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타이렌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6초

러빙처리된 폴리스타이렌막 표면에있어서의 표면 액정 배향에관한 이방성 분산력의 효과 (Anisotropic Dispersion Force Effects for Surface Liquid Crystal Alignment on Rubbed Polystyrene Surfaces)

  • 서대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08
    • /
    • 1996
  • We have studied the anisotropic dispersion force effects for surfaces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LCs) on rubbed polystyrene (PS) surfaces by unidirection. In microphotographs of the textures, we obtained the nematic (N) LCs are shown to align in both direction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rubbing for region up to medium rubbing, however to alig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ubbing for strong rubbing legion. We suggest that the anisotropic dispersion force is very important rather than macro-surface groove effect to uniform alignment of LCs. We also measure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extrapolation length of 5CB on rubbed PS surfaces for strong rubbing. It is shown that the polar anchoring strength of 5CB is very weak on rubbed PS surface compared to the rubbed polyimide (Pl) surface.

  • PDF

폴리스타이렌/폴리아닐린 전도성 블렌드의 전하분포 특성 (Charg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styrene/Polyaniline Conducting Blends)

  • 김원중;고정우;박창모;서광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457-1459
    • /
    • 2003
  • Space charge distributions and behaviors of polystyrene/polyaniline conducting blends were investigated using a pulsed electroacoustic(PEA) method. It was found that positive charges were accumulated near the cathode with increasing polyaniline content in polystyrene/polyaniline when electric field was applied. Breakdown phenomena was investigated by breakdown test and it was observed that dielectric strength was diminished as polyaniline content was increas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orss-sectional views of polystyrene/polyaniline conducting blends were observed that the particles of polyaniline were well distributed in polystyrene.

  • PDF

수산화칼슘/인산 현탁제가 스타이렌 기반 현탁중합토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lcium Hydroxide/Phosphoric Acid Suspending Agent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yrene-Based Suspension Polymerized Toners)

  • 유재광;김대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5호
    • /
    • pp.923-928
    • /
    • 2012
  • 고품질의 현탁중합토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상 현탁계의 최적화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기현탁제로 사용한 수산화칼슘($CaOH_2$)/인산($H_3PO_4$)(Ca/P)의 몰비 및 수상의 pH가 스타이렌 기반 현탁중합토너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수상을 중성조건(pH=7.5)으로 고정하고 Ca/P의 몰비를 1.5:1부터 1.76:1까지 변화시켰다. 그 결과 Ca/P의 몰비를 1.73:1로 하였을 때 이상적인 인산칼슘염(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이 만들어졌으며 이 조건에서 제조된 중합토너는 입도분포, 원형화도 및 대전특성이 우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Ca/P의 몰비를 1.73:1로 고정하고 수상을 약산성(pH=5.5) 및 약염기성(pH=9.5) 조건으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약산성 조건에서 제조된 중합토너는 더욱 더 우수한 입도분포, 원형화도 및 대전특성을 나타냈으며 인쇄품질도 매우 우수하였다. Ca/P의 몰비와 수상의 pH 조건을 최적화하여 고품질의 현탁중합토너를 제조할 수 있었다.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견의 물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Vinyl Monomers Graft Polymerized Silk Fibre)

