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슬관절 전치환술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여성노인의 슬관절 전치환술 경험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otal Knee Replacement in Elderly Women)

  • 이현옥;이순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6-214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derly women patients' experience of treatment for total knee replacement.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0 elderly women age 65 and over who were discharged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5, to September 20, 2012, and it has been done by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Colaizzi. Results: In this study, four categories were extracted: 'Suffering due to intolerable pain', 'A stable mind and body', 'Retrospection about old wounds', 'A desire for a new lif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useful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elderly women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total knee replacement. Nursing intervention is required for pain control after surge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nursing care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during the recovery period is very important. Therefore,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elderly women patients to help their body recovery as well as psychological support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 노인환자의 통증, 피로, 신체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ain, Fatigue, Physical Function in Elderly Wome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 민혜숙;정윤화;김은숙;김선화;최영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3-214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for 4-week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ain, fatigue, and physical function(muscle strength of leg, walking competence, balance, flexibility of patella) in elderly wome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TKA). Method: Utiliz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30 TKA patients consisted of the experimental group (n=15) and control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twice a day for 4 week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8.0 program, using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 As time goes b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of leg (F=6.60, p<.001), walking competence(F=7.15, p<.001), and balance(F=17.55,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positive effects of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in elderly women with TKA.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폴리에틸렌 마모의 관절경적 진단 - 증례 보고 - (Arthroscopic Diagnosis of Polyethylene Wear of Meniscal Bearing in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 A Case Report -)

  • 강규복;윤정로;박성철;송승엽;양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0-194
    • /
    • 2012
  •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폴리에틸렌 마모를 관절경을 통한 진단은 이전에 보고된 바 있다. 이번 논문에서 저자들은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발생된 폴리에틸렌 마모와 재발성 아탈구를 관절경을 통해 진단하여 폴리에틸렌의 교환만으로 치료된 증례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인공 슬관절 단일구획 치환술 후 발생된 폴리에틸렌 마모와 탈구의 진단에 관절내시경이 도움이 되며 문제의 원인, 진단 및 치료 방침을 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은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가? (Does a Preoperativ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before Surgery Increase the Allogenic Transfusion Rate and Blood Los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조명래;이영식;권재범;이재혁;최원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7-132
    • /
    • 2019
  • 목적: 항 혈소판 제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실로스타졸)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이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초기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안전한 방법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단일 센터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시행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369건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항 혈소판 복용 과거력이 없는 271명과 항 혈소판 제제를 술 전 7일간 일시적으로 복용 중지한 98명을 각각의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 간의 입원 기간 동안의 동종혈액 수혈 빈도와 함께 초기 실혈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술 후 1일과 2일에 혈색소 수치 및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를 복용한 군과 항 혈소판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군 간의 수술 1일과 2일 후의 적혈구 용적률, 혈색소 수치의 변화량, 동종혈액의 수혈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9명 중에서 입원기간 동안 총 149명이 수혈을 받았다. 수혈을 받은 환자의 군에서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적으로 고령의 나이, 작은 키, 작은 몸무게, 술 전의 낮은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보였다. 수혈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간의 성별과 술 전에 시행한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등급,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 복용 과거력 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7일간의 일시적 중단은 항 혈소판 제제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출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인공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만성 퇴행성관절염 환자의 우울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Chronic Degenerative Arthriti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주영주;김희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7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degenerative arthriti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Methods: The subjects were 108 patients who admitted or visited K hospital in K city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level of depression was 2.72 with a possible range of 1 to 5. Social support was 3.71 out of a total score 5. Self-efficacy was 64.47 ranged from 10 to 100. Self-esteem was 2.59 ranged from 1 to 5. The associated factors with depression were marital status, length of illness,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elf-esteem. Marital status, length of ill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unted for 5.8% of depression. Next, all variables including pai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ccounted for 66.4% of depression. Conclusion: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the subjects significantly be related to marital status, length of illness, perceived health status, pai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t indicates a need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m to decrease depression and develop quality of life during recovery.

