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스템엔지니어링관리계획서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Template Using the Systems & Software Engineering Infra (SE & SW Infra를 활용한 실용적인 SEMP 템플릿 개발에 관한 연구)

  • Byun, Bo Suk;Choi, Yo Chul;Park, Young Tae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5 no.5
    • /
    • pp.442-446
    • /
    • 2012
  • This paper is a pract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MP template using SE & SW infrastructures. SEMP, which is a management system for systems engineers, has been developed for the LRT(Light Rail Transit) industry and has been tailored to suit domestic conditions. SE & SW infrastructures were developed to assist in creating an effective and efficient SEMP for the industry of this stud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costs, manpower, and time for the LRT industry using SEMP based on SE & SW infrastructures.

Technical Management Planning Process of Engineering Project (개발 프로젝트의 기술관리 계획 프로세스)

  • Yoo, Il Sang;Park, You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1 no.2
    • /
    • pp.63-68
    • /
    • 2005
  • This study developed the planning process for technical management of engineering project applying systems engineering process in order to correctly design technical management activities early during the system development projects. The developed process describes a systemic design process of a product to be developed as well a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personnel team of project organization. As an outcome of the process implemented by a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MBSE) software, a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SEMP) and a risk management plan can easily be produced.

  • PD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성공적인 기업자원계획 시스템 도입 방안)

  • Yi, Harng;Suh, Eui-Ho;Lee, Keun-Su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15 no.2
    • /
    • pp.1-18
    • /
    • 1998
  • 오늘날의 기업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은 기업에 있어서의 경쟁우위를 확보해주는 아주 보편적이고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정보기술이 발전해 감에 따라 기업에서의 정보 시스템은 이제 거의 전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독자적으로 확대 구축된 정보시스템 간에 상호통합의 필요성이 증가 되었다. 최근에 등장한 기업자원계획 시스템은 전자 자원을 통합 관리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뿐 만 아니라, 패키지로 되어 있어 단기간에 구축이 가능한 획기적인 정보 시스템으로 많은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기업자원계획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리엔지니어링이 필연적으로 따르게 된다. 많은 기업들이 정보 시스템의 구축 또는 그를 이용한 리엔지니어링을 단지 비용절감이라는 소극적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한데서 문제가 있었다. 리엔지니어링은 단지 업무 프로세스를 재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문화자체를 바꾸게 되고 기존의 장점까지도 버려야 할지도 모른다. 기업문화는 프로세스라기 보다는 인적자원의 몫이다. 리엔지니어링에 따른 종업원들의 혼란과 저항은 정보시스템 구축을 어렵게 만들고, 기업문화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 기업의 업무 전반을 지원해주는 통합된 시스템은 업무 대체를 위한 수단으로 보다는 기업의 경쟁력을 높여주는 전략적 목적으로서의 사용이 중요하며, 경쟁우위의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자원계획 시스템의 구축 그 자체에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전략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sustainer로서의 역할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정보 시스템이 경쟁우위를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려면 인적자원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 PDF

Systems Engineering Plan for the Development of Ultra-High-Speed Maglev Train System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개발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계획서)

  • Lee, Young-Hoon;Min, Su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5 no.1
    • /
    • pp.21-32
    • /
    • 2009
  • The systems engineering (SE) process shall be applied to the project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ultra-high-speed (UHS) Maglev train system which is one of very large and complex systems. It is important to abolish technology differentials from the advanced developers such as Germany, Japan, etc. and to ensure discriminatory competitiveness of the application of systems engineering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based on appropriate concepts and requirements. General operation concept and stakeholder's requirements of UHS Maglev train system must be elicited with system concept for initiating the project. The management plan should be devised for all sorts of systems engineering activities of risk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lifecycle cost management, etc. This paper would support to establish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SEMP) for the program of UHS Maglev train system development with associated documents.

  • PDF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양손실량 예측 및 침사지 설계

  • 우효섭;김창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8.02d
    • /
    • pp.1101-1179
    • /
    • 1998
  • 최근에 내무부에서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사유출 피해 중 인명과 재산 피해와 같은 재해 성격을 가진 대규모 토사유출을 사전에 미리 저감시킬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제를 도입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대규모 개발 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과 침사지 설계에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축적과 자료부족으로 과업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엔지니어링 업계의 기술적인 어려움을 다소 나마 해소할수 있도록 개발사업으로 인한 가속화된 토양손실량 예측방법과 침사지 설계 기준에 대해 외국의 자료를 바탕으로 그 동안 국내에서 수행한 각종 재해영향평가 자료를 검토하여 제시한다. 먼저, 재해영향평가제의 취지, 토사유출과 재해, 토사유출 재해 저감대책 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다음, 침식량 예측 방법으로 미국의 범용토양 손실공식(USEL) 방법의 적용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침사지 설계 편에서는 침사지 설계 개념과 구체적인 설계 절차를 제시하고 참사지 규모의 결정방법을 소개한다. 본 강좌의 교재는 미국교통연구단(TRB)의 국립합동도로연구프로그램(NCHRP)#70 자료를 주로 참고하였다. 이 자료는 부록에 원본 전부를 수록하였다. 다만 아직 이 분야 연구가 미흡한 관계로 본 강좌에서는 재해저감 측면에서 합리적인 침사지 설계 기준을 완전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로 국립방재연구소의 박무종/강대환 연구팀이 기존의 재해영향평가서 자료 중에서 10개를 선정하여 침사지 소요수면적 산정, USEL 적용, 강우침식도 R의 산정 등에 대해 사례 조사 분석한 결과를 부록에 수록하였다.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

  • PDF

Development of EP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Model for Improving Plant Project Management (플랜트프로젝트 사업관리 업무절차 개선을 위한 EPC 수행단계별 BPM모델 개발)

  • Park, Bum-Jin;Lee, Min-Jae;Lee, Tai-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5
    • /
    • pp.149-158
    • /
    • 2008
  • Plant construction is being a motive power of national economic growth, because it i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which has enormous influence through other industry. But, plant projects management of the domestic company was poor. So, the development of EP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method has been encouraged. Therefore, this paper performed several researches for setting up the EP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Model for improving plant project management. And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ollected the work procedure manuals of 12 large-sized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mpanies. Secondly, from the analyzing gathered EPC work procedure manuals, issues of work procedure manuals were analyzed and improvement plans were drawn out. Basis on this,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project management for EPC plant project. 'The Work Procedure Matrix for EPC Management' and 'Key Unit Works for EPC Management' were drawn out by using overseas construction management theories and international regulations. In addition, 'The EP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Models' reformed to the Business process method, that is the set of specifications, documents and procedures used to manage the EPC plant project. And it describes how the EPC work procedure manuals will be u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model of EPC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The framework of Plant project management can be clarified by using 'The Work Procedure Matrix'. And 'Key Unit Works' are used to organize the work procedure needed to improve plant projects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improve in project management efficiency for plant co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