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피아민트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6초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와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제주산 민트 에센셜오일 성분 분석 (Analysis of Mint Essential Oils from Jeju Island, Kore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현호봉;부경환;강혜림;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75-181
    • /
    • 2015
  • 제주에서 생산된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3종으로 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와 headspace-GC-MS (HS-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결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각각에서 1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그램의 피크 intensity를 기초로 보았을 때, 페퍼민트에서는 peperitenone oxide, 스피아민트에서는 carvone과 limonene, 오데코롱민트에서는 linalool이 주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HS-GC-MS 분석에서는 GC-MS와 비교하였을 때 alcohol과 acetat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고, 검출되는 성분의 수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피아민트와 오데코롱민트의 주 화합물은 GC-MS에서 검출된 것과 같았고, 페퍼민트에서만 GC-MS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던 menthol이 주요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오데코롱민트 에센셜 오일에서 linalyl acetate와 linalool의 함량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Jasmonic Acid 및 NaCl 처리가 스피아민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asmonic Acid and NaCl on the Growth of Spearmint(Mentha spicata L.))

  • 최영;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9
    • /
    • 2017
  • 본 연구는 NaCl 및 jasmonic acid(JA) 처리 시 스피아민트(Mentha spicata)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구, JA($20{\mu}M$ JA 전처리), JA+NaCl($20{\mu}M$ JA 전처리+ 50mM NaCl), NaCl(50mM NaCl) 처리 등 4처리구로 구분하여 0.5배 Hoagland 용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한 후 생장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스피아민트의 초장, 엽장, 엽폭 및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NaCl 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건물중은 JA+NaCl 혼용처리구를 비롯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a와 b 함량은 JA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비타민 C와 항산화 활성 및 지상부의 프롤린 함량은 염 스트레스로 생육이 가장 낮았던 NaCl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온 흡수의 균형 정도를 알 수 있는 K/Na 비율은 JA 단독 처리 시 증가하였고, NaCl처리 및 JA+NaCl 혼용 처리구에서는 $Na^+$ 흡수 증가로 인하여 K/Na 비율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함으로써 스피아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옥상녹화지에서 허브식물의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 of Irrig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Herb Plants on a Green Rooftop Area)

  • 김동엽;박희령;하유미;류경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6-105
    • /
    • 2018
  • 허브식물을 이용한 옥상녹화시 관수를 실시한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애플민트, 레몬밤, 스피아민트, 파인애플세이지, 초코민트, 옥스아이데이지, 캐모마일 및 타임이었다. 반면, 무관수 처리구에서 좋은 생육특성을 보인 허브식물은 페퍼민트, 장미허브 및 피버퓨였다. 관수에 따른 생장에 차이가 없는 허브식물은 라벤다, 로즈마리, 탠지, 레몬버베나, 헬리오트로프, 소프워트 및 레이디스맨틀이었다. 관수 및 무관수 처리가 허브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과 최대 광합성 효율을 조사한 결과, 관수처리 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초코민트, 스피아민트, 레몬밤, 애플민트 등으로 나타났다.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최대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식물로는 페퍼민트와 탠지였으며, 장미허브는 무관수시 생장은 증가한 반면 최대 광합성효율은 감소하여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관수 및 무관수 처리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으나, 최대 광합성효율이 증가한 허브는 로즈마리와 소프워트였으며, 레몬버베나, 피버퓨, 헬리오트로프 등은 관수 및 무관수에 따른 생장 차이가 없고, 최대 광합성 효율 역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코민트와 페퍼민트는 중부지방에서 월동 가능함과 동시에 겨울에도 잎이 지지 않고 상록으로 유지되어 옥상녹화에 적합한 식물이라고 생각되었다. 반면, 장미허브, 파인애플세이지, 애플민트는 추위에 약하고 월동이 안 되어서 옥상녹화에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스피어민트와 레몬밤은 엽색의 변화와 동해 피해로 인해 관상가치는 떨어졌으나, 월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옥상녹화에 어느 정도 적용 가능한 식물로 판단되었다. 중부지방에서 활용 가능한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는 무관수시 생장이 증가하고 월동이 가능한 페퍼민트와 탠지가 저관리형 옥상녹화용 식물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레몬버베나, 소프위트 및 레이디스맨틀도 중부지방에서 옥상녹화용 허브식물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사 제어된 스피아민트와 야생 스피아민트 기내배양배지의 터페노이드 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erpenoids in in vitro Culture Media of Metabolically Engineered Transgenic and Wild Type Spearmint (Mentha spicata L.))

