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케일링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Flame Length Scaling in a Non-premixed Turbulent Diluted Hydrogen Jet with Coaxial Air (희석된 동축공기 수소 난류확산화염의 화염 길이 스케일링)

  • Hwang, Jeong-Jae;Oh, Jeong-Seog;Yoon, You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242-245
    • /
    • 2009
  • The effect of fuel composition on flame length was studied in a non-premixed turbulent diluted hydrogen jet with coaxial air. The observed flame length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ratio of coaxial air to fuel jet velocity and compared with a theoretical prediction based on the velocity ratio. Four cases of fuel mixed by volume were determined. In the present study, we derived a scaling correlation for predicting the flame length in a simple jet with coaxial air using the effective jet diameter in the near-field concep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visible flame length had a good relation with the theoretical prediction. The scaling analysis is also valid for diluted hydrogen jet flames with varied fuel composition.

  • PDF

The Study on Channel and Doping influence of MOSFET using TCAD (TCAD를 이용한 채널과 도핑 농도에 따른 MOSFET의 특성 분석)

  • 심성택;장광균;정정수;정학기;이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470-473
    • /
    • 2000
  • The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MOSFET)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 the last decade in response to the constant demand for increased speed, decreased power, and increased patting density. The devices are scaled down day by day.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how MOSFET structures influence on transport properties in according to change of channel length and bias and, observes impact ionization between the drain and the gate. This paper proposes three models, i.e., conventional MOSFET, LDD MOSFET and EPI MOSFET. The gate lengths are 0.3$\mu\textrm{m}$ 0.15$\mu\textrm{m}$, 0.075$\mu\textrm{m}$ and scaling factor is λ = 2. We have presented MOSFET's characteristics such as I-V characteristic, impart ionization, electric field, using the TCAD. We have analyzed the adaptive channel and doping influences

  • PDF

A new Robust Wavelet Shift Keying System Using Scaling and Wavelet Functions (스케일링 함수와 웨이브릿을 이용한 잡음에 강인한 새로운 웨이브릿 편이 변조 시스템)

  • Jeong, Tae-I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9 no.2
    • /
    • pp.98-103
    • /
    • 2008
  • There are the frequency shift keying(FSK), phase shift keying(PSK) and amplitude shift keying(ASK) in the conventional digital communications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robust wavelet shift keying system using scaling and wavelet function in the digital communication. Wavelet Transform consist of a low frequency and high frequency coefficient. When the input signal is one, if it finds the impulse response, the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scaling and wavelet function. The binary data is encoded by modulator which assigned the scaling function to 1(one), and wavelet to zero(0). It was demonstrated by experimen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 robust noise.

  • PDF

Power Management for Software Radio Systems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전력 관리 기법)

  • Gu, Bon-Cheol;Piao, Xuefeng;Heo, Jun-Young;Jeon, Gwang-Il;Cho, Yoo-Ku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11
    • /
    • pp.1051-1055
    • /
    • 2010
  • Software defined radio(SDR) technology imp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s software instead of dedicated hardware. SDR enables re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without expensive hardware modification. However, as the SDR systems are equipped with additional programmable processors, they suffer significant power dissipation. This paper proposes a novel power management technique for SDR systems, called the combined modulation and voltage scaling (CMVS).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MVS. The results show that CMVS minimizes power dissipation while satisfying the given data transfer ra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aling-Invariant Boundary Image Matching System (스케일링-불변 윤곽선 이미지 매칭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Bum-Soo;Kim, Sang-Pil;Moon, Yang-Sae;Choi, M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28-3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매칭 기술을 활용한 스케일링-불변 윤곽선 이미지 매칭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윤곽선 이미지를 시계열로 나타낼 경우, 스케일된 유사 이미지들을 찾는데 거리 계산이 용이해지고, 인덱스 사용이 가능하여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대상의 빠른 검색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GUI 환경의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설계 및 구현한다. 먼저, 클라이언트에서는 사용자의 질의 이미지를 시계열로 변환하여 가로 및 세로의 스케일링 팩터구간과 허용치 ${\varepsilon}$과 함께 서버에 전달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전달한 값들을 이용하여 범위 질의를 구성하여 이미 구축해놓은 이미지 시계열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를 통해 유사 이미지들을 찾은 후 그 결과 이미지들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 구현 결과, 스케일링-불변 윤곽선 이미지 매칭은 직관적이고 정확한 매칭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Improved Bit Transmission Rate Technique in the WSK (웨이브릿 편이변조 시스템에서 비트 전송률 향상 기법)

