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인 게이기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기름에 대한 실리콘의 부피 변화 성질을 이용한 유출유 탐지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Hydrocarbon Oil Detection Sensor using the Swelling Property of Silicone Rubber)

  • 오상우;이문진;최혁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80-28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름에 대한 실리콘의 선택적 반응 현상을 이용하여 해상에 유출된 기름을 탐지하는 방법과 이를 적용한 센서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기름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름과 접촉시 실리콘고무의 부피가 변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스트레인 게이지와 실리콘 고무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센서 코어를 제안하였다. 기름의 종류별 센서 코어의 특성 실험을 통해 유출유 탐지 센서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해당 센서의 실해역 적용을 위해서 부이형태의 센서 플랫폼을 센서 코어 및 스트레인 계측기와 통합시켜, 기름 유출이 모사된 조건에서 기름을 탐지하는 실험을 통해 여러 종류의 기름의 존재 유무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압력변환기의 성능평가

  • 임순재;배문섭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40
    • /
    • 1990
  • 최근 산업고도화의 일환으로 공장자동화와 무인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여러가지 변환기가 응용되고 있다. 또 변환기도 종합적인 계측, 제어를 위하여 종래의 기계적 구조를 이용한 것으로부터 전기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이에 동반하여 개발된 변환기의 올바른 성능평가 방법이 필수 기술로써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올바른 성능평가의 방법은 그 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해당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사항과의 합치여부를 결정짓는 기준일 뿐 아니라 실험결과의 국제적인 비교의 기준이 되므로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또 성능평가도 이제까지는 보톤 상온의 환경에 대해서만 고려하였지만, 예상되는 사용환경 전부에 대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환기 또는 센서의 성능평가방법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압력변환기를 선정하여 그 사용 환경에 대한 성능시험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물에 적용결과를 나타냈다.

스트레인 게이지 변위 추정기를 사용한 유동공진 가진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Vibration Exciter Using Strain Displacement Estimator for Flow Resonance)

  • 최재혁;남윤수
    • 산업기술연구
    • /
    • 제21권B호
    • /
    • pp.125-132
    • /
    • 2001
  • Heat dissipation technology using flow resonant phenomenon is a kind of new concept in heat transfer area. A vibration exciter is needed to generate air turbulence which has the natural shedding frequency of heat system. A mechanical vibrating device for the air flow oscillation is introduced, which is driven by a moving coil actuator. An analytical dynamic model for this mechanical vibration exciter is presented and its' validity is verified by the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data. Values of some unknown system parameters in the analytic model are estimated through the system identification approach. Based on this mathematical model, the vibration exciter using strain displacement estimator is developed. And in the experiment, the feedback control is used. During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phase, it turns out the high modal resonant characteristics of vibrating plate are the major barrier against obtaining a high bandwidth vibration exciter.

  • PDF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RESIN ACCORDING TO FILLING METHODS USING STRAIN GAUGE)

  • 김응학;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29
    • /
    • 2008
  • 본 연구는 복합레진 적층방법에 따른 복합레진의 수축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광중합기의 광원은 light-emitting diode(LED)와 plasma arc lamp(PAL)이었으며, 복합레진은 Filtek $Z350^{TM}$를 사용하였다. 교정 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60개의 소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교합면에 와동을 형성하고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사면적층법으로 나누어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치면에 발생된 strain과 응력을 측정하였고, 법랑질 표면에 시편을 부착하여 동일한 적층방법으로 충전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train의 변화를 살펴보면,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와동의 협설면에서는 주로 팽창이 일어났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수축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2. 와동의 근원심면에서는 팽창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서히 수축량이 증가하였다. 3. LED와 PAL 조사군 모두 적층방법 간의 응력 차이는 없었다(p>0.05). 4. LED 및 PAL 조사군 간의 응력 차이는 협면에서만 존재하였다(p<0.05). 5. 전단결합강도 측정 결과 LED 군에서는 사면적층법이 일회충전법, 수평적층법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p<0.05), PAL 광조사군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6. 각 치면에 발생된 응력은 전단결합강도보다 낮았다(p<0.05).

  • PDF

스트레인 게이지법을 이용한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중합수축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OLYMERIZATION SHRINKAGE OF COMPOSITE AND COMPOMER USING STRAIN GAUGE METHOD)

  • 김윤철;김종수;권순원;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2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중합과정에 따른 복합레진과 컴포머의 수축 양상을 스트레인 게이지법(strain gauge method)을 이용하여 평가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광중합기는 기존의 할로겐 시스템인 XL 3000(3M, USA)과 최근 소개된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인 Flipo(LOKKI, France)를 사용하였고, 충전 재료는 복합레진인 Z-100(3M, USA)과 컴포머인 Dyract AP(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다. 주형과 치아 와동 내에 충전된 실험재료의 중합수축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중합수축 측정 결과 모두 중합초기에는 일시적인 재료의 팽창을 나타냈고, 그 후 약 1분간은 수축량이 급격히 증가하다가 증가의 폭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컴포머를 사용한 군에 비해 복합레진을 사용한 군에서 중합수축이 크게 나타났으며 plasma arc curing 시스템을 사용한 군에 비해 기존의 광조사 시스템 군에서 더 큰 중합수축을 보였다. 압축 강도의 측정결과는 컴포머 군에 비해 복합레진 군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lasma arc curing unit와 컴포머의 사용은 시술시간의 단축과 항우식 효과를 감안한다면 소아치과 영역에서의 사용이 긍정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CT 검사에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 예방을 위한 EDA 시스템 개발의 예비 보고 (The Development of Extravasation Detection Accessory System for the Preventive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in the Computed Tomography: A Preliminary Report)

