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시각장면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MPEG-4 컨텐츠 저작 도구

  • 김상욱;차경애;김희선;배수영;지동해;민옥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254-256
    • /
    • 1999
  • MPEG-4는 멀티미디어 객체들로 구성된 시청각 장면을 컨텐츠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 장면을 기술하는 장면 디스크립션을 가진다. 이것은 장면을 구성하는 각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공간적인 위치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이진 형식의 스트림이다. 즉 MPEG-4 장면을 저작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형태로 장면 디스크립션을 기술한다. 그러나 시청각 컨텐츠로 구성되는 장면의 저작은 시각적으로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저작 환경의 제공이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청각 장면의 텍스트 저작 작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MPEG-4 컨텐츠의 시공간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MPEG-4 장면의 시각적 저작도구를 제안하고 그 구현 예를 보인다.

  • PDF

MPEG-4 저작 시스템에서 시간 관계의 시각 저작 (Visual Authoring of Time Relation on MPEG-4 Authoring System)

  • 박지현;김미영;이동훈;정재일;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394-396
    • /
    • 2001
  • 본 논문은 MPEG-4 컨텐츠를 구성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사이의 시간관계를 시각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MPEG-4 시스템 표준안은 멀티미디어 객체들로 구성된 시청각장면을 컨텐츠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 장면을 기술하는 장면 디스크립터를 가진다. 장면 디스크립터는 멀티미디어 객체 사이의 공간관계와 시간 관계를 표현한다. 본 저작 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객체간의 시간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작 환경을 제공한다. MPEG-4 저작 도구는 사용자의 시각적인 저작을 통해서 객체간의 시간 관계를 표현하는 장면 디스크립션을 생성한다. 멀티미디어 객체간의 시, 공간 관계 저작을 가능하게 하는 MPEG-4 저작도구는 장면 디스크립션의 의미를 더욱 높여주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저작환경을 제공한다.

  • PDF

사실적인 기포 효과 구현을 위한 제작 기법 연구 (A Study on Fabrication Technique for Realistic Bubble Effect)

  • 웨이쓰위안;황민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8
    • /
    • 2018
  • 최근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기포가 수중에서 발생하는 장면이 많아지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 시각 효과를 사용하여 제작된 수중 기포 효과의 사실적인 수중 장면은 전반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물속의 환경과 융합된 기포의 특성을 분석하고 Maya를 응용한 실험과정을 통해 실감나는 기포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 개발과 VFX 영화의 향상으로 인해 수중 장면과 같이 직접 촬영으로 얻을 수 없는 장면을 시각효과를 통해 사실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디지털 시각효과를 이용한 VFX 영화의 리얼리티와 생동감과 박진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수중 환경의 사실성을 재현하기 위해 기포 효과의 사실성에 대한 요구가 높다. 기포가 있는 수중 환경은 다양한 역학 조건의 영향을 받으므로 분석과 제작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중 기포의 사실성 증대에 대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분석한다.

  • PDF

신장의 개인차로 인한 서로 다른 눈높이에서 경험된 시각장면의 감각적 특성 (Sensory Properties of Visual Scenes Experienced from Different Eye-Heights Arising from Individual Differences in Body-Heights)

  • 김대규;현주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17-225
    • /
    • 2018
  • 개인의 신장 차이로 인한 눈높이 차이는 동일 시각장면에 대한 상이한 감각적 경험을 초래해, 장기적으로는 심리사회적, 발달적 개인차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동일 피사체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두 높이의 카메라 즉 상이한 눈높이에서 촬영된 두 정지 영상의 감각적 특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두 영상은 보행자의 신체 부위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된 두 액션 카메라를 통해 병렬 촬영된 정지화면 사진이었다. 두 카메라 높이조건에서 추출된 사진들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 현출성과 시각적 복잡성 수준 모두가 높이가 낮은 조건보다 높은 조건의 사진들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 결과는 서로 다른 눈높이에서 경험된 시각장면에 감각적 특성 차이가 있을 가능성과 함께, 신장이 큰 개인의 경우 작은 개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풍부하고 다양한 시각 단서들을 경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용자 상호작용에 의한 실시간 MPEG-4 장면 갱신 (Real-Time MPEG-4 Scene Update by User Interaction)

  • 김희선;차경애;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438-440
    • /
    • 2000
  • MPEG-4 컨텐츠는 다양한 시청각 객체들로 구성되어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여 동적인 장면 변화를 지원한다. MPEG-4 규칙을 모르는 일반 사용자가 기존에 개발된 MPEG-4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상호작용과 장면 변화 정보를 생성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트와 커맨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실시간 MPEG-4 장면 갱신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 상호작용과 그에 대한 반응을 시각적으로 저작하면 MPEG-4에 정의된 라우트와 커맨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씬을 실시간에 변화시킨다. 재성되는 씬에 발생하는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서 실시간에 장면 그래프가 갱신되어 컨텐츠를 변화시킨다.

