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윙 동작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채널 3.2/6.4 Gbps 이중 전송률 송신기 (4-Channel 3.2/6.4-Gbps Dual-rate Transmitter)

  • 김두호;최우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7호
    • /
    • pp.37-43
    • /
    • 2010
  • 영상데이터의 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시리얼 링크의 전송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 제시되었던 상용화규격도 계속해서 전송속도를 상향시킨 차기 버전을 제안하고 있다. 차기 버전은 기존 버전과 호환성을 갖춰야 하므로 두 가지 이상의 전송속도로 동작할 수 있는 송수신기 회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4개의 채널을 가지며, 3.2 Gb/s 또는 6.4 Gb/s의 전송속도로 동작하는 송신기를 설계하였다. 이 송신기는 1, 1.5, 2, 3배의 pre-emphasis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출력 스윙을 200, 300, 400, 600 mVdiff,p2p로 선택할 수 있다. 설계된 송신기는 $0.13{\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COB 패키징을 이용하여 PCB에 실장되어 검증되었다.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cle, Balance and Walking Training on Gait Kinematic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임비오;김규완;유연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7-115
    • /
    • 2009
  •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을 가진 아동($9{\sim}12$세) 9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 동작 훈련이 보행과 관련된 운동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근력, 평형성, 보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훈련이 시작되어 12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사전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보행의 운동학적 변인을 측정하였다. 보행의 운동학적 특성은 3차원 영상분석법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훈련 후에 골반의 회전이 감소하였으며, 무릎과 엉덩 관절의 굴곡이 증가하였으며, 다리를 스윙할 때 엉덩관절의 외전이 감소하였다. 또한, 분당 보폭 수가 증가하였으며 보폭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다운증후군 아동들은 12주간의 근력, 평형성, 보행훈련 후에 보행의 운동학적 변인이 향상되었다.

LTPS TFT 논리회로 성능향상을 위한 전류모드 논리게이트의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Current Mode Logic Gates for High Performance LTPS TFT Digital Circuits)

  • 이준창;정주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9호
    • /
    • pp.54-58
    • /
    • 2007
  • LTPS TFT의 개발과 성능 향상은 패널에 다양한 디지털 회로를 내장하는 SOP의 비약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낮은 성능의 CMOS 논리게이트를 대체할 수 있는 전류모드 논리(CML) 게이트의 설계 방법을 소개한다. CML 인버터는 낮은 로직스윙, 빠른 응답 특성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높은 소비전력의 단점도 동작 속도가 높아질수록 CMOS의 경우와 근사해졌다. 아울러 전류 구동능력을 키울 필요가 없는 까닭에 많은 수의 소자가 사용되지만 면적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반전 및 반전 출력이 동시에 생성되므로 noise immunity가 우수하다. 다수 입력을 갖는 NAND/AND 및 NOR/OR 게이트는 같은 회로에 입력신호를 바꾸어 구현할 수 있고 MUX와 XNOR/XOR 게이트도 같은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CML 게이트는 다양한 함수를 단순한 몇가지의 회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낮은 소비전력, 적은 면적, 개선된 동작속도 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대안임을 확인하였다.

골프 퍼팅 시 엘리트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비교 분석 (Comparison of Kinematic Variables Between Elite Golfer and Novice During Golf Putting)

  • 박준성;임영태;이재우;권문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89-796
    • /
    • 2019
  • 본 연구는 엘리트 골프 선수와 초보자들의 퍼팅 동작에 따른 운동학적 변인을 비교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대학 엘리트 골프 선수 23명과 초보자 19명이 참여하였으며,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을 수집하기 위해 SAM Putt을 이용하였다. 산출된 자료는 Two-way Mixed ANOVA를 통해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은 stu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퍼터헤드의 회전 각도 결과 follow-through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과 거리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Impact, backswing, 그리고 loft angle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백스윙 리듬 및 임팩트 타이밍 결과,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그룹간의 주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초보자들은 퍼팅 스트로크 시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키고, 퍼팅 스트로크 리듬과 타이밍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퍼팅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더미 비트라인을 이용한 저전력 전하공유 롬 (A Low Power Charge Sharing ROM using Dummy Bit Lines)

  • 양병도;김이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5호
    • /
    • pp.99-105
    • /
    • 2004
  • 더미 비트라인을 이용한 공유 커패시터 전하공유 롬(shared-capacitor charge-sharing ROM SCCS-ROM)이 제안되었다. SCCS-ROM은 기존의 전하공유 롬(charge-sharing ROM, CS-ROM)의 전하공유 기법으로 비트라인의 스윙전압을 줄였다. CS-ROM에서는 출력 비트 마다 3개의 작은 커패시턴스들이 필요하지만, 제안된 SCCS-ROM은 그 커패시터들을 공유함으로써 필요한 커패시터의 수를 단지 3개로 줄였다. 또한, 더미 비트라인들(dummy bit lines)로 커패시터들을 구현함으로써, 잡음내성을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소모전력 또한 줄였다. 8K×15bi1s의 SCCS-ROM이 0.35㎛ CMOS 공정으로 구현되었다. SCCS-ROM은 3.3V의 100㎒ 동작에서 8.63㎽의 전력을 소모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SCCS-ROM은 CS-ROM보다 8.4% 적은 전력을 소모하였다.

