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슬관절 전치환술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5초

CAD기반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가상 수술 구현 (Knee Joint Replacement Virtual Surgery Based on CAD System)

  • 윤영수;박세형;이수홍;김래현;최귀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75-81
    • /
    • 2006
  • 슬관절 전치환술은 관절염이나 사고로 인해 일상적인 활동의 제약을 받는 환자의 슬관절을 인공 관절로 대체함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복원하고자 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인공 관절의 위치 및 정렬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술이 잘못되는 경우 정렬 이상으로 인한 해리, 삽입물의 파손, 인공 슬관절 주위 골절, 슬개골 탈구, 굴곡 각도의 제한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인공 관절은 임상에 적용되는 다양한 인공 관절 중에서 적당한 형상의 관절을 선택하여 시술되고 있지만 환자의 골 형상에 정확히 일치하는 인공 관절 선택의 어려움 때문에 종종 시술 후 부작용이 발생한다든지 심지어는 재수술을 해야 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은 Mechanical CAD 소프트웨어인 CATIA에서 제공하는 절단, Assembly, Analysis, Kinematic Simulation 기능 등을 이용하여 가상 수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슬관절 전치환술 과정을 그대로 재현하여 절단량과 절단각을 결정하고 환자의 골격 형상에 적합한 최적의 인공 관절을 실제 수술 전에 미리 선정할 수 있다. CAD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외과의들이 실제 수술 시에 시행착오법을 통해 인공 관절을 선택하는 과정을 줄이고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향후 ADAMS나 ANSYS와 연계하여 수술 후 동작이나 하중을 분석할 수 있으며, 수술 과정에 대한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했던 사례들의 원인 분석 (Review of the Reasons in Cases Requiring Varus/Valgus Constrained Prosthesis in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 공동의;박상훈;최충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3-260
    • /
    • 2021
  • 목적: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에는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구속력이 적은 치환물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이 권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방 십자인대 보존형 혹은 대치형 치환물로 적절한 슬관절 안정성을 얻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술 중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전환을 고려해야 한다.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항시 구비되어 있지 않는 국내 현실을 감안하여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의 효율적인 술 전 계획을 위해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을 준비하는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시행되었던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1,797예 중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이 시행되었던 27명(29예)를 대상으로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로 최종 결정한 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외반 구속형 슬관절 치환물이 사용된 경우는 전체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중 29예로 1.6%의 빈도를 보였다. 남자 6명, 여자 21명이었으며, 2명에서 양측 모두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평균 63.4세(34-79세)였고, 술 전 최대신전각도는 평균 16.2° (-20°-90°), 최대굴곡각도는 평균 111.7° (35°-145°)였다.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 시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필요하였던 원인으로는 심한 외반 변형으로 내·외반 불안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경우가 10예, 심한 강직으로 인해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이 사용되었던 경우가 10예였으며, 과거력상 내측측부인대 4예, 외측측부인대 1예, 원위 대퇴골과의 무혈성 괴사로 인한 경우가 4예였다. 심한 외반 변형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술 전 슬관절 전후방기립 사진상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은 평균 25.7° (21°-43°)의 외반각을 보였고, 심한 강직으로 수술을 시행한 10예 경우의 굴곡 구축은 평균 37.5° (20°-90°), 관절운동범위는 평균 48.5° (10°-70°)였다. 결론: 20° 이상의 해부학적 대퇴경골간각의 외반 변형, 굴곡 구축 20° 이상 및 관절운동범위 70° 이하를 가진 관절운동 제한, 과거 측부인대 손상 병력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일차슬관절 전치환술 시라도 술 전 계획 시 내·외반 구속형 치환물을 준비하는 것이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의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박유진;박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63-569
    • /
    • 2016
  • 본 연구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 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5년 9월 25일부터 10월31일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S병원 정형외과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후 1년 미만의 입원 또는 외래를 방문한 115명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을 위한 인프라 마련과 우울을 줄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라이프케어를 위한 관절 치환술 환자의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cal Use of Total Replacement Arthroplasty Patients for Life Care)

