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키참가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생의 스키사회화 과정 분석 (Analysis of Ski Socialization Process of Undergraduates)

  • 송강영;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167-175
    • /
    • 2007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스키사회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5년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 스키 수강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집락무선표집법을 활용하여 2개의 대학을 선정하였으며, 1개교에 100명씩 총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 자료분석에 활용된 사례수는 187명이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특히,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값이 .60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사회화 주관자는 스키 참가에 영향을 미친다. 즉, 부친과 중 고등학교 시절 교사의 스키참가정도, 권유 격려, 태도, 재정지원이 많으면 대학생의 스키참가는 더욱 증가된다. 둘째, 스키사회화 주관자는 스키 참가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부친, 형제자매, 친구의 스키 참가정도, 권유 격려, 태도, 재정 지원이 많으면 대학생의 스키 참가빈도는 증가된다. 셋째, 스키사회화 주관자는 스키 참가기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부친, 형제자매, 친구의 스키 참가정도, 권유 격려, 태도, 재정지원이 많으면 대학생의 스키 참가기간은 길어진다. 넷째, 스키사회화 주관자는 스키 참가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즉, 형제자매의 스키 참가정도, 권유 격려, 태도, 재정지원이 많으면 대학생의 스키 참가수준은 높아진다.

상급 스키어의 스포츠 재미가 여가 정체성 및 스키참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vanced Level Skier's Sport Enjoyment on Leisure Identity and Ski Participation)

  • 김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99-40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급 스키어의 스포츠 재미가 여가 정체성 및 스키참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하여 임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으로 256명의 상급 스키어 사례를 표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연구가설의 검증에 활용 되었다. 통계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정체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참가정도에는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여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재미의 일부요인은 스키참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상급 스키어를 이해하고,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양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열정 및 재 참여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 Confidence, Exercise Passion and Re-Participation Intention of Collegi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now Ski-Class)

  • 장익영;안찬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473-483
    • /
    • 2016
  • 이 연구는 교양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스포츠 자신감과 운동열정 및 재 참여의도와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교양스키수업에 수강신청을 한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검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양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스포츠 자신감은 운동열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양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스포츠 자신감은 재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교양스키수업에 참가하는 대학생들의 운동 열정은 재 참여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교양스키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스포츠 자신감, 운동열정 및 재 참여의도 사이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IPA을 이용한 레저스포츠참가 선호도와 참여도 분석 (The Analysis on the Degree of Preference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Sports : Using IPA)

  • 김경식;구경자;진은희;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0-424
    • /
    • 2009
  • 본 연구는 IPA를 이용한 레저스포츠참가 선호도와 참여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2009년 수도권의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으로 250명을 표본추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대응표본t검증, IPA 분석기법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사분면에서는 스킨스쿠버, 수상스키, 윈드서핑, 클레이사격으로 나타났으며 선호도,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2사분면에는 골프, 라켓볼, 스노우 보드, 스키, 낚시, 등산 등이며 선호도, 참여도가 모두 높기 때문에 현재의 수준과 같은 지속적 관심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셋째, 3사분면에 워터슬래드, 카트, 열기구, 스카이다이빙, 오리엔테어링, 행글라이딩, 모형비행기, 서바이벌게임 등이고 선호도, 참여도가 모두 낮으므로 이 종목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현재 수준 이상의 과잉노력을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4사분면에는 트레킹, 산악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래프팅, 사이클링 등이다. 선호도는 낮은 반면, 참여도는 높기 때문에 레저 스포츠참가 정책의 현상유지가 필요하다. 종합해보면, 선호하지만 현재의 레저스포츠참가가 어려운 종목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현재 참가하지 못하고 있는 중점개선부분의 종목들에 대한 사회적 인프라에 우선적으로 투자하고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 PDF

대학 스키 수업 환경의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election Attributes of University Ski Lecture Environment)

  • 김성덕;이용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489-498
    • /
    • 2016
  • 이 연구는 대학 스키수업 수업환경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수업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충청, 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에서 편의표집(convenient sampling)방법에 의해 300명을 조상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회수되지 않은 설문지 및 불성실하게 응답된 자료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21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 검토와 요인분석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747~.891 로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윈도우 SPSS 21.0 버전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대응표본 t검정,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스키수업 참가 학생의 스키수업 환경 선택속성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제I사분면은 식사요인과 정보제공 요인이 포함되었다. 제II사분면은 교 강사요인, 강습프로그램, 정보제공, 숙소요인이 포함되었다. III사분면은 숙소요인, 식사요인, 입지요건이 포함되었다. IV사분면은 정보제공 요인이 해당되었다.

인터스키 부정지 숏턴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n the Mogul Short Turn Motion in Interski)

  • 주현식;박종훈;이계산;김원경;박종철;백진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7-76
    • /
    • 2008
  • 본 연구는 인터스키 부정지 숏턴 동작에서 우수 집단과 비우수 집단 간 운동학적 변인의 차이를 3차원 영상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부정지 숏턴 동작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7년 전국스키기술선수권대회 부정지 숏턴 경기에 참가한 선수 10명을 대상으로 DLT 방법을 이용한 3차원 영상분석을 통해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총 소요시간 및 국면별 소요시간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보다 짧게 나타났다. 신체중심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보다 작은 좌우이동 폭과 큰 상하이동 폭을 나타내며, 직진성을 강화하는 활주를 하였으며, 그로 인하여 좌우속도를 제어하면서 빠른 전후속도를 나타냈다. 상하속도는 드롭 인 구간에서는 느리게 하면서 범프 업 구간에서 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각과 슬관절각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집단보다 전체 이벤트에서 모두 작게 나타났으며, 동체 전경갈 신체 기울기각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보다 모두 크게 나타났다. 하퇴 전경각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보다 모글 중앙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동체 비틀기각은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보다 드롭 인 구간에서 오른쪽 턴 방향으로, 범프 업 구간에서 왼쪽 턴 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