  • PDF

동적 시각자극과 도로 굴곡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Autonomic Responses caused by Dynamic Visual Stimulation and rough Roads)

  • 정순철;민병찬;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유나;김철중
    • 감성과학
    • /
    • 제2권2호
    • /
    • pp.75-82
    • /
    • 1999
  • 지금까지 인간 감성의 측정은 대부분 제한된 실험실에서 실시되었다. 보다 자연스러운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통해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쾌 또는 불쾌한 도로의 시각 환경이 긍정 및 부정 시각으로 제시되었고,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 도로 등의 도로 굴곡 변화가 또 다른 쾌/불쾌 관련 감성 자극으로 제시되었다. 건강한 5명의 피험자는 실험을 위해 차량 내부에서 도로의 시각 환경을 관찰하게 하였고, 세 가지 굴곡이 다른 도로를 주행하면서 굴곡 변화에 따른 감성을 느끼게 하였다. 심박 변화율, 피부 저항, 피부온도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평가와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가 긍정 시각 장면에 비해 부정 시각 장면을 보았을 때 또한 도로 굴곡의 변화가 클수록 평균 R-R 간격과 피부온도의 감소율은 컸고 피부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동적 환경에서 긍정 감성 자극에 비해 부정 감성 자극이 주어 졌을 때 교감 신경계의 활성화가 보다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다중 특징을 사용한 장면 전환 검출 시스템 (Scene Change De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Features)

  • 윤성수;정성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08-412
    • /
    • 2001
  • 대용량 동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검색을 위해서는 장면 단위의 정확한 분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시각적인 내용에 기반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단위의 특징과 프레임 내의 부분영역 단위의 특징을 결합한 다중 특징을 사용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Recall과 Precision에서 각각 7.7%, 10%의 향상을 보였다.

  • PDF

초고속프레임 영화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Effect of Super High Frame Rate Movie)

  • 류징동;최원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3-94
    • /
    • 2019
  • 초고속 프레임(Super High Frame Rate, HFR)은 관객에게 탁월한 이미지의 우월성을 전달한다. 그럼으로써 실제 눈으로 보지 못한 장면의 생생함을 통해 작품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에 나타난 초고속 프레임의 장면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를 중심으로 초고속 프레임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의 작품제작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비디오 검색과 시각적 요약을 위한 장면 기반 계층적 브라우징 기법 (A Scene-based Tree Browsing Technique for Video Retrieval and Visual Summary)

  • 임동혁;이석룡;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2호
    • /
    • pp.181-187
    • /
    • 2001
  • 디지털 비디오의 사용이 일반화되어감에 따라 비디오 브라우징에 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되 어 지고 있다. 과거에 연구된 바 있는 VCR식 순차탐색기법은 아날로그 비디오 브라우징에 서 사용되던 고전적 방식을 다지털 비디오에 적용한 것이며, 키프레임 정적표현법은 비디오 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보이는 방식이다. 이 두 방식이 디지털 비디오의 특성을 충분히 사용 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비디오 샷산의 계층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계층적 브라우 징과 장면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장면 기반 브라우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기존의 비디오 브라우징에 대한 연구들을 자세히 알아보고, 계층적 브라우징과 장면 기반 브라우징에서처럼 비디오 내의 각 장면에 바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층적 브라우징처럼 비디오의 전체구조를 알기 쉽게 보여준다. 또한 브라우징의 결과는 시각적 요 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주의 기반 시각정보처리체계 시스템 구현을 위한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도를 이용한 새로운 특징맵 구성 및 통합 방법 (A Novel Feature Map Generation and Integration Method for Attention Base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Disparity of a Stereo Pair of Images)

  • 박민철;최경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1호
    • /
    • pp.55-62
    • /
    • 2010
  • 인간의 시각 주의 시스템은 주어진 시각장면을 모두 다 처리하기보다는 주의가 집중되는 일정한 작은 영역들을 순간적으로 선택하여 그 부분만을 순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복잡한 시각장면을 단순화시켜 쉽게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의 기반 시각정보 처리체계 시스템 구현을 위한 새로운 특징맵 구성 및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시각특징으로서 색상, 명도, 방위, 형태 외에 2개의 스테레오 영상 쌍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깊이 정보를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깊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주의 영역의 정탐지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