심한 내반 변형의 진행성 관절염 환자의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경골 근위부의 내반을 동반한 외회전 변형 (External Tibial Torsion with Proximal Tibia Vara in Total Knee Arthroplasty of Advanced Osteoarthritis with Severe Varus Deformed Knees)

  • 선두훈;송인수;김준범;김철우;정덕희;정의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2-70
    • /
    • 2020
  • 목적: 경골-대퇴 각이 20° 이상인 심한 내반 변형의 진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경골 근위부의 내반과 외회전 변형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 경골 근위부의 외회전 변형 및 골간단 상부의 내반 변형에 대하여 방사선적 계측으로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수술 전후의 방사선 및 임상 결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중 수술 전 기립 방사선상 경골-대퇴 각이 20° 이상의 내반 변형을 보이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7명, 43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5.7개월이었다.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Kellgren-Lawrence 제3단계이며 경골-대퇴 각이 3° 이하인 43 슬관절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경골 근위부의 외회전 변형과 내반 변형을 비교하였다. 경골 근위부의 외회전 변형은 단순 방사선상의 근위 경비골 중첩 길이와 컴퓨터 단층촬영 상의 경골 염전각을, 근위 경골의 내반 변형은 근위 경골 경사각을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대상군의 수술 전후에 근위 경비골 중첩 길이, 경골 염전각, 근위 경골 경사각,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점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군의 수술 전 및 추시상 근위 경비골 중첩길이는 각각 평균 18.6 mm, 평균 11.2 mm (p=0.031)로, 대조군의 평균 8.7 mm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4). 경골 염전각은 수술 전 평균 13.8°에서 최종 추시 상 평균 14.0°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p=0.489), 대조군의 평균 21.9°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2). 근위 경골 경사각은 수술 전 평균 12.2°, 최종 추시상 평균 0°였으며(p<0.01), 대조군의 평균 1.2°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상군의 임상적 결과는 HSS 점수가 수술 전 평균 34점에서 최종 추시 시 평균 87점으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p=0.028). 결론: 20° 이상의 심한 내반 변형의 진행성 관절염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근위 경골의 외회전 변형과 골간단 상부의 내반 변형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되었다. 대상군의 수술 전후의 경골 염전각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없었으나 합병증 없이 좋은 임상 결과를 보였다.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형상 모델링 (A Total Knee Arthroplasty Simulation Using 3D Medical Images)

  • 서정우;전용태;박세형;최귀원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6-902
    • /
    • 2005
  • An orthopedic surgeon normally gets the operational parameters of total knee arthroplasty from medical images(CT, MRI). Anatomical axis, mechanical axis, the width and height of femur, or tibia are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related with accomplishment of TKA.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of simulation that virtually operates TKA according to 2D medical images. Using this simulator, some important parameters for operation can be achieved before hand. The simulator provides the 3D computational model of a knee joint and then derives the proper size of implant corresponding to the joint. The whole process of TKA can be simulated such as clipping a knee joint, assembling the joint and its implants, visualizing all the operation steps, deriving some crucial parameters such as anatomical axis and cutting thickness, and predicting the result of TKA. Some examples are given and discussed to validate the methodology.

  • PDF

슬관절 전치환술 후 하지 근육강화 운동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정명실;곽혜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29
    • /
    • 2008
  •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on pain, straight leg raising ability, passive range of motion, independent walking time and satisfactio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TKA).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A total of 62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31) and the control group (31).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1-hour exercise intervention,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usual care. Data was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WIN 11.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score, straight leg raising ability, passive range of motion of knee joint, independent walking time, and the patient's satisfaction. Conclusio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on decreasing pain and increasing mobility and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TKA.

후방 안정형 인공 관절 전치환술 후 슬개골 덜컹 증후군의 초음파적 진단 - 증례 보고 -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the Patellar Clunk Syndrome after Posterior Stabilized Total Knee Arthroplasty - A Case Report -)

  • 유재두;김남기;정재윤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44
    • /
    • 2014
  • 슬개골 덜컹 증후군은 인공 관절 전치환술 후 슬개골 버튼 근위부에 섬유성 결절이 형성되어 통증, 염발음, 잠김 현상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슬개 대퇴 합병증이다. 주로 후방 안정형 삽입물을 사용한 후에 발생하며, 굴곡시 섬유성 결절이 과간 절흔에 포착되었다가 신전시 이탈하면서 증상을 유발한다. 대퇴 삽입물의 구조적 특징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추정되고 초기의 후방 안정형 삽입물에서 발생 빈도가 높았다. 이후 새로운 형태의 삽입물에서는 구조가 개선되어 발생 빈도가 감소하였으나 최근까지도 슬개골 덜컹 증후군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진단은 주로 증상에 의해 이루어지며, 영상의학적 검사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특히, 초음파 검사는 대퇴 사두건의 섬유성 결절을 쉽고 간편하게 발견할 수 있다. 저자들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된 슬개골 덜컹 증후군 1례를 경험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