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터브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DGS를 이용한 Kuroda 저역통과여파기 설계 (A Design of Kuroda Low-pass filter Using DGS)

  • 정치현;윤화영;박광식;임종식;최흥택;안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65-770
    • /
    • 2009
  • 본 논문은 구로다 저역통과여파기의 개방 스터브에 결함 접지 구조(Defected Ground Structure; DGS)를 적용한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130ohm의 특성 임피던스를 갖는 개방 스터브에 DGS를 삽입한 등가 구조를 구하였다. 이 방법은 선로의 폭을 확장하여, 구현이 어려운 구로다 저역통과여파기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130ohm의 개방 스터브는 비유전율 4.8, 기판의 두께 0.7874mm인 기판에 구현할 때 선폭이 0.1mm 이하로 구현되어야 하는데, DGS를 삽입하여 0.5mm의 폭으로 5배 이상 확장하였다. 이를 적용한 5단 구로다 저역통과여파기는 설계와 측정 결과가 매우 잘 일치함을 보여 주었다.

고효율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필터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Efficiency Wideband Microstrip Band Pass Filter)

  • 이영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36-6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구형공진기와 SIOS를 사용하여 삽입손실이 작고, 차단특성이 아주 좁고, 광대역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스트립 대역통과필터를 연구하였다. 계단 입피던스 스터브는 일반$0.25{\lambda}$ 스터브 보다 약 3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스터브의 임피던스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으로 필터의 특성 개선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객관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이중모드 구형공진기를 사용한 최적화된 광대역 대역통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전송선로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한 주파수 특성 결과는 실험 값과 아주 잘 일치하였다. 구현된 필터의 주파수 특성은 $L_4$ = 1.94mm인 경우에 필터의 3dB 대역폭은 52.5%(3.267GHz)이고, 삽입 손실은 0.33dB, 30dB 차단특성은 저주파수 대역에서 221MHz, 고주파수대역에서 0.181MHz이다. 최대 차단특성은 저주파 대역에서 -54dB, 고주파 대역에서 -60dB이다.

두 단락 스터브를 갖는 이중 모드 링 공진기를 이용한 WLAN용 이중대역 대역통과 여파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Dual-Band Bandpass Filter Using a Dual-Mode Ring Resonator with Two Short-Circuited Stubs for WLAN Application)

  • 최병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814-82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두 단락 스터브를 갖는 이중 모드 링 공진기를 이용하여 높은 신호 선택도를 가지는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를 제안하였다. 링 공진기의 이중 모드 공진을 위하여 두 피드 라인을 커플링 커패시터를 통해 비직교 급전 각도를 가지도록 연결하였다. 서로 다른 두 길이를 가지는 두 단락 스터브를 링 공진기의 두 대칭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이중 대역을 지원하는 여파기를 설계할 수 있었다. 급전 각도 섭동을 준 링 공진기와 제안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는 대칭 구조이므로 Even/Odd 모드 해석을 통하여 산란계수와 전송 영점 주파수들을 도출할 수 있다. 제안한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는 IEEE 802.11n 기준의 WLAN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다. 측정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가 잘 부합하였고, WLAN 응용뿐만 아니라, 향후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가변 특성 임피던스 전송 선로를 이용한 가변 이중 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 (A Tuable Dual-Band Bandpass Filter Design Using Variable Characteristic Transmission Lines)

  • ;정용채;임종식;김동수;김준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852-85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중 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 설계에 이용 가능한 가변 특성 임피던스 전송 선로의 응용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여파기는 고정된 첫 번째 통과 대역과 가변 가능한 두 번째 통과 대역을 갖는다. 스터브 부하공진기(Stub Loaded Resonator: SLR)는 직렬 공진기와 개방 단락 스터브로 구성되는데, 개방 단락 스터브를 결함 접지 구조(Defected Ground Structure: DGS) 전송 선로와 바랙터 다이오드로 구현함으로써 두 번째 통과 대역의 조정이 가능하다. 제안된 구조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 3개의 전송 영점을 갖는 2단 이중 대역 대역 통과 여파기를 설계하였고, 이론적인 예측값과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개방 스터브를 갖는 평행 결합 선로의 해석과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에의 응용 (The Analysis of the Parallel Coupled Line with an Open Stub and Its Branch-Line Hybrid Application)

  • 이원균;황희용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0-4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개방 스터브를 갖는 평행 결합 선로의 해석과 이를 이용하여 고조파 저지 특성을 갖는 소형화된 새로운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를 제안한다. 먼저, 개방 스터브를 포함한 평행 결합 선로 전체의 Z-파라미터를 유도하였으며, 이는 넓은 저지 대역을 갖는 단위 저역 통과 여파기(LUC)의 특성을 갖는다. 이를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의 설계에 적용하여, 중심 주파수 1.8 GHz 근처에서는 기존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지만 크기는 약 1/2로 줄이고, 5체배 고조파를 포함한 12 GHz까지 스퓨리어스 성분을 -20dB 이하로 저지하는 새로운 브랜치 라인 하이브리드를 설계하였다.

