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역전 기술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erformance analysis of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using time reversal mirror based on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일반화된 부엽 제거기 기반 시역전 기술을 이용한 수중음향통신 성능 분석)

  • Nam, Ki-Hoon;Kim, J.S.;Byun, Gi Ho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5
    • /
    • pp.389-394
    • /
    • 2016
  • MIMO (Multiple-Input-Multiple-Output)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has distortion of received signal because of ISI (Inter-Symbol Interference) and crosstalk among transmitters. Time-reversal mirror was used for compensating of signal distortion, but it has a limit in eliminating crosstalk effectively. This paper proposes a time-reversal mirror based on GSC (Generalized Sidelobe Canceller) for removing crosstalk. The FAF05 (The Focused Acoustic Forecasting 05) experimental data has been used to verify the suggested method by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time-reversal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uggested method produces better communication performance results than conventional time-reversal.

Underwater Acoustic Barrier with Passive Ocean Time Reversal and Application to Underwater Detection (수동형 해양 시역전 수중음향장벽과 수중탐지에의 응용)

  • Shin, Keecheol;Kim, Jeasoo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8
    • /
    • pp.551-560
    • /
    • 2012
  • Target detection by acoustic barrier method includes active and passive sonar technique and time reversal process whose theoretical background is already well defined. In this paper, the concept and theory of underwater detection by passive ocean time reversal is established. Also, the reaso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as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complex mathematical modeling to provide some predictive capability for underwater acoustic barrier with passive time reversal. It may eventually lead to a useful predictive tool when designing underwater acoustic barrier detection system using the passive time reversal concept.

Sum-Capacity Analysis of Multiple-Sensor Node Underwater Communications Using Time Reversal Transmission Method (시역전 기법을 이용한 다중 센서 노드 환경에서의 합용량 해석)

  • Cho, Jung-Il;Seo, Jong-Pil;An, Jae-Jin;Chung, Jae-Ha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5
    • /
    • pp.295-302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multiple access method based on Time Reversal Mirror (TRM) technique when the multiple sensor nodes exist. Proposed method increases system sum capacity using energy focusing effects of the TR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algorithm obtains higher system sum capacity th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e.g., 27 bps/Hz higher than the OFDMA method when the number of sensor node is 30, the number of transducer is 8, and is SINR 16 dB.

Gram-Schmidt process based adaptive time-reversal processing (그람슈미트 과정 기반의 적응형 시역전 처리)

  • Donghyeon Kim;Gihoon Byun;J. S. Kim;Kee-Cheol Sh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3 no.2
    • /
    • pp.184-199
    • /
    • 2024
  • Residual crosstalk has been considered as a major drawback of conventional time-reversal processing in the case of simultaneous multiple focusing. In this paper, the Gram-Schmidt process is applied to time-reversal processing to mitigate crosstalk in ocean waveguides for multiple probe sources. Experimental data-based numerical simulations confirm that nulls can be placed at multiple locations, and it is shown that different signals can be simultaneously focused at different probe source locations, ensuring distortionless responses in terms of active time-reversal processing. This focusing property is also shown to be much less affected by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receivers than the adaptive time-reversal mirror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o be effective in eliminating crosstalk in p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s using sea-going data.

Passive Phase Conjugation Approach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수동 페이저 컨쥬게이션을 이용한 수중음향통신)

  • Yoon Jong Rak;Park Kyu-Chil;Park Ji-Hyun;Lin Chun-D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483-486
    • /
    • 2004
  • 수중음향채널의 다중경로에 의한 수신신호의 시간확산(Time spread)은 ISI를 유발하여 수중통신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시간확산에 의한 ISI를 줄이고 전송율이 높은 코히어런트(coherent)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중경로 영향을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수동 페이저 컨쥬게이션(passive phase conjugation) 기법은 시역전 기술로 프로브 신호에 의한 시역전을 수행하여 다중경로에 의한 ISI가 감소하여 비트 오류율이 적어진다. 아울러 수신신호의 처리가 간단하여 다중경로에 의한 시간확산에 비례하는 탭수의 증가로 수신신호 처리시간이 과다한 적응등화기 기법에 비해 실시간 시스템 구현에 유리한 기법이다. 수치모의 실험으로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을 해석하였다.