  • 이경화;김환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661-670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퇴행성관절염인 슬관절과 고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수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수혈이 관절 치환술 환자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양질의 의료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심평원의 환자표본자료(HIRA- NIS-2017) 중 입원개시일자가 2017년 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단측 전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65세 이상 슬관절 전치환술(N2072)과 고관절 전치환술(N0711)로 청구된 코드만을 대상으로 총 분석 대상은 1,580건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관절 전치환술이 병원특성 및 환자특성별로 수혈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유의한 변수로는 의료기관종류, 시도, 병상수준, 성별, 빈혈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관절 전치환술의 병원특성 및 환자특성별로 수혈여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 비교하였다. 유의한 변수로는 의료기관종류, 병상수준에서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슬관절 전치환술의 병원특성 및 환자특성별로 당뇨병 유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 비교하였다. 유의한 변수로는 의료기관종류, 병상규모, 빈혈에서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혈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택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혈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결과 슬관절 전치환술의 수혈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의료기관 종류, 기관소재지, 성별, 빈혈이었다. 고관절 전치환술의 수혈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의료기관 종류, 성별로 나타났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비골 두에 발생한 골용해성 병변 (Osteolytic Lesion of the Fibular Head after Cemented Total Knee Arthroplasty)

  • 이채칠;박기봉;황일영;양두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87-92
    • /
    • 2021
  • 방사선 검사상 골용해성 병변이 슬관절에서 발견되는 경우 다양한 원인을 감별해야 한다. 특히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수술력이 있다면 골용해도 가능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저자들은 우측 무릎 통증으로 내원한 83세 여성 환자에서 시멘트를 사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골 삽입물의 비감염성 해리가 선행된 비골 두의 골용해성 병변을 진단하였고 슬관절 재치환술을 통해 치료한 경험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Treatment for Infe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 김경태;이송;김지형;김대근;신원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3
    • /
    • 2013
  •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해서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의 효용성과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17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혈액검사와 관절액 천자를 통해 감염을 확인한 후 관절경을 이용하여 변연 절제술과 활액막 제거술을 시행하고 항생제를 혼합한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세척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치료의 실패 또는 재발 여부를 확인하고 수술 후 2년까지 감염의 재발이 없는 경우를 치료의 성공이라 판단하였다. 결과: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로 치료받은 17예 중 13예에서는 1회의 관절경적 치료만으로 감염이 치료되었으나 4예는 감염이 지속 또는 재발되어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재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관절경적 수술만으로 치료된 군보다 감염 증상 발현 후 수술까지의 기간이 더 길었다(p<0.05). 결론: 관절경적 수술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감염의 치료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철저한 변연 절제술과 세척술 및 적합한 항생제의 사용 등을 통해서 성공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감염이 의심된다면 가능한 빨리 수술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척추감염을 동반한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의 치료 (Treatment of Spinal Infection Following Bilateral Total Knee Replacement Postoperative Infection)

  • 심범진;손욱진;조창우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2-96
    • /
    • 2017
  •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은 큰 관심을 가지는 문제로 국소 부위 및 전신적 감염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때로는 패혈증으로 진행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패혈증은 신체의 다양한 부위로 전파될 수 있으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중대한 합병증이다. 하지만 감염 후 척추로 전이된 경우는 임상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진단이 어려우며, 이러한 증례에 대한 보고는 어떠한 문헌에도 없었다. 이에 양측 슬관절 전치환술 후 감염으로 인하여 패혈증으로 진행되어 척추로 전이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향 흡입법이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 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pain, anxie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elderly women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during continuous passive motion exercise)

  • 박소영;김태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83-1402
    • /
    • 2017
  • 본 연구는 버가못, 라벤더, 자스민을 혼합한 향유를 사용한 향 흡입법 중재프로그램이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 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 불안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순수 실험연구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D 광역시에 소재 일 관절전문병원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고 수동적 관절운동을 처음 시작하는 여성노인 환자 총 53명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 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수동적 관절운동 시 버가못, 라벤더, 자스민을 혼합한 향유를 4*2 inch 거즈에 3방울을 떨어뜨려 향 흡입법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향유 대신 증류수를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향 흡입법 중재프로그램은 슬관절 전치환술 여성노인환자의 수동적 관절운동 시 통증완화와 불안을 경감시키는 데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통증과 불안을 완화시키는 독자적 간호중재로 간호 실무에 확대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과제 지향 훈련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sk-Oriented Exercise on the Balance in Degenerative Arthritis Patients with Total Knee Replacement)

  • 지상구;김명권;이동걸;차현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22-232
    • /
    • 2012
  • 본 연구는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난 후 3주 이내의 환자 24명에게 과제 지향 훈련과 체중 이동 훈련이 정적 균형과 동적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과제 지향 훈련군(실험군) 12명과 체중 이동 훈련군(대조군) 12명을 2그룹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각 군의 운동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Gaitview 시스템과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통해 정적 균형을 측정하였고, Balance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실험 전과 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 지향 훈련군이 체중 이동 훈련군에 비해 정적, 동적 균형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조기 환자들에게 과제 지향 훈련이 균형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