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설공간구성

Search Result 59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

  • Lee, Il-Han;Han,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57-62
    • /
    • 2019
  • 공간서비스 그룹을 구성하는 업체들이 공간이라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이용목적과 생애주기에 맞춘 용도로 그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공간대여 서비스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학습효과를 제공하며, 스터디 센터와 스마트 워크에 초점을 많은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공간대여 서비스와 소비자의 일치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대여 서비스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공간에 대한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 내의 시설이 시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 가치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시설만족도와 고객만족이 이용공간에 대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간대여 서비스의 구성요소인 접근성, 내부환경요인, 서비스내의 시설과 시설 만족도와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접근성과 서비스내의 시설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부환경요인은 시설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f Social Program Space Layout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 Case study of 22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the Honam Province - (노인복지시설의 이용서비스공간의 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 호남지역의 노인복지회관 22개소를 중심으로 -)

  • Yoo, Eun-You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20 no.1 s.69
    • /
    • pp.101-110
    • /
    • 2007
  • Since elderly welfare centers were designated as leisure facilities for elders by the Welfare of the Age Act enacted in 1981, they have been built in cities and provinces, but services provided by the facilities have not been diverse. Furthermore, thanks to the full enforcement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number of elderly welfare centers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Honam area, 36 elderly welfare centers were in operation in 2005, but most of them do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population and the corresponding locality. Neither are there service programs nor detailed plans for spatial structure or layout for such sonics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program spaces and analyzed space locations in elderly welfare centers in the Honam area, and investigated the spatial layout of each facility including counseling spaces, medical and rehabilitative spaces, social education spaces, welfare spaces and management space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investigation,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designing the spatial structure of elderly welfare centers that satisfies various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the Honam area.

  • PDF

레저용 플로팅건축물 설계를 위한 국내 마리나클럽 현황 및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 Park, Seo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8-110
    • /
    • 2011
  • 국내 해양레포츠 수요는 지속적인 증가세이며,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2015년 국내 요트수요 22,000척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른 마리나 및 마리나클럽 공간의 확충도 필요하다. 현재 국내 마리나는 수적으로 한정된 상태로 서울마리나, 아라마리나, 전곡마리나, 수영마리나 등이 대표적인 시설이다. 마리나 공간은 계류시설, 클럽하우스, 보트이동시설, 수리소 및 보관창고, 세척공간 및 각종 지원시설, 복합시설로 구성되며, 마리나클럽은 그 중심 공간이다. 국내 마리나클럽은 식음을 위한 상업공간의 면적이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마리나는 육지에서 강이나 바다로의 조망, 수면에서 랜드마크 효과 극대화하는 공간 디자인을 추구한다.

  • PDF

우리나라 해역별 수중거주시설 입지조건에 관한 연구

  • Park, Sang-Uk;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28-30
    • /
    • 2020
  • 우리나라 해역은 크게 동해, 서해와 남해로 나뉜다. 해역별 특성은 공간적 및 유체역학적으로 상이하여 해역별 수중거주시설의 설계에 있어 서로 다른 주요건과 시설구성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거시적 수중주거시설 설계기술 연구의 일환으로서 특히 해역별 공간 특성을 잘 갖춘 3곳의 입지 후보지(동해:Phoenix point, 남해:South Brother point와 서해:Mud point)에 대하여 요구되는 해역별 설계 환경부하를 최근 태풍Haishen, 태풍Maysak과 태풍 Bavi의 기상 예측자료 및 관측자료를 통해 비교하고 가정한 건축목표(Phoenix point: 속초시에 탈탄소 전력공급, South Brother point:부산항 수소연료 비축기지 및 해상 수소충전소, Mud point:에너지 자립형 기후중립 수산양식 기지)에 부합하도록 시설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우리나라 연안의 천해와 심해에서의 수중거주 가능성을 조사했다.

