27
    • /
    • 2021
  • Subsurface rock produces heat from the decay of radioactive isotopes in constituent minerals and gamma-ray emissions, of which the magnitude is dominated by the contents of the major radioactive isotopes (e.g., U, Th, and K). The heat production is generally calculated from the rock density and contents of major isotopes, which can be determined by mass spectrometry of drilled core samples or rock fragments. However, such methods are not easily applicable to deep boreholes because core samples recovered from depths of several hundred meters to a few kilometers are rarely available. A geophysical logging technique for boreholes is available where the U, Th, and K contents are measured from the gamma-ray spectrum. However, this technique requires the density to be measured separately, and the measurement depth of the equipment is still limited. As an alternative method, a normal gamma-ray logging tool was adopted to estimate the heat production from the total gamma activity, which is relatively easy to measure. This technical report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the proposed method for evaluating the heat production of a granitic rock mass with domestic commercial borehole logging tools, as well as its application to a ~2 km deep borehole for verification.

Analysis on transient stability for drilling rigs power system (석유 시추선 전력 계통의 과도 안정도 해석)

  • Kim, Yoon-Sik;Kim, Chul-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8 no.9
    • /
    • pp.1119-1124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the emergency situation which occurs in Drilling Rig power system. Especially, we focused on power system transient characteristics on propulsion motor load and generator elimination situation in Drilling Rig operation. We performed numerical simulation and analyzed the result for power system transient stability characteristics on each condition for excitation system and governor control system using ETAP (Electrical Transient Analysis Program).

An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Motion Response of a Moored Semi-Submersible Platform in Regular Waves (계류된 반잠수식 시추선의 운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고찰)

  • 홍사영;이판묵;홍도천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59-70
    • /
    • 1988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motion tests of a moored semi-submersible platform in regular wa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oring system on the motion characteristics, the tests were performed under the various mooring conditions in regular head and beam waves. Two types of mooring system were employed: one is composed of soft springs and the other is of chains. In the case of chains the pretensions were vari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effects of mooring forces as well as the motion responses of the semi-submersible. The motion responses and mooring tension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double amplitude method. The measured motion response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alculation from three-dimensional potential theory. Finally, the dynamic behaviors of mooring chains were studied.

  • PDF

Deepwater Horizon 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심해 시추선 사고의 인적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Min-Seung;Lee, Gang-Gi;Ye, B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9-121
    • /
    • 2018
  • Deepwater Horizon 사고 사례 분석을 통해 Kick 제어와 Blowout 및 인적요소 사이에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Deepwater Horizon 사례가 다른 시추선 사고에도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인적요소, Kick 제어 및 Blowout 사고와의 상관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사고사례는 Trident V 프로그램으로 분석된 1981년부터 2015년까지의 60건이며, 인적요소가 예측 불가한 Kick 발생 및 심각한 유정폭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SPSS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요소는 Kick의 제어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 결과를 토대로 향후 선급 및 국제표준기구의 관련 규정 개정 방안에 관해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