  • PDF

Study on the use of river water in the downstream basin of ChungjuDam (충주댐 하류 유역의 하천수 사용에 대한 고찰)

  • Jeong, Ji-Hun;Lee, Dong-Kyu;Jeong, Seung-Gyo;HwangBo,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4-364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잦은 이상 가뭄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물 안보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수자원은 인류가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자유재가 아니라 보호·관리하여야 하는 대상으로, 보유한 미사용량을 회수·재배분하여 물 이용의 공정성을 강화 등 물 이용 제도의 전반에 대한 검토·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일부 유역에서는 하천수 사용량이 정확하게 계측되지 않아 공정한 하천수 배분 등에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하류 유역에 위치한 자동유량측정소 원주시(남한강대교)와 여주시(남한강교) 상·하류 유량자료를 검토·분석하여 하천수 사용허가권에 등재된 하천수 이용량을 검토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하류 자동유량관측소 내 지류 하천(섬강, 청미천)이 유입되고 있어, 추가 유입량을 고려한 물수지 분석을 위해 원주시(문막교)수위관측소, 여주시(원부교)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였다. 상·하류 유량자료 검토 결과, 지류 유입량 + 하류 여주시(남한강교)) 유량이 상류 원주시(남한강대교) 유량보다 작은 상·하류 유량이 역전('19~'20, 평균 787,753m3/day)되는 흐름이 발생하였다. 구간 내 등재된 취수시설물(11개소) 허가량(39.66×106m3) 보다 실재 사용량은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상·하류 역전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장 조사에서 허가대장에 미등재된 다수의 시설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하천수의 효율적인 관리에 장애요인으로 작용된다. 하천수 사용은 복합허가사항으로 홍수통제소에서 사용허가부터 관리까지 실시하고 있는데 하천수 허가 신청량은 계획수요량 산정과 물수지 분석결과를 통하여 적정성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하천수 사용허가량 대비 실제 하천수 취수량이 얼마나 되는지 파악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결국 하천 유량을 관리하기 위해 강수량, 수위, 유량 등 많은 수문요소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처럼 하천수 이용을 위해 취수되는 양을 정확하게 계측하지 않는다면 효율적인 하천수 관리는 어렵다. 하천수를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하천수 이용에 대한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simulator in medium long-range multiuser environment (중장거리 다중송신채널 환경에서 수중음향통신 시뮬레이터 성능 분석 및 검증)

  • Park, Heejin;Kim, Donghyeon;Kim, J.S.;Song, Hee-Chun;Hahn, Joo Yo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6
    • /
    • pp.451-456
    • /
    • 2018
  • UAComm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s an active research area, and many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develop UAComm syste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odifying and applying VirTEX (Virtual Time series EXperiment) to medium long rang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UAComm of about 20 km range for the analysis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UAComm system. Since VirTEX is a time-domain simulator, the generated time series can be used in HILS (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to develop UAComm system. The developed package is verified through comparing with the sea-going FAF05 (Focused Acoustic Field 2005) experimental data. The developed simulator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UAComm system, and even replace the expensive sea-going experiment.

Continuing Education/Psychiatric Nursing - Interviewing technic & communication skills for psychiatric patients. (지면을 통한 보수교육 : 정신과 간호학 편 - 정신과 환자를 위한 간호면담기술)

  • Lee P.S.
    • The Korean Nurse
    • /
    • v.16 no.1 s.87
    • /
    • pp.54-59
    • /
    • 1977
  • 간호 현장에서의 면담은 가장 효과적인 간호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간호활동인 것이다. 그러므로 환자와 면담자와의 관계는 반드시 개방적이고 친밀한 관계이어야 한다. 특히 모든 인간은 독특하며 여러 가지 통합된 기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면접자는 저항(resistance), 전이(transference), 역전이(counter transference), 감정의 현상을 잘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면담목적을 성취시키기 위해 성실하고 진지하게 임해야 하며 면담시 의사소통 도구 사용에 능숙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자료 수집에 공헌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유지해야 한다.

  • PDF

Basic study on developing Power-SemiConductor-Type Fault Current Limiter based on Magnetic Turn-Off principle (자계소호 원리를 이용한 전력전자형 고장전류제한기 구조에 관한 기초연구)

  • Kang, Ji-Seong;Ji, Geun-Yang;Jung, Won-Sik;Moon,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74-17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계소호(Magnetic Trun-Off) 원리를 이용한 전류제한기를 제안하였다. 본 한류기는 전력전자 소자를 이용하여 고장시 신속한 제어가 가능하고, 동작시 역전압 및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도의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한류기는 유도형 초전도 한류기와 원리는 유사하나, 초전도 소자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극저온 유지장치를 제거할 수 있고 ��치시 복귀 기술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한류기를 우리나라 전력계통에 적용한다면 차단기의 재폐로 동작책무를 완벽하게 만족하는 안정적인 계통운영이 가능할 뿐 아니라, 고장전류 증가에 따른 차단기 교체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the Black Propagation for Cucumber Image Processing (오이 인식을 위한 오류역전파알고리즘 분석)

  • Min, B.R.;Kim, W.;Kim, D.W.;Seo, K.W.;Lee, C.W.;Lee,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400-405
    • /
    • 2003
  • 오이 수확작업의 자동화를 이루기 위한 기술적 방법은 다른 작물보다 실험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첫째 오이는 한번 심은 줄기로부터 계속해서 오이가 열리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관찰하여 수확하여야 하고, 둘째 넝쿨식물로써 줄기는 가늘고 잎은 크기 때문이다. 즉 수확 작업 시 줄기의 손상은 바로 수확량의 감소로 이어지고, 수확하려는 오이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이렇게 어려운 수확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영상처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