이동통신용 소형 방향성 다이폴 안테나 (Small Size Directional Dipole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s)

  • 이광재;우덕제;김상진;이재욱;이택경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416-14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중계용 방향성 다이폴 안테나의 소형화 방안과 다중대역 특성을 가지게 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무지향성의 다이폴 안테나에 평면 반사판을 적용하면 넓은 빔폭의 전면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방향성 다이폴의 소형화를 위해 반사판의 크기를 줄였고, 이때 생기는 후면 방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직 스터브를 제안하였다. 또한, 수직 스터브에 다이폴 방향으로 수평 스터브를 연결하면 다이폴의 유효 전류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안테나를 더욱 소형화할 수가 있다. 현재의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추세에 따라 안테나를 다중/광대역화하기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다이폴 안테나를 전자기 결합하여 다중/광대역 특성을 가지게 설계 하였다.

격리도가 향상된 X-Band 재구성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 설계 (Design of the Reconfigurable Frequency Selective Surface for X-Band Applications with Improved Isolation)

  • 이인곤;박용배;전흥재;김윤재;홍익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791-79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X-대역 동작 주파수 재구성이 가능하며, 격리도가 향상된 대역 통과 재구성 주파수 선택 표면구조(frequency selective surface)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재구성 FSS의 단위구조는 Four-legged loaded 소자와 인덕턴스 성분의 스터브 그리고 전원 인가를 위한 바이어스 그리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Four-legged loaded 소자와 스터브 사이에 위치한 핀 다이오드의 ON/OFF 상태를 통해 단위구조의 전기적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동작 주파수의 재구성 특성을 구현하고, 스터브의 길이 조절을 통해 원하는 동작 주파수의 조절이 가능하며, ON/OFF 상태의 투과 특성간 향상된 격리도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재구성 FSS를 제작하여 구형 도파관 WR-90을 이용한 투과 특성 측정을 통해 설계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형의 삼중 모드 공진기와 삼중 모드 필터 설계 (Compact Triple-Mode Resonator and Triple-Mode Filter Design)

  • 이자현;임영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47-45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작은 크기의 삼중 모드 공진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소형화를 위해 반파장의 Stepped Impedance Resonaotr에 개방 스터브와 단락 스터브를 이용하였으며, 개방 스터브에 의해 자체적으로 하나의 전송 영점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세 가지 공진 모드에서 발생하는 공진점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제안된 삼중 모드 공진기를 이용하여 세 개의 전송 극점과 하나의 전송 영점을 갖는 2.4 GHz WLAN에 적용 가능한 대역 통과 필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삼중 모드 필터는 중심 주파수 2.4 GHz에서 15.8 %의 3 dB 대역폭과 2.4~2.5 GHz 통과 대역 내에서 최대 1.17 dB 이하의 삽입 손실을 갖는다. 제작된 삼중 모드 공진기의 필터의 크기는 급전 선로를 포함하여 15.9 mm${\times}$9.7 mm로 기존의 삼중 모드 필터에 대비하여 매우 작은 크기를 갖는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한 광대역 차단특성을 가지는 저역통과 필터 설계 (Design of Lowpass Filter With the Wide Stopband Characteristics Using Microstrip Line)

  • 최동묵;심준환;전중성;김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31-33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광 대역 저지대역특성을 가지는 저역통과필터를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하였다. 개방회로 스터브를 이용한 L-C ladder형 저역통과 필터의 입 출력단에 길이가 $\lambda_g/4$인 개방 스터브를 부가함으로써, 광대역 차단특성을 가지는 필터를 개발하였다. 필터의 전체길이를 줄이기 위해 고 임피던스 마이크로스트럼 라인을 미앤더(meander) 구조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필터는 차단주파수가 2.3 GHz인 저역통과필터였고, 측정된 결과는 전산모의실험에서 예측된 값들과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세 개의 분기선로를 갖는 WLAN에 적용가능한 삼중대역 안테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riple-Band Antenna with Three Branch Lines for WLAN Applications)

  • 하성재;윤중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9-12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WLAN 표준화에 적합하도록 삼중대역 안테나를 설계, 제작 및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방법을 적용하여 세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임피던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스터브 추가하여 삼중대역 특성을 얻었다.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과 임피던스 대역폭을 얻기 위해 세개 분기 선로의 길이와 폭을 설정하고 스터브 길이를 조정하고 최적화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24.0mm(W){\times}60.0mm(L){\times}1.0mm(t)$의 유전체 기판 위에 $23.0mm(W_2+W_4){\times}53.1mm(L_1)$의 크기로 제작되었다. 제작 및 측정 결과로부터 900 MHz에서는 159 MHz (841~1000 MHz), 2400 MHz 대역에서는 630 MHz (2.32~2.95 GHz) 그리고 5000 MHz 대역에서는 1,040 MHz (4.95~5.99 GHz)의 대역폭을 얻었다. 또한 무반사실의 측정결과로부터 제작된 안테나의 이득과 방사패턴 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