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시각장면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MPEG-4 컨텐츠 저작 도구

  • 김상욱;차경애;김희선;배수영;지동해;민옥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54-256
    • /
    • 1999
  • MPEG-4는 멀티미디어 객체들로 구성된 시청각 장면을 컨텐츠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 장면을 기술하는 장면 디스크립션을 가진다. 이것은 장면을 구성하는 각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공간적인 위치와 그들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이진 형식의 스트림이다. 즉 MPEG-4 장면을 저작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형태로 장면 디스크립션을 기술한다. 그러나 시청각 컨텐츠로 구성되는 장면의 저작은 시각적으로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저작 환경의 제공이 보다 효과적이고 편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청각 장면의 텍스트 저작 작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MPEG-4 컨텐츠의 시공간적 관계를 시각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MPEG-4 장면의 시각적 저작도구를 제안하고 그 구현 예를 보인다.

  • PDF

Visual Authoring of Time Relation on MPEG-4 Authoring System (MPEG-4 저작 시스템에서 시간 관계의 시각 저작)

  • 박지현;김미영;이동훈;정재일;김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394-396
    • /
    • 2001
  • 본 논문은 MPEG-4 컨텐츠를 구성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사이의 시간관계를 시각적으로 저작할 수 있는 저작 시스템을 제안한다. MPEG-4 시스템 표준안은 멀티미디어 객체들로 구성된 시청각장면을 컨텐츠 단위로 표현하기 위해서 장면을 기술하는 장면 디스크립터를 가진다. 장면 디스크립터는 멀티미디어 객체 사이의 공간관계와 시간 관계를 표현한다. 본 저작 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객체간의 시간 관계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작 환경을 제공한다. MPEG-4 저작 도구는 사용자의 시각적인 저작을 통해서 객체간의 시간 관계를 표현하는 장면 디스크립션을 생성한다. 멀티미디어 객체간의 시, 공간 관계 저작을 가능하게 하는 MPEG-4 저작도구는 장면 디스크립션의 의미를 더욱 높여주고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저작환경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Fabrication Technique for Realistic Bubble Effect (사실적인 기포 효과 구현을 위한 제작 기법 연구)

  • Wei, si-yuan;Hwang, Mi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7-38
    • /
    • 2018
  • 최근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 기포가 수중에서 발생하는 장면이 많아지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 시각 효과를 사용하여 제작된 수중 기포 효과의 사실적인 수중 장면은 전반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물속의 환경과 융합된 기포의 특성을 분석하고 Maya를 응용한 실험과정을 통해 실감나는 기포 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 개발과 VFX 영화의 향상으로 인해 수중 장면과 같이 직접 촬영으로 얻을 수 없는 장면을 시각효과를 통해 사실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디지털 시각효과를 이용한 VFX 영화의 리얼리티와 생동감과 박진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수중 환경의 사실성을 재현하기 위해 기포 효과의 사실성에 대한 요구가 높다. 기포가 있는 수중 환경은 다양한 역학 조건의 영향을 받으므로 분석과 제작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중 기포의 사실성 증대에 대한 시뮬레이션 과정을 분석한다.

  • PDF

Sensory Properties of Visual Scenes Experienced from Different Eye-Heights Arising from Individual Differences in Body-Heights (신장의 개인차로 인한 서로 다른 눈높이에서 경험된 시각장면의 감각적 특성)

  • Kim, Daegyu;Hyun, Joo-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217-225
    • /
    • 2018
  • Different eye-heights due to individuals' body heights may cause different sensory experiences against the same visual scene, eventually leading to their longer-term psycho-social and developmental individual difference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compared sensory properties of photographs for the same scene taken from two different camera-heights (i.e., eye-heights). Two sets of photographs were taken in parallel from two cameras attached to a different height on the same pedestrian's body. Analysis of the photographs revealed that both the levels of visual saliency and complexity were greater for the photographs taken from the high eye-height than those from the low eye-height. The results indicate a possible difference in sensory properties of visual scenes perceived from two different heights, potentially exposing taller individuals to richer and more diverse sensory experiences than shorter individuals.

Real-Time MPEG-4 Scene Update by User Interaction (사용자 상호작용에 의한 실시간 MPEG-4 장면 갱신)

  • 김희선;차경애;김상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438-440
    • /
    • 2000
  • MPEG-4 컨텐츠는 다양한 시청각 객체들로 구성되어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정의를 포함하여 동적인 장면 변화를 지원한다. MPEG-4 규칙을 모르는 일반 사용자가 기존에 개발된 MPEG-4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사용자 상호작용과 장면 변화 정보를 생성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트와 커맨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한 실시간 MPEG-4 장면 갱신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 상호작용과 그에 대한 반응을 시각적으로 저작하면 MPEG-4에 정의된 라우트와 커맨드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씬을 실시간에 변화시킨다. 재성되는 씬에 발생하는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서 실시간에 장면 그래프가 갱신되어 컨텐츠를 변화시킨다.

