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물 현황도 작성

Search Result 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nstruction of Facility Guide and Management System Using Multi-Imagery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다중영상과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시설물 안내 및 관리시스템 구축)

  • Sohn, Duk-Jae;Lee, Hey-Jin;Lee, Seung-Hwa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93-98
    • /
    • 2002
  • 본 연구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안에 수치기본도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인공위성 영상과 항공사진 및 지상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도와 준공도면에서 누락된 자료를 보완하여 수치지도를 편집 갱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의 대학 시설물 관리에 관한 연구가 시설물 DB 설계에 치중되어 있던 반면, 본 연구에서는 다중영상을 활용한 현황도 작성을 바탕으로 안내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많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eturn Flow Rate According to Demand Water Movement on Geum River (금강수계의 용수이동에 의한 회귀율 추정)

  • Maeng, Seung-Jin;Lee, Sang-Jin;Hwang, Man-Ha;Koh, Ick-Hwan;Kim, Man-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367-370
    • /
    • 2007
  •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개발한 유출모의 모형인 RRFS의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소유역별 각 용수에 대한 회귀율은 생공용수의 경우에는 65%, 농업용수의 경우에는 35%로 하여 일괄적으로 입력되어 있으나 이러한 값은 대략적으로 추정된 값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내 전체에 대한 용수체계도를 대청댐 상류, 청주권, 대전권, 대청댐 하류 및 하구언권으로 구분하여 각 권역별로 작성하여 유출체계에 의한 메커니즘을 도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용수이용별 물이용수급현황 분석을 통해 물이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을 삼고 용수계통도 작성을 통한 권역별 용수체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금강유역내 총 14개의 소유역에 대한 용수계통도 작성을 통해 용수수급현황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용수수급현황도를 작성하고자 각 권역별 하천 수계현황 조사, 용수사용현황 조사, 주요 용수시설물 현장조사 및 용수계통도를 작성하였다.

  • PDF

Extraction of Building and Road Facility Information System Using Graphic Solution (도해법을 이용한 건물 및 도로시설물 정보추출)

  • Sohn, Duk-Jae;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1 no.4 s.27
    • /
    • pp.45-51
    • /
    • 2003
  • This study intended to extract the spatial data and attribute data from the images of terrestrial photographs to compile the digital map from the images using photogrammetric analysis. In this study, the plane map of present objective area was made using the single terrestial photographs and graphical method, and the spatial or attribute data for the facilities in the area was extracted. Also, it is concluded that the efficient techniques for acquiring spatial and attribute data of the building and road facilities in proper time for the concerning area were suggested.

  • PDF

Inspection Technology Development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농업용수관리를 위한 WSN 기반 점검기술 개발)

  • Nam, Won-Ho;Kim, Tae-Gon;Choi, Jin-Yong;Kim, Jin-Taek;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0-220
    • /
    • 2011
  • 관개배수를 수행하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소규모이고 개소수가 많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우며,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어 시설 현황의 파악조차 쉽지 않다. 농업용 수리시설물은 점검자가 관리항목을 종이 조사표에 수기로 작성하여 시설상태를 점검하고 있기 때문에 자료의 누락 및 오류, 전산화를 위한 재입력 과정 등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보망을 구성하여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직접 시설물을 돌아보며 관리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적은 수의 관리지점을 제어하는 데는 유리하나, 농업용 수리시설물과 같이 개체수가 많을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수리시설 점검 및 관리의 편의성,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대하여 점검표준코드를 설계하였으며, WSN (Wireless Sensor Network) 기반의 점검기술 (RFID 및 QR코드)을 개발, 현장 적용을 통하여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WSN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시설물을 인식할 수 있으며, 식별한 시설물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시설물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기술은 대한민국 이동 지구의 시설물을 관리하는 데 직접 이용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농업용 수리시설물 점검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고 시설물 안전 평가 및 현장 이력 관리 등 현장 업무 효율 향상을 통해 농업용 수리시설 관리 및 농업용수 관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GPS and Totalstation Surveying for Facilities Mapping (시설물 현황도 작성을 위한 GPS와 토털스테이션 측량의 적용 및 성과분석)

  • 박병욱;이대근;양경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4
    • /
    • pp.373-381
    • /
    • 2003
  • This study presents the detailed methods for facilities mapping using GPS and Totalstation. From the control survey by GPS network adjustment, the level of significance fur the height value of fourth order triangulation stations used in this study was estimated about 10cm.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for the transformation coefficients of national coordinate, which were announc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RMSE f coordinate transformation was found out as $\pm$0.546m that can be applied to a map scale less than 1/10,000. The accuracy analysis of height determination by Totalstation for the traverse points spaced average 90m showed that RMSE came out $\pm$9mm on the basis of direct leveling, so it indicated that trigonometric leveling by Totalstation was correct comparatively. The result of accuracy analysis of GPS/RTK surveying on traverse points showed that RMSE came out $\pm$33mm in horizontal location on the basis of Totalstation's outcome and $\pm$15mm in height value on the basis of direct leveling. In the construction survey, GPS/RTK surveying is quicker and more economical than Totalstation surveying in the feasible areas of GPS surveying. but there were many impossible areas for GPS/RTK surveying by the obstacles like a building.