  • 이용우;송기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0
    • /
    • 1985
  • 견의 증량 및 실용성 향상을 위한 견에 대한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법에 관한 연구에서 각종 단량체에 의한 그라프트 중합견의 물성 변화에 대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사에 대한 스타이렌 및 M.M.A.의 그라프트 중합에 있어서 그라프트 중합율이 높을수록 생사의 sericin 정착율이 높았으며 단량체별로는 스타이렌 중합구가 M.M.A. 중합구보다 sericin 정착율이 높았다. 비닐 단량체 그라프트 중합 생사는 무처리 생사에 비하여 강력 (g/d) 및 신도가 저하되었다. 2. G.M.A. 그라프트 중합견의 그라프트율은 53.7%로서 M.A.A. 중합견의 48.6%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며 중합견포의 급수율은 그라프트 중합율이 높을수록 떨어졌으나 G.M.A. 중합견은 39.6%로서 M.M.A. 중합견의 25.0%에 비하여 14.6%가 높았다. 3. E.G.M. 그라프트 중합견의 그라프트율은 58.3%로서 G.M.A. 중합견의 53.9%에 비하여 약간 높았으며 E.A. 중합견은 33.7%로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E.G.M. 중합견의 급수율은 G.M.A. 및 E.A. 중합견에 비하여 우수하였으며 견포의 강연도는 E.G.M. 및 G.M.A. 중합견 모두 미중합견에 비하여 증가되므로서 촉감이 저하되었다. 4. 그라프트 중합사의 중합균일도에 있어서 그라프트 중합욕을 진양 처리하면 관행 중합법에 비하여 중합 가공 견사의 섬도편차와 견포의 두께 편차를 감소시키므로서 중합규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스타이렌 술폰산 고분자가 그래프트된 ETFE 막의 방사선 제조 방법 및 특성 분석 (Radiolytic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styrene sulfonic acic)-grafted ETFE Membranes)

  • 고범석;강성아;경비;전준표;노영창;강필현;김종일;신준화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20-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동시조사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그래프트율과 두께를 가진 ETFE-g-PSSA막을 제작하였다. 다양한 방사선 조사조건에서 제조된 ETFE-g-PSSA 막들은 SEM-EDX 기기를 이용하여 막 내부의 황(sulfur) 원소의 상대적 분포도를 측정하여 그래프트 고분자의 막 단면 분포경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균일한 그래프트 고분자의 분포도를 갖는 ETFE-g-PSSA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스타이렌 단량체는 디클로로메탄 용액에서 60(v/v%) 이하여야 하고 두께가 두꺼울수록 높은 그래프트율을 얻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두께와 그래프트율을 가진 막들의 이온교환용량(IEC)과 함수율(water uptake)을 측정하여 막 두께와 그래프트율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Co 및 Mo 기반 촉매에 의한 폴리스티렌의 저온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lystyrene by Low Temperature Pyrolysis by using Co and Mo Dispersed Catalysts)

  • 박준규;김재곤;이봉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76-685
    • /
    • 2016
  • 본 연구는 폴리스타렌(PS) 수지의 유화공정 효율성 향상을 위해 저온열분해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단일 PS 수지와 Co 및 Mo 촉매를 각각 첨가한 PS 수지를 반응온도(425, 450, $475^{\circ}C$), 반응시간(20~80분, 15분 간격), 촉매 농도변화에 따른 PS수지의 액화생성물 전환율을 측정하였다. 최적의 열분해 조건은 반응온도 $450^{\circ}C$, 반응시간 35분으로 판단되며, 전환된 액화생성물의 주요 성분은 GC/MS 분석결과 스타이렌 및 벤젠유도체가 대부분으로 나타났다. 생성물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고시한 증류성상 온도에 따라 가스,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로 분류하여 그 수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450^{\circ}C$ 반응온도에서 촉매 사용에 따른 전환율은 Co 촉매 > Mo 촉매 > 무촉매 순이었으며, 생성물 중 가스, 등유, 경유수율은 Mo 촉매, 가솔린은 무촉매, 중유는 Co 촉매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o 및 Mo 촉매 혼합 농도별 전환율 및 열분해 생성물 수율은 Co 촉매 100% 사용 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스타이렌 모노머를 이용한 색소 담지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Study of Dye Encapsulated Microcapsule Polymerization Using Styrene Monomer)

  • 김지연;우지윤;민문홍;윤석한;여지애;김한도;염정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4-174
    • /
    • 2016
  • In this study, dye-encapsulated microcapsules were produc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using styrene monomer.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size of microcapsules were $2{\sim}5{\mu}m$ in normal distribution. These microcapsules induced pale yellow(A12) and reddish yellow(B24) color by thermochromic fluoran yellow(dye A) and red(dye B). These microcapsules were changed to dark yellow(A12) and scarlet(B24)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change. The weight of microcapsules decreased by 7% to 11% during the heating ranges from $320^{\circ}C$ to $350^{\circ}C$ implying that the styrene microcapsules had thermal stability upto $300^{\circ}C$.