  • 권대철;정석희;김태형;김정구;박범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1호
    • /
    • pp.32-39
    • /
    • 2006
  • CT 검사에서 조영제의 혈관외유출을 예방하기 위해 EDA시스템을 증폭기, ADC,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성하여 개발하였고, 스트레인 게이지의 신호의 수치를 나타내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신호비율은 500/1000 sec, 분해능 값은 0에서 4,096범위로 표시하고, 입력범위 $0{\sim}5$ V이다. 혈관외유출 검출 문턱 값은 50으로 하였고, 10 간격으로 조정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EDA 시스템을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2명의 환자에서 혈관외유출이 검출되었고, 조영제 주입속도는 2.0 mL/sec, 2.5 mL/sec, 압력은 137 psi, 158 psi, 혈관외유출된 조영제 용량은 22 mL, 25 mL였다. 설정된 주입 조영제에 비해 20% 정도의 적은 용량이 혈관외유출되었다. 개발된 EDA 시스템은 소량의 조영제를 검출하여 혈관외유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 PDF

왕복동식 압축기 밸브의 설계 (A STUDY OF VALVE DESIGN PROCEDURE IN HERMETIC COMPREESOR)

  • 조성욱;박성근;김형석;임종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2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반도아카데미, 20 Nov. 1992
    • /
    • pp.98-103
    • /
    • 1992
  • 전세계적인 에너지 절약과 환경보존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규제와 CFC삭감에 대응한 국제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변화에 따라 냉동 공조기기의 심장부인 압축기에 대 해서도 고효율 및 저소음화의 요구가 한층 높아졌다. 따라서 가혹한 환경에 도 견딜 수 있는 압축기의 개발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소형밀폐형 압축 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그 하나는 모터에 의한 회전구동부이고, 다른 하나는 실린더와 피스톤 그리고 밸브로 구성된 압축기구부이다. 그 중 에서 밸브는 진동 및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요소가 된다. 압축기의 밸브 는 근본적으로 밸브포트와 실린더 형상에 의해 결정되며, 이런 형상조건하에 서 밸브는 연속적인 운전이 되어야 하므로, 그 응답성이 좋아야 하고 무엇보 다도 자체의 신뢰성도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밸브의 동적특성과 응력 분 포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이 용한 밸브의 동적특성과 응력해석을 위해 밸브의 형상을 유한요소 패키지인 ANSYS를 이용하여 해석하고, 그 모델링 및 해석이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 여 동적 특성해석은 홀로그래피(Holography) 기술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응 력해석은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어서 서로 비 교하여 보았다.

  • PDF

소형 프로펠러 단독시험기 설계 (A Design Experience of Propeller Open Water Testing Dynamometer)

  • 김재성;송무석;김효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48-54
    • /
    • 1995
  • 선박용 추진기의 단독시험을 위한 소형시험기를 설계제작하고 모형선 예인수조에서 검증시험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시험기는 전동기의 반동력을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직접 계측함으로써 재래의 시험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모성 슬립링을(Slip Ring) 제거하였다. 또한 기기의 구조 부재를 검력계의 검출부로 사용함으로써 소형의 모형선에 탑재될 수 있도록 경량화 및 소형화를 이룩하였다. 개발된 이 제품은 회류수조 등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형시험수조 및 캐비테이션 터널에서 사용될 각종 시험 기기 설계의 기초기술을 포괄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 PDF

Build-up 기법을 이용한 대용량 힘 측정 시스템 개발 (Large Force Measuring System Using Build-up Technique;)

  • 강대임;송후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1권3호
    • /
    • pp.477-484
    • /
    • 1997
  • This paper describes the build-up force measuring system of 9.9 MN capacity which consists of nine force transducers of each having 1.1 MN capacity. We have specially designed a force transducer for a build-up force measuring system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a build-up system and to accomodate the new test procedure for a build-up system. It reveals that the relative uncertainty of the force measuring system is less than 1.5*10$^{-4}$ in the ran9e of 1-4.5 MN irrespective of loading direction. The force measuring system may be used to calibrate a 10 MN force standard machine to be used as a large force standard in Korea.

스트레인 게이지형 센서 신호조정기 자동교정 및 시뮬레이션 기법 (Auto Calibration and Simulation Method for a Strain Gage Type Transducer/Signal Conditioner)

  • 유제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019-1025
    • /
    • 2003
  • We introduce a new auto-calibration/simulation method for a strain gage type transducer/signal-conditioner which guarantees the output linearity and compensates the error automatically. We design a micro voltage supply which is able to interface either AC or DC type excitation voltage. A new strain gage simulator is also designed. We make linearity output of the signal conditioner and can compensate error automatically with this new auto calibration/simulation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rror between the real value and the expected one is less tha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