소프트 골프 스윙 동작을 위한 인체 시뮬레이션의 운동역학 분석 (Kinetic Analysis of Human Simulation for the Soft Golf Swing)

  • 곽기영;유미;소하주;김성현;김남균;김동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5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lf swing motion for a soft golf clubs and regular golf club. Soft golf is a newly developed recreational sports for all ages, including the elderly and the beginners of golf. To quantify the effect of using soft golf club, which much lighter club than regular clubs, a mot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using a 3D optoelectric motion tracking system that utilizes active infrared LEDs and near-infrared sensors. The subject performed swing motion using a regular golf club and a soft golf club in turn. The obtained motion capture data was used to build a 3D computer simulation model to obtain left wrist, elbow shoulder and lumbar joint force and torque using inverse and forward dynamics calculations. The joint force and torque during soft golf swing were lower than regular golf swing. The analysis g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oft golf club.

골프스윙, 드롭랜딩, 컷팅 동작 시 슬관절 모멘트 분석 (Knee Joint Moment during Golf Swing, Drop-landing, and Cutting Maneuver)

  • 김기현;임영태;박준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96-30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nee joint loading in the target knee during a golf swing compared to loading rates of high impact activities such as cutting and drop landings. Nine healthy competitive golfers completed golf swings with the target foot both straight and externally rotated 30 degrees, as well as drop landings and cutting maneuvers. Motion capture data was collected at 240 Hz and ground reaction force data was collected at 2400 Hz. The frontal and transverse knee moments were examin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through SPSS. The abduction moments were higher in golf swings as compared to the other high impact activities (p=.010), while the external rotation moments were lower (p=.00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ternally rotated and neutral golf swings. These results suggest moments applied to the knee during a golf swing are similar to those applied during a high impact activity.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기초 알고리즘 개발 (The Development of A Basic Golf Swing Analysis Algorithm using a Motion Analysis System)

  • 서재문;이해동;이성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5-95
    • /
    • 2011
  • Three-dimensional(3D) motion analysis i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sports performance. During the last few decades, advances in motion analysis equipment have enabled us to perform more and more complicated biomechanical analyse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biomechanical models and the amount of data recorded from the motion analysis system, subsequent processing of these data is required for event-specific motion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asic golf swing analysis algorithm using a state-of-the-art VICON motion analysis system. The algorithm was developed to facilitate golf swing analysis, with special emphasis on 3D motion analysis and high-speed motion capture, which are not easily available from typical video camera systems. Furthermore, the developed algorithm generates golf swing-specific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that can easily be used by golfers and coaches who do not have advanced biomechanical knowledge. We provide a basic algorithm to convert massive and complicated VICON data to common golf swing-related variables. Future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golf swing analysis.

배드민턴 스트로크 이후 대응 동작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movement following a badminton stroke)

  • 송주호;김기현;박종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465-474
    • /
    • 2014
  • 본 연구는 배드민턴 전위와 후위에서 스트로크 이후 제2동작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서 훈련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스매시의 경우 타점을 높일 수 있도록 Impact 타임을 조절해야한다. S1의 스매시는 스텝 스매시로 가장 빠른 라켓헤드의 속도를 보여 임팩트 시 강하고 효율적인 힘의 전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로크 구사 시 Impact 시 라켓속도와 Max속도가 유사해 Impact 타임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step 시 S5를 제외한 모든 선수들 착지 시 전방에 있는 오른발로 1step을 하는 것으로 홉 스텝을 이용한 첫 스텝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로크 시 최적의 스윙을 만들기 위해서는 팔꿈치 관절이나 손목관절의 협응 동작에 필요한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라켓의 회전반경은 크고 셔틀콕의 선속도도 빠르게 해야 한다. 스텝은 양 발의 조직적인 움직임으로 좌우 밸런스가 중요하다. 실제 경기에 있어서 step은 대부분이 2-4보 정도의 스텝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step 구사와 민첩성, 순발력 강화 훈련 프로그램 등이 요구된다.

High-Bandwidth DRAM용 온도 및 전원 전압에 둔감한 1Gb/s CMOS Open-Drain 출력 구동 회로 (A Temperature- and Supply-Insensitive 1Gb/s CMOS Open-Drain Output Driver for High-Bandwidth DRAMs)

  • 김영희;손영수;박홍준;위재경;최진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8권8호
    • /
    • pp.54-61
    • /
    • 2001
  • High-bandwidth DRAM을 위해 1Gb/s의 데이터 전송률까지 동작하고 그 출력 전압 스윙이 온도와 전원 전압(VDD) 변동에 무관한 CMOS open-drain 출력 구조 회로를 설계하였다. 출력 구동 회로는 여섯 개의 binary-weighted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데, 이 여섯 개 중에서 ON시킬 current control register의 내용은 추가 호로 없이 DRAM 칩에 존재하는 auto refresh 신호를 이용하여 새롭게 수정하였다. Auto refresh 시간 구간동안 current control register를 수정하는데, 이 시간 구간동안 부궤환 (negative feedback) 동작에 의해 low level 출력 전압($V_OL$)이 저전압 밴드갭 기준전압 발생기(band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에 의해서 만들어진 기준전압($V_{OL.ref}$)과도 같도록 유지된다. 테스트 칩은 1Gb/s의 데이터 전송률까지 성공적으로 동작하였다. 온도 $20^{\circ}C$~$90^{\circ}C$, 전원 전압 2.25V~2.75V영역에서 최악의 경우 제안된 출력 구동 회로의 $V_{OL.ref}$$V_OL$의 변동은 각각 2.5%와 725%로 측정된 반면, 기존의 출력 구동 회로의 $V_OL$의 변동은 같은 온도의 전원 접압의 영역에 대해 24%로 측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