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스템소재

검색결과 1,203건 처리시간 0.026초

초음파 처리된 대나무섬유와 케냐프섬유 복합재의 기계적 특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onicated Bamboo and Kenaf Fiber Composite)

  • 이수경;박은영;박태성;안승국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4-280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 fiber composites and kenaf fiber composites through physical treatment (ultrasonic treatment). Kenaf, a composite of PP reinforced with bamboo fiber, was made using injection molding technology. PP was used as a binder and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of bamboo and kenaf was increased by 30 minutes to compare and study various mechanical properties of bamboo and kenaf composites through physical treatment. Interfacial properties such as internal cracks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wave cross section were confirm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s a result of the ultrasonic treatment, most of the characteristics were fragile as the ultrasonic treatment time was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isted fiber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material.

실리콘 산화물 및 질화물 증착을 위한 신규 실리콘 증착소재의 실시간 진단 연구

  • 전기문;신재수;윤주영;김진태;이창희;염호영;최정현;하홍식;강상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6-176
    • /
    • 2011
  • 실리콘 질화막($Si_3N_4$)과 산화막($SiO_2$)은 반도체 소자를 구성하는 물질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전 또는 절연물질이다. 이러한 실리콘 산화막과 질화막은 적용할 소자에 따라 다양한 CVD나 ALD 공정을 기반으로 제조한다. 증착공정 개발에 있어 실리콘 증착소재가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근간이 되며, 이는 실리콘 증착소재의 특성에 따라 증착된 산화막과 질화막의 물성이 크게 변하기 때문이다. 실리콘 증착소재 개발을 위해서 국내외 증착소재 합성업체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개발된 증착소재의 특성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한 기술이 뒷받침되지 않아 개발 효율이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내 진공기술센터에서는 이러한 실리콘 증착소재의 특성, 특히 반응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증착소재의 기상 열적안전성 및 반응기체에 따른 반응성을 실시간으로 진단하였다. 반응기체로는 산화막을 증착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H_2O$와 질화막을 증착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NH_3$를 사용하였다. 각 반응기체의 유량별, 가스셀 온도, 압력 등의 반응조건의 변화에 따른 실리콘 증착소재의 반응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고 기존에 양산용으로 소자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증착소재와 비교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조립식 복합소재 데크를 이용한 아치가교 개발 (Development of Temporary Arch Bridges by Using Snap-fit GFRP Composite Decks)

  • 조용상;이성우;홍기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17-223
    • /
    • 2008
  • 유리섬유강화 폴리에스터(GFRP) 복합소재는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나 강재, 콘크리트, 나무 등과 같은 기존의 구조 재료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최근 각광 받고 있다. GFRP 복합소재 데크를 조립하여 아치가교를 만들면 짧은 시간에 시공이 가능하고 복합소재 데크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쉽게 조립할 수 있는 수직결구식 복합소재 데크를 활용한 아치가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가능한 아치가교의 유형을 제안하고 이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검증한다.

캐드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레진침투 지르코니아 블록의 접착양상과 파절강도 (Bonding performance and fracture strength of resin-infiltrated zirconia blocks for CAD/CAM systems)

  • 김사학;김종견;김욱태;김재홍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3-280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라스 세라믹과 고분자를 침투시킨 지르코니아 소재로 제작된 코어와 레진 시멘트의 굴곡강도 및 결합강도를 비교하여 하이브리드 기술이 치과 재료의 물리적인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본 두 가지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소재[Vita PM9(GC) and I-JAM(ZC)] 와 다른 두 가지 하이브리드 세라믹 소재 [CELTRA Duo(ZRC) and Vita Enamic(RIZ)] 를 평가하였다. 각 그룹의 소재를 선택하여 결합강도와 굴곡강도, 그리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을 이용하여 표면분석을 시행하였다. 도출된 결과 데이터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제1종 오류의 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 RIZ 그룹에서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p<0.05), ZC 그룹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굴곡강도는 ZC 그룹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RIZ 그룹이 가장 취약했다. 연구결론: 하이브리드 기술로 제작된 소재(RIZ 그룹)는 우수한 레진 시멘트와의 결합강도를 보였지만, 그에 비해 굴곡강도는 상대적으로 통상적인 지르코니아 소재보다 비교적 취약한 결과를 보였다.

