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토리텔링 수학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6초

TV 애니메이션'똑똑박사 에디'의 스토리텔링 요소와 수학내용 분석 (An Analysis of Storytelling Factors and Mathematics Contents of 'Eddy, the Clever Fox' on TV Animation)

  • 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07-814
    • /
    • 2014
  • 본 연구는 TV 애니메이션 '똑똑박사 에디'의 스토리텔링 요소와 수학내용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설정한 분석기준에 따라 시나리오와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의인화된 11명의 동물이 등장인물로 나오며, 에디는 주인공으로서 문제해결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등장인물의 말, 행동, 사고양식은 전조작기 유아의 수준으로 묘사된다. 눈 덮인 숲 속 마을을 배경으로 일상적이고 평범한 스토리가 진행되며, 중심서사는 있으나 이야기는 플롯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이야기의 주 내용은 수학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에피소드는 대화, 노래, 나레이션을 통해 진행된다. 둘째, 애니메이션에서는 1회당 평균 23회의 수학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수감각, 기하, 측정, 자료분석과 확률, 규칙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똑똑박사 에디'는 에듀테인먼트로서의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인지부하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의 한 주제를 중심으로 -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Focused on one Theme in 'Number and Operations' -)

  • 이세형;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that are presented to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is, we have selected two 4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identified as a homogeneous group through prior testing, and thus were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n, without the teacher's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learned from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Afterwards, the two groups' cognitive load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mental effort' and 'self evaluation' categories,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categories 'task difficulty', 'self evaluation', and 'material design'.

수학 교수학습에서 스토리텔링의 의미에 대한 탐색 (Exploring meanings of storytelling in the context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 이지현;이기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203-215
    • /
    • 2013
  • We explored implications of storytelling in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and examined examples of storytelling for deep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meanings of storytelling and new direction of storytelling approach to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s had been commonly considered as the subject irrelevant to the narrative mode of thinking and only relevant to the paradigmatic mode of thinking that has rigorous logical forms and independent from human mind. As a result, this common sense forced a transmission pedagogy of mathematics: only the teachers as owners of the objective and logical truth of mathematics could transmit mathematical truths to students. Storytelling is highligh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mmon teaching practices of mathematics focused only on the paradigmatic mode of thinking. Although a lot of research about the educational uses of storytelling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stories, we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interest about storytelling should move to the elements or techniques for the positive effect of storytelling.

수학교육에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에 대한 문헌 분석 연구 (A literature research on storytell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1호
    • /
    • pp.65-82
    • /
    • 2013
  • This study has to do with storytelling. In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literature and scientific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aningful basic material on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lesson model and teaching material. First, we analyze the causes and background storytelling appeared. The psychologists found that the human cognition's structure consists of a narrative system. And, We realize that the problem 'How will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students in math class' will be solved by storytelling. Second, the means of storytelling about the educational value and benefits were discussed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story has a powerful force in the delivery of mathematical content. And, the story has strong power, led to feelings of students receiving transfer mathematical content. Finall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sychology of learning in mathematics education by storytelling. We were studied about internal and external story. And, we studies on storytelling as the mediator, story as the knowledge transfer, story as the problem-solving process, story as the script.

개인화 스토리텔링 수학 학습 시스템 (Personalized Storytelling Mathematics Learning System)