  • PDF

북미 커뮤니티가든의 공간구성 특성 고찰 - 시애틀 피패치(P-Patch)를 중심으로 -

  • Kim, Yu-Na;Choe, J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 /
    • 2017.10a
    • /
    • pp.72-75
    • /
    • 2017
  • 도시농업 및 커뮤니티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편승하여 근래 도시의 커뮤니티가든(Community Garden)이 주목받고 있다. 북미의 커뮤니티가든은 농작물 생산 위주의 개인텃밭을 포괄한 지역사회의 구성원과 함께 만들어가는 오픈스페이스의 형태로, 화훼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가든의 발상지인 북미 중에서도 가장 선진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는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시의 피패치(P-Patch)를 대상으로, 85개의 현장 전수조사를 통하여 공간설계 및 디자인요소를 추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애틀 피패치의 일반적인 디자인 구성요소는 기반시설, 지원시설, 휴게시설, 특수시설, 친환경시설 등 다섯 가지 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지원시설로는 공구함(Tool Shed)이나 수전시설(Spigot)이, 친환경시설로는 도마(Cutting Board)나 퇴비함(Compost Bin)이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둘째, 피패치의 공간구성 및 디자인적 특징으로는 이용자 수요 및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유연한 정원 설계를 들 수 있다. 셋째, 피패치는 다목적형 기능을 겸비한 복합적 공공장소로서 공공의 제도적 지원과 시민운동을 연계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넷째,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이용자, 코디네이터, 운영진, 전문가, 지역주민, 자원봉사자 등)와의 파트너십 구축, 다양한 재원 조달 방안 모색,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pace Composition in Special Schools - Based on public schools established and planned after 2013 - (특수학교 공간구성 현황에 관한 연구 - 2013년 이후 설립 및 예정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

  • Kim, Sung-Ryo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2
    • /
    • pp.41-49
    • /
    • 2020
  • Since the 5th Five-Year Pla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in 2013, special schools have been trying to improve facility standards to advance special education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facilities for public special schools that will be established and planned after 2013, and analyze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school spatial composition to determine the space composition ratio and detail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otal area of facilities of special schools established after 2013 increased by an average of 1,822.1㎡ (about 16%). Through actual drawing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dedicated area and the public area had increased.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the public area was confirmed to be an increase in hallway width and ramps, halls, and toilet between classrooms, and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the dedicated area was that the newly installed 'Learning Support Space' had an average of 20 additional rooms installed per school.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Oh, Dong-Geun;Yoon, Su-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1
    • /
    • pp.157-179
    • /
    • 2009
  •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n to improve the information gaps of the disabled persons. After examining the legisla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former studies, it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standards of unique space in public library, convenience facilities and traffic line. It also analyzed present condition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lready having separate room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The result shows that arrangement of disabled person's space and general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Som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seems to be equipped just to suffice the standards. Detailed legislation or guidelines concerning facilities for them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 PDF

낚시복합타운 시설구성에 관한 연구

  • Gang, Yeong-Hun;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15-116
    • /
    • 2016
  • 기존 바다낚시공원을 비롯한 바다낚시시설은 이용률 저조, 연계 프로그램 및 관광상품 부족, 편의시설이나 숙박시설 등 부대시설 부족 등으로 인해 바다낚시를 중심으로 증가하는 해양레저의 수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바다낚시 및 해양레저 수요에 대응하여 가족이 즐기고 힐링할 수 있는 낚시복합타운의 조성이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해양레저복합공간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낚시복합타운 개념을 정립하고 낚시복합타운의 유형을 분류한 다음 유형별 시설구성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Design Trends of Outdoor Space in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국내 복합상업시설 외부공간의 특성과 변화 양상)

  • Choi, Yo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8 no.5
    • /
    • pp.89-106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ality and landscape design specifics of the outdoor space of representative commercial multi-complexes in Korea in order to overview the design trends of outdoor landscaping trends. Through surveying the composition of outdoor spaces along with their relation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open spaces, and the neighboring communities, this paper identified the change in trend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landscape planning and acknowledged the enhanced public value of outdoor space.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s can best be understood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 outdoor space relates to adjoining commercial multi-complexe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that outdoor space establishes, commercial multi-complex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in/outdoor separated type, in/outdoor semi-open type, surrounding landscape-projected type, and surrounding landscape-combined type. By studying the landscape design specifics of the outdoor space of representative cases of each type, the following has been concluded: First, the amount of outdoor space has expanded in terms of importance and function while serving to assist in various activities and participatory experiences, and no longer merely serves as a backdrop of commercial facilities. Second, with the strengthened connectivity between in/outdoor spaces, the elements of outdoor surroundings are more actively introduced indoors to improve amenities. Through directly connecting certain indoor program spaces with outdoor spaces, commercial multi-complexes tend to provide richer combined experiences. Third, with the expansion of outdoor space functionality, commercial multi-complexe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quasi-public space, making good example of liminal space. In light of the recent case of development plans linked with public open spaces in suburban settings, commercial landscape design show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n open space that can function as a center for local culture and green networks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