  • 강영민;박동진;송현진;마호섭;;최명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01-307
    • /
    • 2012
  • IPP isomerase (Iso) and Limonene synthase (Limo) are important enzymes in terpenoids biosynthesis pathway. The wild type and each metabolically engineered (Iso and Limo) transgenic spearmint (Mentha spicata Linne) plants were compared for their growth patterns and the contents of essential oil in in vitro culture media. The profile of terpenoid metabolites was obtained from the essential oil of the metabolically engineered transgenic spearmint, which was extracted using a modified SDE method, by GC-MS analysis. The growth of wild spearmint was more profuse in B5 culture medium than in other media.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f and root growth patterns were observed between metabolically engineered transgenic and wild type spearmint plants. The leaves of the transgenic spearmint plants were slightly elongated but were dramatically narrower than those of wild type spearmint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of transgenic spearmint was different slightly depending on the target terpenoid genes. The content of essential oils in Limo transgenic plants was higher than that of Iso, except for transgenic plant in B5 medium. The transgenic spearmint produced more terpenoids than the wild type. Iso spearmint extracts showed eleven terpenoids and a phenylpropane, while Limo spearmint extracts contained nine terpenoids. However, extracts from the wild type showed the presence of only four terpenoids.

유카(Yucca shidigera) 첨가에 의한 허브차의 개선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Herb Tea by Addition of Yucca (Yucca shidigera))

  • 양희태;최화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8-53
    • /
    • 2005
  • 허브와 유카는 차나 의약품, 화장품, 향신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식물로써 본 연구에서 레몬 버베나,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코리아민트(박하), 로즈마리, 파인애플세이지, 감국, 스테비아, 라벤더, 그리고 레몬 바베나 10종에 허브 및 각 단일종 허브에 0.02% 유카를 첨가하여 80℃에서 우려낸 차의 pH 및 가용성 고형물 양을 조사하였다. 허브차 단독보다는 유카를 첨가하였을 때 레몬바베나, 스피아민트, 애플민트, 박하, 그리고 로즈마리의 pH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고형물 함량에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관능평가에서 허브차와 유카혼합차의 경우 몇몇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향, 색, 맛,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박하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박하에 유카를 혼합했을 때 pH는 혼합농도가 높을수록 계속 감소하였으며, 관능평가 결과는 저농도(0.01∼0.04%) 첨가시 향상하였으나 그 이상 첨가시 오히려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카를 허브 차에 저농도로 혼합하여 관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기능성을 갖는 유카허브차를 개발하는데 그 가능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허브 중에서 특히 박하와 유카혼합차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생각된다.

허브의 두뇌 활성화성분에 관한 연구 -스피아민트, 스위트바질, 로즈마리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Brain Activation Components in Herbs -For the Spearmint, Sweetbasil, Rosemary-)

  • 신경순;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67-980
    • /
    • 2022
  • Mentha spicata, Ocimum basilium L., and Rosemarinus officinalis 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analysis of rosmarinic acid contents by HPLC analysis and the fragrance components of each herb were compared by GC-MS analysis. It was prepared and cultivated in a herb farm located in Sacheonjin-ri, Gangneung-si in 2022 (Fig. 1) before flowering, collected in the summer, stored at minus 20℃, and dried 50 g each. The analysis was requested to the NICEM analysis roo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o obtain the test results. Through the above study, HPLC showed that the content of rosmarinic acid was 555.53 mg/Kg, which was absolute, 27.12% in rosemary for 1,8-cineol in GC-MS, and 32.44% in linalool in sweet basil. For eugenol, 23.11% in sweet basil and 19.92% in rosemary were found in α-pinene.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spearmint, sweet basil, and rosemary contain a large amount of major ingredients that act on concentration or brain activation.

식용작물을 이용한 전복 박리 (Exfoli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using edible plants)

  • 김위식;김종오;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3-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9종의 식용작물을 이용하여 전복박리 효과를 조사한 결과, 스피아민트, 레몬밤, 로즈플라워, 양파, 와사비분, 겨자분, 오미자 및 히비스커스 용액에서 박리효과가 관찰되었다. 특히, 오미자와 히비스커스 용액에서는 90% 이상의 박리율이 관찰되었다. 양식장에서 사육중인 전복을 대상으로 오미자 및 히비스커스 용액을 사용하여 전복 박리 및 회복 효과를 조사한 결과, 3%와 4%의 오미자 용액에 노출된 전복은 각각 93.6% (850/908)와 97.1% (810/834)의 박리율을 보였으며 1분 15초 이내에 회복되었다. 3%와 4%의 히비스커스 용액에서는 각각 96.1% (780/812)와 97.4%(700/719)의 박리율을 보였고, 박리된 전복은 1분 39초 이내에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 오미자와 히비스커스 용액은 양식현장에서 전복을 박리하는데 실용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