A Study on Status and Accuracy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s (지하시설물도 현황 및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Yong-Wook;Heo, Min;Lee, Jae-One;Bae, Kyo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3
    • /
    • pp.223-230
    • /
    • 2007
  • As the centralization of city, underground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being more importa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 has been emphasized, there were many accidents related underground facilities. The inaccuracy of existing data and the carelessness of management caused many accidents. It is very important to update and to have high quality accuracy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s. But the underground facilities maps are mapped and updated by each institutes. So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ata. In this study, Field Test is performed to analyze the horizontal accuracy of existing maps using Electromegnetic Induction Method, Total Station and GPS. Surveying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Seoul was performed for 6 institutes of underground facilities during 3 year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horizontal accuracy of data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underground facility maps.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 horizontal accuracy of 6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institutes is 73 cm(2004), 78 cm(2005) and 75 cm(2006).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nstruction or the AM/FM System for a Univesity (대학 시설물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안기원;이효성;신석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5 no.2
    • /
    • pp.277-28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AM/FM system for a university. The sample area used in this study is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Chinju City, Korea. The layout maps, which scale are 1/1200, 1/3000 and 1/5000, a map of planning of common duct, which scale is 1/1200, and the facility maps which scale is 1/200 were used for input of spatial data. The year of pipe buried, materials of pipe, pipe diameter, length of pipe, depth of pipe buried and slope of pipe buried were purpose of efficient data searching, analyzing, and processing. It was revealed that rapid providing of facility informations and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are possible using the constructed the AM/FM system for a university.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intenance for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유지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Choi, Hong-Seok;Oh, Kyung-Taek;Lee, Ch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859-862
    • /
    • 2008
  • As a research of NSO(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are 609 public libraries in Korea. They have been increased 1.6 times for 10 years. Similar as libraries, their government officers are also increased 1.3 times. But number of users are increased 2.7times during the same period. Moreover, Because of deterioration of facilities, library can't satisfy user's needs, and it experienced difficulties to carry out its variety roles. In result, this study checked up maintenance conditions which are organization, facility, execution of budget and so on. Furthermore, it deduced problems like short of hands, lack of administrator's expertise and absence of accurate drawings, and suggests improvement.

  • PDF

Construction of Guide and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Using Multi-Imagery an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다중영상과 GIS를 이용한 대학시설물 안내 및 관리시스템 구축)

  • 손덕재;이혜진;이승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0 no.1
    • /
    • pp.47-57
    • /
    • 2002
  • The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patial database and to extract attribute data which are able to complete the omitted data in the topographical map or completion map of construction using the image data of various form such as artificial satellite images, aerial photographs, terrestrial photographs and so on. This study used the single frame images only for the raw image data, supposing the case of rigorous photogrammetric method is not available or rapid acquisition of information is need. The extracted spatial and attribute data from the images are used for modifying and updating the database, and for providing visual effect useful for guide and management of the facilities.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technique able to apply in the case where comparative high accuracy is not required or rapid modification is necessary, a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diting and updating the digital map using the photographs or video images remained as old data. Many of previous research on the management system for university facility has been accomplished focusing o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database itself. Otherwise, this study aimed for the construction of guide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piling the digital map of present state using multi-imagery, and the more applicability was intended too.

Research on creating information map for water-friendly facilities based on RS/GIS (RS/GIS 기반 친수시설 정보맵 작성 연구)

  • Kim, Seong Jun;Kim, Cha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2-222
    • /
    • 2021
  • 도시 내 하천 친수공간은 레저 및 여가를 위한 공간과 더불어 자연경관 및 생태체험 등의 다목적으로 활용되어 지역사회에 있어 중요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과거 4대강 사업으로 국가하천 내 휴식공간을 조성하였다. 그 후 친수지구 중에서 이용도가 저조한 곳을 해제하였으며, 현재 297개의 친수지구를 중점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친수지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수 비용들을 지자체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친수지구 지정 후 운영단계에서 지역 주민들의 특성 및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하천 친수공간에 대한 정보구축은 조사원 조사, 유지관리 기관 조사 등 인적 조사 방식을 통한 데이터 수집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DB 갱신 부분에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RS/GIS를 기반으로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 작성 방안 연구와 친수시설 뿐만 아니라 유역조사 시 하천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저생태공원과 삼락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지역 항공영상의 정합 및 전처리를 실시한 후 QGIS를 활용하여 LSMS(Large-Scale Mean Shift) 기법으로 시설물 분류를 실시하였다. 공원 내 친수시설 분류를 위해 공간 반경(Spatial radius)를 10 ~ 25까지 변화시키면서 최적 분류 결과를 도출하는 공간 반경을 찾았으며 친수시설 규모와 시설의 특성에 따라 공간 반경을 조절하여 친수시설 분류맵을 작성하였다.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분류맵과 친수지구 내 친수시설 현황 및 친수시설별 코드와, 위치정보(위도, 경도 및 표고), 면적 및 관리현황으로 분류하여 입력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친수시설 자동분류 알고리즘을 통해 전국 단위 통합 하천관리체계 구축 및 친수시설에 대한 정보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