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포츠

검색결과 2,874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sports experience on sports satisfaction, sports immersion, and sports attitude

  • Myung-Soo, Kim;Byung-Nam, Min;Seung-Hwan, Lee;Sung-Hee, Kim;Jae-Hoo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29-13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체육수업 적용을 통해 가상현실(VR) 스포츠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와 VR 스포츠가 평생스포츠 교육의 기반이 되기 위한 기초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초등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VR 스포츠 경험이 스포츠 만족도, 스포츠 몰입, 스포츠 태도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VR 스포츠 경험은 스포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스포츠 만족도는 스포츠 몰입, 스포츠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스포츠 몰입은 스포츠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가상현실의 큰 장점은 기존 체육수업에서 다루기 힘든 종목 및 비인기 종목들에 대한 체육활동이 수월하게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또한 체육수업과 영어, 수학 등을 연계한 프로그램 활용으로 초등학생들에게 체육이 융복합 과목으로 인식되는 동시에 놀이 또는 게임으로 재미요소와 학습요소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통합교과가 될 것이다.

체감형 스피닝 게임 구현을 위한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 (Sport Functional Movement for Physically Interactive Spinning Game Implementation)

  • 길영익;이현주;고일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39-152
    • /
    • 2020
  •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가상경기뿐만 아니라 훈련이 가능한 형태로 확대되어 실제 스포츠를 대체하고 있다. 기존 체감형 스포츠 게임은 실재감과 몰입을 위한 기술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운동 경험을 위한 스포츠 움직임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은 실제 스포츠 경기의 기본 움직임이며, 본 논문에서는 스피닝의 기능적 움직임을 적용하여 실제 스피닝을 대체할 수 있고 개인이 진행 가능한 체감형 스피닝 게임을 구현한다. 스포츠 기능적 움직임은 실제 스포츠 종목을 대체할 수 있는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본 스포츠영화의 한계 (Limits of Sports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Structural)

  • 이정래;권기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780-78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스포츠영화가 가지는 한계를 영화의 범주, 소재, 공식, 혼성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영화는 스포츠영화란 무엇인가에 관한 개념적 혼란으로 인해 어떠한 기준으로 범주를 구분할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것은 스포츠영화의 장르범주에 대한 기준이 명확히 설정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준다. 둘째, 스포츠영화는 영화의 제작방식, 소재, 기법 등 영화 전반의 많은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논픽션에 근거한 스토리와 편중된 종목의 소재로 제한되어 있다. 셋째, 스포츠영화는 유동성을 갖지 못하고 현대스포츠의 팽배해진 승리지상주의 가치와 같은 진부한 스토리 공식에만 제한되어져 있다. 넷째, 스포츠영화는 스포츠에 대한 정형화된 인식으로 인해 스포츠영화의 혼성성을 갖지 못하고 있다.

생활체육과 스포츠복지 정책 전달체계 : 정책 효과성 증대를 위한 거버넌스의 가능성 탐색 (System for sports welfare policies: Explore the potential for policy effectiveness of governance)

  • 김한범;이장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7-156
    • /
    • 2021
  • 생활체육 정책은 스포츠복지 정책의 개념적 범주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스포츠복지의 개념을 넘어서 일반적인 복지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될 수 있어야 스포츠복지 정책이 가지는 효과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인 국민에게 스포츠복지 정책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하기 위해서는 스포츠복지 정책이 다른 복지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 안에 편입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복지 정책이 국가적 차원의 전달체계에 편입되는 방안 중 하나로 스포츠복지 거버넌스의 구성과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스포츠복지 조직을 신설하는 복지전담 독립형 정책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안 평가 및 개선 방안 제언 (Evaluation of Amendments to the Act on Promotion of e-Sports (Electronic Sports))

  • 이진우;김호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3-24
    • /
    • 2021
  • 최근 이스포츠법 개정안이 발의되었다. 본 연구는 이스포츠 산업의 특성으로 높은 접근성, 종목 불안정, 낮은 직업안정성, 치열한 경쟁, 정책적 지원 미흡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안을 분석하였다. 이스포츠법 개정안은 지역 이스포츠와 이스포츠 단체 및 선수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 의의가 있으나, 정책 시행을 위한 행정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선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쟁조정 대상 확대, 스포츠산업진흥법의 제도 도입, 사문화된 규정 시행, 이스포츠 선수의 직업안정성 향상을 제시하였다.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A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Educating Sport Ethics)

