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트레스 완화효과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2초

융복합시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 김은덕;박찬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과 그 과정에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 참여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년간 조사한 한국아동패널의 연구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는 주된 요인이었다. 회귀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유아의 내면화와 외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관련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아의 내면화에 영향을 끼쳤다. 다른 말로 하면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내면화인 우울증에 끼치는 영향을 완화시켜 주었다. 그것에 기초하여, 교육과 복지 제안들이 만들어졌다.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 심미영;이둘녀;김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27-23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매개변인과 준거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가외변인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과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있어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자기효능감,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기효능감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 및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간접경로인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높은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스트레스나 우울이 높은 대학생들은 조기에 선별하고 건전한 활동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스트레스 및 우울완화 프로그램과 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on Suicide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박선욱;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3-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생각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대학생활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은 그룹에서 자살생각이 강했다. 둘째, 제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은 자아존중감, 대학생활 만족도,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법인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뚜렷한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반면에,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인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는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 분석의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남학생,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역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가장 컸다. 즉,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여학생보다 남학생에서, 정서중심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대인관계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고등학교 교사의 그릿과 직무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Teachers' Grit and Job Stress Coping Strategies)

  • 장봉석;김진철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9-14
    • /
    • 2020
  • 이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들의 그릿과 스트레스 대응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릿의 군집유형별 직무 스트레스 대응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하는 연수에 참여한 고등학교 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의 노력 지속성은 도전적 및 정서완화 대응행동에 정적 예측변인이었고, 흥미일관성은 회피적 대응행동에 부적 예측변인이었다. 그리고 높은 그릿과 높은 노력 군집 유형이 낮은 그릿 군집 유형보다 도전적 대응과 정서완화 대응행동의 평균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직무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교사의 그릿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유아의 기질과 조부모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조부모와 손자녀 친밀감의 중재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aged Grandchildren's Temperament and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timacy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 진지혜;안정신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025-1039
    • /
    • 2012
  •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아기 손자녀의 기질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조부모와 손자녀의 친밀감이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중재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유아기(만2-5세)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기 손자녀의 기질이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쳐 유아기 손자녀의 기질이 까다로울수록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기 손자녀의 기질과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조부모와 손자녀 친밀감의 중재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부모들이 유아기 손자녀의 까다로운 기질에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조부모와 손자녀의 친밀감의 정도에 따라 조부모가 인지하는 양육스트레스가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감사의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Insomnia)

  • 김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09-628
    • /
    • 2021
  • 본 연구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감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도와 전라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 330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불면증, 자기자비, 감사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SPSS Macro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면증이 높았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면증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및 감사가 각각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와 감사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불면증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불면증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더불어 자기자비와 감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ess between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Defense Mechanism)

  • 김선희;김진선;고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24-5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여성들이 겪는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적극적인 대처방식의 촉진을 위한 개입 변인들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기여성 만 35세~59세 400명 이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자아방어기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는 첫 번째, 역할스트레스는 적응적 방어기제를 제외한 미성숙 방어기제, 자기억제적 방어기제, 갈등회피적 방어기제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 대처는 역할스트레스 및 일상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번째, 미성숙 방어기제의 경우에는 문제중심대처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정서중심대처 및 소망추구적 사고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방어기제 유형 중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는 적응적 방어기제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정서중심적 대처방식, 소망추구적 사고 대처에서는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나, 사회지지적 대처방식에는 조절효과가 없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는 중년기여성의 스트레스 완화에 자아방어기제의 조절효과를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여대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Coping with Premenstrual syndrome )

  • 안나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2-475
    • /
    • 2023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과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C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11일에서 11월 30일까지 20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161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r=.383, p<.001), 우울(r=.436,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에서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190, p=.016).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 사이의 우울 및 월경전증후군 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월경전증후군(β=4.907, p=.002), 우울(β=6.780, p<.001)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우울은 월경전증후군에(β=.383, p=<.001), 월경전증후군 대처는 월경전증후군(β=4.292, p=.030)에 각각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스트레스와 월경전증후군의 관계에서 매개작용을 검증하기 위한 간접효과에서는 우울을 경유하는 경로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5% CI, 1.282-4.140). 따라서 코로나19 등의 신종 전염병 유행 및 팬데믹 상황을 대비하여 코로나19 스트레스와 같은 관련 스트레스를 관리하여 우울을 감소시키고 월경전증후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중재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 의료기관 행정직 직장인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Depression)

  • 김혜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069-5077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병원 직장인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B 시 지역에 소재한 306개 의료기관의 행정직 직장인 700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정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2012. 2.-2012. 5). 직급, 근무기간 등 직무관련 특성별 행정직 직장인이 지각하는 자기효능감 수준을 분석하였고,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r=-.238, p<.001), 우울(r=-.626, p<.001)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자기효능감의 매개적 영향력은 유의하였다(p<.001).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의 내적인 특성은 성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화가능성이 큰 요인이다. 따라서 의료기관 행정직원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조직차원의 체계적인 개입을 통하여 조직 내 직무스트레스의 부정적 특성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간졸음에 관련된 요인과 야간근무와 아로마테라피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도시철도승무원 대상 (Factors Related to Daytime Sleepiness and the Effects of Night Work and Aromatherapy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argeting an Urban Railway Crew)

  • 이현웅;김시곤;임광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5호
    • /
    • pp.729-740
    • /
    • 2022
  • 본 연구는 야간 근무 도시철도승무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장애가 낮 시간대 졸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낮 시간대 졸음 지수는 타 근무시간대 보다 높게 측정되어 졸음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일반적으로 수면장애 및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아로마에센셜 오일을 야간근무 근무자들에게 처치하여 스트레스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아로마테라피를 처치 받은 실험군은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트레스의 감소, 자율신경계의 전체 활성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승무원의 야간근무가 스트레스 증가와 자율신경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아로마테라피 처치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야간 근무자들의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잠재적인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