  • 이정환;한기준;권가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1-984
    • /
    • 2014
  • 개인화된 서술형 수학 문제(mathematics word problem)는 오랫동안 연구된 분야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에 관심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13년 도입된 스토리텔링 수학에 개인화된 콘텐츠를 접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26명을 대상으로 하여 약 110분 동안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무게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배우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각각 13명씩 개인화 그룹과 비 개인화 그룹으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업 성취도(Learning Achievement)에서는 사전 시험(pre-test) 점수가 너무 높아 두 그룹 간에 서로간의 유의한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수학에 대한 태도 부분과 몰입도(Flow) 부분에서는 다소 개인화 그룹의 값이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는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정성적 분석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개인화 그룹(Personalized group)은 비 개인화 그룹(non-personalized group)에 비해 개인화(personalization)가 수업의 재미있는 요소로서 보다 중요한 작용을 했다고 느꼈다. 또한, 테스트나 측정(measure) 부분에서 생겼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재 실험이 있을 시엔 유의미한 값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수학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 방식 적용을 위한 소재 연구: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finding topics for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centered on JiSuYongYukDo and JiSuGuiMunDo)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5-169
    • /
    • 2012
  • 본 연구는 최석정이 제시한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의 수학사 탐구형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학생들은 최석정이 제시한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의 해로부터, 기댓값을 마법수로 택했고, 서로 보수가 되는 두 수의 쌍을 이용했고, 다른 쌍의 배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된 네 쌍이 있고, 보수가 되는 두 수를 바꾸어 놓아도 역시 해가 된다는 특징을 탐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지수용육도의 해를 구하는 것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6개의 수를 찾는 것으로, 그리고 지수귀문도의 해를 찾는 것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11개의 수를 찾는 것으로 바꾸어 탐구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이 전략을 통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아도 최석정 스타일의 해를 나름대로 다양하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현행 초등 수학 교과서에 대한 개선점과 개선 방향 (Improvements and Enhancements to the Direction of Current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9-304
    • /
    • 2015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재의 초등 수학 교과서가 개발 당시에 기대했던 점들과 지금까지 수학 교과서에 제기되었던 주요 문제점들이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의 입장에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흥미도와 자신감, 수학적 과정, 학습 내용의 양과 적절성, 평가, 수학의 유용성과 외형의 7개 부문의 20개 문항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의 전체적인 경향은 긍정적이었다. 구체적으로 외형, 스토리텔링, 수학 유용성은 상당히 긍정적이었고, 수학적 과정, 학습내용의 양과 적절성 부문은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흥미도와 자신감 그리고 스스로 학습하기 부문은 큰 변화가 없어 그 원인 파악이 필요해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앞으로 새로운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개발방향이나 활용에 대한 효과의 제고를 위해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athematics narrative's influences on affects about mathematics of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 이기돈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41
    • /
    • 2016
  • 교육부는 실생활 또는 판타지 맥락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수학적 지식의 구성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유발하려는 스토리텔링을 주창하고 있다. 그러나 학교수학은 실생활이나 판타지 맥락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기 어려운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런 경우 수학적 사실들이 어떤 점에서 흥미로운지를 수학 내러티브로 구성하여 교수학습 하는 것이 긍정적 수학 정서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한 일반고에서 치러진 4회의 정기고사 문항들을 소재로 개발한 4건의 수학 내러티브를 정기고사가 끝날 때마다 한 건씩 그 시험을 치른 한 명 내지 5명의 학생들과 논의한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 내러티브가 일반고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개선 방향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4건의 수학 내러티브에 대한 논의에 꾸준히 참여한 한 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서가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학생의 변화와 다른 4명의 학생들의 반응으로부터 수학 내러티브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수학 수업 자료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aching Material Using Storytell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 이수민;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3호
    • /
    • pp.205-230
    • /
    • 2014
  • 구성주의를 반영한 대표적인 교수 학습 이론인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이 이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구성주의 관점에 따른 교육과 관련된 유무형의 제 요소들(지식관, 학습자관, 교사의 역할, 평가, 수업 형식, 학습, 수업 자료 등)이 융합되어야 한다. 그 중 수업 자료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음을 전제로 개발되어야 하고, 지식의 통합성, 다양성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개방형 속성을 지닌 자료이어야 한다. 이외에도 객관적 인식론을 적용할 때 갖던 특징과는 다른 특징들을 지녀야 하므로, 수업 자료가 그러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1-2 학년군 수학(3) 교과서의 스토리텔링이 처음 도입된 단원 중 수와 연산 영역에 해당되는 <1. 세 자리수>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성주의 수학교실 2학년의 <3. 자릿값의 이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orycrafting Program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 이혜원;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77-694
    • /
    • 2016
  • 스토리크래프팅은 핀란드 교육에서의 창의 기법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수학 수업에 스토리크래프팅의 도입 가능성 및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2개 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2015년 2학기에 총 33차시의 수업 적용 전 후에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분석을 위해 i-STATistics를 활용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스토리크래프팅 프로그램은 6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기초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접근 방법인 스토리텔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