폴리스타이렌을 이용한 그래핀 합성 및 산화 붕소가 그래핀 합성에 미치는 영향 (Synthesis of Graphene Using Polystyrene and the Effect of Boron Oxide on the Synthesis of Graphene)

  • 최진석;안성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79-285
    • /
    • 2018
  • Graphene is an interesting material because it has remarkable properties, such as high intrinsic carrier mobility, good thermal conductivity, large specific surface area, high transparency, and high Young's modulus values. It is produced by mechanical and chemical exfoliation,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nd epitaxial growth. In particular, large-area and uniform single- and few-layer growth of graphene is possible using transition metals via a thermal CVD process. In this study, we utilize polystyrene and boron oxide, which are a carbon precursor and a doping source, respectively, for synthesis of pristine graphene and boron doped graphene. We confirm the graphene grown by the polystyrene and the boron oxide by the optical microscope and the Raman spectra. Raman spectra of boron doped graphene is shifted to the right compared with pristine graphene and the crystal quality of boron doped graphene is recovered when the synthesis time is 15 min. Sheet resistance decreases from approximately $2000{\Omega}/sq$ to $300{\Omega}/sq$ with an increasing synthesis time for the boron doped graphene.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폴리스타이렌 사출성형품의 기계적 물성 예측 (Prdic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in Injection Molded Polystyrene Par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박헌진
    • 유변학
    • /
    • 제10권2호
    • /
    • pp.74-81
    • /
    • 1998
  • 사출성형품의 설계는 그 내부의 기계적 물성 변화보다는 전통적으로 용도에 부합하 는 형상을 위주로 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설계조건의 개선을 통하여 성능이 우수한 제 품을 얻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사출성형 실험이나 물성평가 시험을 하기 전에 성형품의 부위별 기계적 물성을 알수있다면 제품의 설계나 금형 설계에 많은 도 움이 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 물성 예측을 위한 방법론들의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시스템, 사출성형 수치모사와 기계적 물성과의 상관관계를 밝히 는 방법을 만들어 사출물이 제작되기 전에 그들의 기계적 물성을 사출성형 수치모사에서 얻 어진 열적·기계적 이력으로부터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때 성형품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기계적 이력 사이에는 매우 복잡하고 비선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기 때문에 이들 사이를 비 매개변수적으로 연관짓기 위하여 역전파 인공신경망 알고리듬을 사용하였으며 열적·기계적 이력은 사출성형용 수치모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학습과정에서 전역최소값에 도달하지 못하는 인공신경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멘텀변수와 잡음지수를 포함하 는 일련의 항을 첨가하여 연결가중치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어떤 초기값에 의하여 학습이 되더라도 전역최소값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른 사출조건에서 사출 물의 기계적 물성을 잘 예측할수 있었다.

  • PDF

에너지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폴리스타이렌 기반 플라스틱 섬광체의 파장쉬프터 비율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Wavelength Shifter Ratio in a Polystyrene Based Plastic Scintillator through Energy Spectrum Analysis)

  • 김예원;문명국;김명수;유현준;이대희;조규성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67-171
    • /
    • 2016
  • The scintillation efficiency of the polystyrene based plastic scintillator depends on the ratio of the wavelength shifters, organic fluors(PPO and POPOP). Thus, 24 samples of the plastic scintillator were fabricated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ratio of the wavelength shifters in the plastic scintillator. The fabricated plastic scintillators were trimmed through a cutting and polishing process. They were used in gamma energy spectrum measurement with the $^{137}Cs$ emitting mono-energy photon with 662 keV for the comparison of the scintillation efficiency.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he scintillator sample with 1.00 g of PPO (2,5-Diphenyloxazole) and 0.50 g of POPOP (1,4-Bis(5-phnyl-2oxidazolyl)benzene) dissolved in 100 g of styrene solution has the optimum ratio in terms of the light yield of the polystyrene based plastic scintill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