  • 박성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1호
    • /
    • pp.37-4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선수들이 실제 스포츠현장에서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도덕적 자율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Rest의 도덕성 4구성요소 모형을 이론적 토대로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국내외 스포츠윤리 저서들을 분석함으로써 스포츠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 주제를 도출하여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선정한 교육내용을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하여 인지구조의 비평형화와 동년배 집단 교류의 기제를 통한 딜레마 토론 수업을 활용하였다. 끝으로 개발한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은 대학교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후 심층면담을 통하여 설정한 스포츠윤리교육의 목적이 달성되었는지를 평가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에 참가 후 학생선수들의 스포츠윤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행동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가 스포츠지도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준의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포츠윤리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스포츠웨어 선택기준 집단의 추구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 (Sportswear Evaluative Criteria Segments: Benefits Sought, Attitudes toward Imported and Domestic Brands, and Sportswear Image Preferences)

  • 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42-1753
    • /
    • 2007
  • 본 연구는 스포츠웨어 선택기준으로 스포츠웨어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시장간 스포츠웨어 추구 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총 773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는 요인분석, 군집분석, t-test, 카이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결과 스포츠웨어 시장은 브랜드/디자인, 기능성 중심의 두 세분시장으로 나누어졌으며 두 세분시장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국내 및 해외 브랜드에 대한 태도, 스포츠웨어 선호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브랜드/디자인을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하는 세분시장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으로 이성어필/인상향상, 개성, 신분과시를 추구하며 해외 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고급스러운 이미지의 스포츠웨어를 선호하였다. 반면 기능성을 중시하는 세분시장은 편안함을 추구하였고, 국내 브랜드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단순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스포츠웨어를 선호하였다.

중학생의 스포츠 참가 정도와 스포츠 유능감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ports Participation Degree, Sports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 박보현;이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15-423
    • /
    • 2010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포츠 참가 정도와 스포츠 유능감 및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생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t-검정, 일원 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스포츠 참가정도가 여자 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동료지지에 있어서는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스포츠 참가 정도에 있어서는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의 경우 스포츠 유능감과 교사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계소득 정도가 높을수록 스포츠 참가 빈도, 그리고 스포츠 유능감, 동료지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스포츠 참가 정도는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스포츠 유능감을 매개로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데 스포츠참가 유무보다는 스포츠 유능감 향상이 더 중요한 요인임이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IT와 스포츠서비스 융합을 위한 R&D 전략 연구 (A Study on R&D Strategy for the IT Convergence Research and Sports Services)

  • 오중덕;박찬홍;박병호;최용석;오일영;성현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2-49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IT와 스포츠서비스 융합을 위한 R&D 전략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민소득의 증대와 여가시간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스포츠 참여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산업의 소비기반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차별화 및 첨단화된 스포츠 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선진국 및 신흥발전국에서는 보다 다양화되고 첨단화된 스포츠상품 소비에 적극적이며, 고부가가치의 오감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융합적 스포츠소비가 급속히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IT기술과 스포츠서비스의 융합을 위한 R&D 전략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영세한 국내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이루고 스포츠 정책 개발 및 국내 스포츠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청각 장애인이 지각하는 e스포츠 인식 및 차이분석 (eSports Perception and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Deaf)

  • 최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245-252
    • /
    • 2022
  • 본 연구는 청각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e스포츠 인식조사 및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청각 장애인 189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자료처리방법은 SPSS 21.0, Excel 2016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각 장애인 모집단 189명 중 e스포츠를 67.7%는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새로운 스포츠 체계로 61.4%는 인정하고 있으며, 그리고 65.6%는 e스포츠에 직,간접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스포츠 참여기기로 스마트폰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종목은 카트라이더, 참여계기로는 친구의 권유로 시작했다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e스포츠 참여 도중 가장 불편사항은 청각장애인에 대한 e스포츠 프로그램 부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스포츠 추천여부 조사결과 매우 그렇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e스포츠를 새로운 스포츠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로는 실제 스포츠가 아니라서 답변이 가장 많았으며,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심이 없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참여여부 설문 결과 있다 라는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청각 장애인의 e스포츠 인식 및 인정, 참여여부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