나프록센이 각인된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 다층 바이오소재의 제조 및 약물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Drug Release Properties of Naproxen Imprinted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Multi-Layer Biomaterials)

  • 조은비;김한성;황민진;윤순도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61-169
    • /
    • 2023
  • 본 연구는 allbanggae starch (ABS), polyvinyl alcohol (PVA), alginic acid (SA)를 이용하여 naproxen (NP) 각인 starch 기반 다층 바이오소재를 제조하고, 물리화학적 특성과 약물 방출 제어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FE-SEM과 FT-IR 분석에 의해 제조한 다층 바이오소재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물 방출 제어 효과와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NP 각인 다층 바이오소재로부터 NP 방출 특성을 사람의 체온인 36.5 ℃에서 다양한 pH buffer solution과 인공 피부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P는 낮은 pH보다 높은 pH에서 1.3배 더 빠른 방출을 나타냈고, single-layer 바이오소재에서보다 multi-layer 바이오소재에서 약 4.0배 느린 방출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인공 피부 방출에서도 동일하게 single-layer 바이오소재보다 multi-layer 바이오소재에서 약 4.0배 더 느린 약물 방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ouble-layer와 triple-layer 바이오소재 모두 12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NP가 방출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NP 방출 mechanism을 규명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링에 적용하여 비교했을 때, pH buffer solution에서의 방출은 Fickian diffusion mechanism, 인공 피부 방출은 empirical mechanism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감성 의류용 PET 직물설계 DB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Base of Fabric Design on the PET Woven Fabric for Sensitive Clothing)

  • 심승범;김승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176
    • /
    • 2002
  • 본 연구는 감성 의류용 PET 직물 소재별 직물설계 조건의 DB 구축을 목적으로 하여 직물 소재 설계시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의류용 합섬 소재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 이들을 의류용 합섬 직물 설계시 적용가능한 기존의 CAD System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국내 현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100여 종류의 합섬직물의 설계 조건을 Data Base 化하여 경사, 위사의 굵기와 밀도계수 그리고 조직에 따른 이들 직물의 설계조건을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위사 번수별, 조직별로 다양한 경·위사밀도를 가짐으로서 최종용도에 따라 다양한 밀도계수 분포를 보임을 확인하였으며 경·위사 번수별로 다양한 직물 조직에 따른 밀도계수 값으로 경·위사의 밀도 분포를 도시화함으로서 현업의 직물설계시 밀도선정에 보다 용이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Data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소재별 합섬 직물의 설계에 필요한 Data Base를 더 보완하고 기존의 직물 CAD 시스템에 접목시킴으로서 기존의 직물CAD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퍼지-다속성 모델을 이용한 의류품질의 감성공학적 평가 (Quality Assessment of Clothing Products Using a Fuzzy/Multi-Attribute Model)

  • 김주용;이지현
    • 감성과학
    • /
    • 제7권2호
    • /
    • pp.149-155
    • /
    • 2004
  • 패션소재로서의 유용성을 결정하는 속성을 두께, 무게, 밀도, 광택, 색상 등으로 한정한 후 다속성 모델을 구축하였다. 각 속성들의 가중치는 의류 매장의 방문객 대상의 설문 조사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한 소재의 최종가치는 퍼지 추론 시스템에 의해 계산되었다. 구축된 "퍼지-다속성" 모델을 이용하여 패션소재의 총 가치를 i) 품질로부터의 가치, ii) 품질을 기반으로 부가되는 가치, iii) 품질과는 무관하게 형성되는 브랜드 가치의 세 가지 요소를 분해하였다. 시중의 유명 스포츠 의류 브랜드 2종을 선정하여 위의 모델을 적용하였다.모델을 적용하였다.

  • PDF

선박용 프로펠러 후란주형 설계 및 가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uran Mold Design and Machining System for Marine Propeller Casting)

  • 박정환;정창욱;권용섭;강성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1호
    • /
    • pp.121-128
    • /
    • 2016
  • 본 연구는 선박용 프로펠러 주물 생산을 위한 후란주형 설계 및 가공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대형 선박용 프로펠러는 시멘트 혹은 후란 소재로 상형 및 하형 주형을 제작하고, 주조를 통해 소재를 제작한다. 이후 주물소재에 대한 일련의 기계가공 및 사상을 거쳐 제품을 완성한다. 기존 후란주형은 수작업을 통한 조형을 통해 제작되므로 세부 공정이 많아질뿐더러, 상당한 소재여유가 존재함으로써 기계가공 및 사상 공수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후란주형의 제작 정밀도를 향상하고, 생산과정의 표준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계 소프트웨어 및 6축 로봇을 이용한 후란주형 제작 시스템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