  • Jeong, Tae-Il;Lee, Tae-Oh;Ryu, Tae-Kyung;Kim, Jong-Nam;M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127-13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통신에서 비트 전송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웨이브릿 편이 변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웨이브릿 편이 변조 시스템에서는 스케일링 함수(scaling function)를 1로, 웨이브릿(wavelet)을 0으로 할당하여 0과 1을 구분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스케일링 함수와 웨이브릿 그리고 이 두 신호를 반전시킨 4개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변조한다. 즉, 웨이브릿은 00, 반전된 웨이브릿은 01, 스케일링 함수를 10, 반전된 스케일링 함수를 11로 할당하여 비트 전송률을 2배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복조시에는 4개의 상관기를 이용하여 원래의 2진 데이터(2비트)를 복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한 방식이 기존의 웨이브릿 편이 변조 시스템에 비해 전송효율이 2배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Short-Duration Rainfall Quantil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 using down-scaling in North Korea (하향 스케일링을 이용한 북한 지역의 단기 IDF곡선 추정)

  • Jung, Younghun;Joo, Kyungwon;Kim, Sungh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9-249
    • /
    • 2020
  •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설계수문량을 추정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도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의 발생으로 1~2시간 동안 강우강도가 큰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도시홍수를 발생시키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은 강우관측소가 존재하지 않은 지역이 많아 수공구조물 설계에 필요한 설계수문량을 추정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향스케일링(down-scaling)을 이용하여 북한 지역의 24시간 이내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계측 유역인 화천댐 상류유역의 지역빈도해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수문학적 동질성을 확보하였고, 한강유역을 4개의 동질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스케일 성질은 동일한 분포형을 가정하므로 수문학적 동질성이 확보된 기준 지속기간의 자료로부터 임의이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북한지역의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 강우량 추정을 위하여 동일한 지역 내의 지역 스케일 지수와 스케일 인자를 이용하여 하향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단기 혹은 장기에 해당하는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다.

  • PDF

Effect of Random Node Distribution on the Throughput in Infrastructure-Supported Erasure Networks (인프라구조 도움을 받는 소거 네트워크에서 용량에 대한 랜덤 노드 분포의 효과)

  • Shin, Won-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5
    • /
    • pp.911-916
    • /
    • 2016
  • The nearest-neighbor multihop routing with/without infrastructure support is known to achieve the optimal capacity scaling in a large packet-erasure network in which multiple wireless nodes and relay stations are regularly placed and packets are erased with a certain probability. In this paper, a throughput scaling law is shown for an infrastructure-supported erasure network where wireless nodes are randomly distributed, which is a more feasible scenario. We use an exponential decay model to suitably model an erasure probability. To achieve high throughput in hybrid random erasure networks, the multihop routing via highway using the percolation theory is proposed and the corresponding throughput scaling is derived. As a main result, the proposed percolation highway based routing scheme achieves the same throughput scaling as the nearest-neighbor multihop case in hybrid regular erasure networks. That is, it is shown that no performance loss occurs even when nodes are randomly distributed.

Performance Enhancement of Scaling Filter and Transcoder using CUDA (CUDA를 활용한 스케일링 필터 및 트랜스코더의 성능향상)

  • Han, Jae-Geun;Ko, Young-Sub;Suh, Sung-Han;Ha, Soon-Hoi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4
    • /
    • pp.507-51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oftware transcoder by using GPGPU for scaling filters. Video transcoding is a technique that translates a video file to another video file that has a different coding algorithm and/or a different frame size. Its demand increases as more multimedia devic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 coexist in our daily life. Since transcoding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a software transcoder that runs on a CPU takes long processing time. In this paper, we achieve significant speed-up by parallelizing the scaling filter using a GPGPU that can provide significantly large computation power.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with various video scripts of different size and with various scaling filter options, it is verified that the enhanced transcoder could achieve 36%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default option, and up to 101% in a certain option.

Comparison of Rainfall Quantile using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Scale Invariance Property (빈도해석과 스케일 성질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비교)

  • Jung, Young-Hun;Kim, Soo-Young;Kim, Tae-So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4-168
    • /
    • 2008
  • 일반적으로 확률강우량은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연최대 강우량자료를 바탕으로 빈도해석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매시각별로 관측된 자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단기간 혹은 장기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시각단위의 지속기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는 스케일 성질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강우자료는 비교적 신뢰성이 높고 자료기간이 긴 기상청 지점 22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03년까지의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지점빈도해석 프로그램인 FARD2006과 비교하여 지점빈도해석의 결과 값을 참값으로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산정한 방법은 기준이 되는 확률강우량을 산정한 후 그보다 긴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상향스케일링 (Up-scaling)과 그 보다 짧은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인 하향스케일링(Down-scaling)의 두 가지 방법으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두 방법 모두 1시간$\sim$24시간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2년$\sim$500년의 재현기간에 대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빈도해석으로 산정한 FARD2006의 결과값과 비교하여 절대상대오차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단위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미만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14개의 재현기간 중에서 8개 이상의 재현기간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기간 1시간 강우자료를 기준 지속기간으로 1시간 미만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한 결과 10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절대상대오차가 10% 내외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케일 성질을 이용하여 미계측 강우지속기간의 확률강우량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