  • PDF

Autonomic Responses caused by Dynamic Visual Stimulation and rough Roads (동적 시각자극과 도로 굴곡 변화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 정순철;민병찬;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유나;김철중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75-82
    • /
    • 1999
  • 지금까지 인간 감성의 측정은 대부분 제한된 실험실에서 실시되었다. 보다 자연스러운 동적인 환경에서 인간의 감성을 자율신경계의 반응을 통해 추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쾌 또는 불쾌한 도로의 시각 환경이 긍정 및 부정 시각으로 제시되었고, 아스팔트, 시멘트, 비포장 도로 등의 도로 굴곡 변화가 또 다른 쾌/불쾌 관련 감성 자극으로 제시되었다. 건강한 5명의 피험자는 실험을 위해 차량 내부에서 도로의 시각 환경을 관찰하게 하였고, 세 가지 굴곡이 다른 도로를 주행하면서 굴곡 변화에 따른 감성을 느끼게 하였다. 심박 변화율, 피부 저항, 피부온도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주관적 평가와 비교 분석하였다. 피험자가 긍정 시각 장면에 비해 부정 시각 장면을 보았을 때 또한 도로 굴곡의 변화가 클수록 평균 R-R 간격과 피부온도의 감소율은 컸고 피부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동적 환경에서 긍정 감성 자극에 비해 부정 감성 자극이 주어 졌을 때 교감 신경계의 활성화가 보다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Scene Change Detection System Using Multiple Features (다중 특징을 사용한 장면 전환 검출 시스템)

  • 윤성수;정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408-412
    • /
    • 2001
  • 대용량 동영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검색을 위해서는 장면 단위의 정확한 분할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의 시각적인 내용에 기반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단위의 특징과 프레임 내의 부분영역 단위의 특징을 결합한 다중 특징을 사용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Recall과 Precision에서 각각 7.7%, 10%의 향상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Visual Effect of Super High Frame Rate Movie (초고속프레임 영화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Liu, Jing-dong;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93-94
    • /
    • 2019
  • 초고속 프레임(Super High Frame Rate, HFR)은 관객에게 탁월한 이미지의 우월성을 전달한다. 그럼으로써 실제 눈으로 보지 못한 장면의 생생함을 통해 작품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영화에 나타난 초고속 프레임의 장면을 통해 시각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를 중심으로 초고속 프레임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의 작품제작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 Scene-based Tree Browsing Technique for Video Retrieval and Visual Summary (비디오 검색과 시각적 요약을 위한 장면 기반 계층적 브라우징 기법)

  • Im, Dong-Hyeok;Lee, Seok-Ryong;Jeong, Jin-W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2
    • /
    • pp.181-187
    • /
    • 2001
  • 디지털 비디오의 사용이 일반화되어감에 따라 비디오 브라우징에 대한 연구가 더욱 요구되 어 지고 있다. 과거에 연구된 바 있는 VCR식 순차탐색기법은 아날로그 비디오 브라우징에 서 사용되던 고전적 방식을 다지털 비디오에 적용한 것이며, 키프레임 정적표현법은 비디오 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보이는 방식이다. 이 두 방식이 디지털 비디오의 특성을 충분히 사용 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비디오 샷산의 계층적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계층적 브라우 징과 장면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장면 기반 브라우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 서는 기존의 비디오 브라우징에 대한 연구들을 자세히 알아보고, 계층적 브라우징과 장면 기반 브라우징에서처럼 비디오 내의 각 장면에 바로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층적 브라우징처럼 비디오의 전체구조를 알기 쉽게 보여준다. 또한 브라우징의 결과는 시각적 요 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A Novel Feature Map Generation and Integration Method for Attention Base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Disparity of a Stereo Pair of Images (주의 기반 시각정보처리체계 시스템 구현을 위한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도를 이용한 새로운 특징맵 구성 및 통합 방법)

  • Park, Min-Chul;Cheoi, Kyung-J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1
    • /
    • pp.55-62
    • /
    • 2010
  • Human visual attention system has a remarkable ability to interpret complex scenes with the ease and simplicity by selecting or focusing on a small region of visual field without scanning the whole images. In this paper, a novel feature map generation and integration method for attention base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s proposed. The depth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tereo pair of images is exploited as one of spatial visual features to form a set of topographic feature maps in our approach. Comparative experiments show that correct detection rate of visual attention regions improves by utilizing depth feature compared to the case of not using depth fe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