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 디바이스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34초

황금비율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용 컨텐츠 레이어 포맷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Content Layers Format Development for Smart Device using Golden Ratio)

  • 강준상;이재우;차재상;이선희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8
    • /
    • 2014
  • 최근 스마트 디바이스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사용이 가능하고 무선 데이터 통신과 개인 서비스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우리나라 교육 시설에서는 이미 많은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 디스플레이는 학습자의 강의 시청에 불편함이 발생하여 학습능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저하를 극복하려면 작은 디스플레이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컨텐츠 레이어 포맷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황금비율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용 컨텐츠 레이어 포맷을 벡터방식인 일러스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제안한다.

모바일 플랫폼에서 MTM을 이용한 안전한 사용자 인증 방법 (Secure Use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MTM on Mobile Platform Environment)

  • 이선호;이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06-1208
    • /
    • 2010
  • 이동통신은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 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통신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로 이동이 자유롭지 못한 유선통신과 달리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단순 음성통화 서비스만 가능한 1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1984년에 시작되었으며 2세대, 3세대를 거쳐 현재 데이터 통신 기능이 강화된 3.5세대 통신이 사용되고 있다. 통신의 발달과 함께 모바일 디바이스 역시 점차 발전되어 스마트폰이 등장하게 되었다.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장점으로 인해서 스마트폰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폰은 일반 모바일 디바이스와 다르게 개인 정보 및 주요 정보가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분실할 경우 심각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확대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서 안전성 제공 방안의 하나로 신뢰 컴퓨팅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신뢰 컴퓨팅 기술을 제공하는 MTM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주요 정보 노출을 방지하며, 비밀번호 손상 시 가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 기술을 제안한다.

코틀린을 사용한 척추 질환 예방을 위한 Application 설계 및 구현 (Appl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pinal Disorder Prevention using Kotlin)

  • 민경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71-77
    • /
    • 2024
  • 대한민국에서 스마트디바이스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척추 질환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디바이스 사용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인 척추 질환 환자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운동 유도 기능을 통해 척추 질환 예방을 목표로 하며,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성 향상과 안드로이드의 오버레이 기술을 활용하여 운동을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현재 대한민국의 총 인구를 고려하면, 스마트디바이스 사용으로 인한 척추 질환 환자 수가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바른 자세 유지와 꾸준한 운동 습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디바이스 사용으로 인한 척추 질환 예방을 위해 보다 나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MQTT 기반의 스마트홈 서비스 서버 설계 (Design of MQTT-based Smart Home Service Server)

  • 권동현;임지용;허성욱;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0-741
    • /
    • 2017
  • 사물인터넷 기술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통해 우리생활 곳곳에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으며, 특히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홈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이다. 여러 글로벌 제조사들은 이러한 흐름에 따라 스마트홈 서비스를 주축으로 소비자 중심의 다양한 스마트홈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스마트홈은 제조사마다 독립적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에 연동되는 특정 디바이스 및 서비스만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폐쇄적인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순히 스마트홈 디바이스의 제어뿐만 아니라 IFTTT 플랫폼과 연동하여 자동화 서비스를 지원하고, DIY 제품을 등록하여 사용자 환경에 따라 커스텀 디자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홈서비스 서버를 설계하였다.

  • PDF

IoT 환경에서의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데이터 분류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 Classification for Digital Forensic in IoT)

  • 류호석;곽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05-707
    • /
    • 2015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무선 네트워크 기능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삽입됨에 따라 IoT 서비스는 다양해지고 있다. IoT 환경에서의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ID와 계정을 통해 동기화하기 때문에 연동된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연동된 디바이스에는 개인 정보, 위치 정보 등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연동 디바이스를 통해 데이터의 변경, 수정, 삭제가 가능해졌다. 따라서 용의자가 동기화된 데이터를 변경, 수정, 삭제 한다면 법적 증거 효력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IoT 환경에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류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렌식을 위한 IoT 환경에서의 데이터 분류 방법을 제안 한다.

스마트폰의 BLE 광고 기능을 이용한 전자출결 시스템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ing BLE Advertising Function of Smartphone)

  • 이준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7-1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BLE 광고 기술을 이용하여 별도의 BLE 디바이스 및 인프라 구축이 필요 없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출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BLE를 이용한 전자출결시스템은 서비스를 위해서는 BEL 디바이스를 각 강의실마다 부착해야 하며 강의실에 부착된 디바이스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술이 필요하였다. 또한 항시 동작하기 때문에 서로의 간섭으로 인하여 전자출결이 간혹 오류가 생기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자출결시스템은 기존의 블루투스 비콘 방식의 전자출결시스템의 단점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이동식 전자출결로서 활용이 가능하여 시간과 장소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별도의 BLE 디바이스 없이 본인이 사용 중인 스마트폰의 BLE(Bluetooth Low Energy) 광고 기능을 이용하여 전자출결을 위한 인프라 구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컨텍스트 기반 1인가구-스마트 디바이스의 인터랙션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Smart Device Based on the Context)

  • 장미;나건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28
    • /
    • 2018
  • 1인가구의 급증과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의 증가로 1인가구 중심의 컨텍스트 분석과 1인가구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향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들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구분없이 스마트 디바이스의 전반적인 컨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가족 구성원수와 연령 분포, 주거 공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에 대한 차별화된 행태를 분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1인가구의 스마트 디바이스 사용 환경을 조사 범위로 한정 짓고, 기존의 포괄적인 컨텍스트의 정의를 사용자의 상황을 중심으로 한정지어 정리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 결과를 위해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나온 Contextual Task를 통하여 Consolidated Flow Model을 구축하였다. 이는 1인가구의 물리적 공간 보장, 효율성, 라이프스타일 반영, 안전성 보장 등의 인터랙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