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도어락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lopment of Unmanned Rental Service supporting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방역을 지원하는 무인렌탈 서비스 개발)

  • Choi, Hyo Hyun;Baek, Jae-Won;Lim, Jin-Su;Yang, D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09-210
    • /
    • 2021
  • 현재 코로나 시대에 살아가면서 실습이 필요한 대학수업은 제대로 진행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렌탈 서비스를 통해 쉽게 물품을 빌리고, 관리하기 쉬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직접 수령할 때에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열화상카메라로 온도 체크를 하고 특정 온도가 넘었을 시 LED 전등이 빨간색으로 깜빡거리게 되며 대여신청하면 정보가 담긴 대여 번호가 생성 되고 스마트박스에 대여 번호 확인 후 도어락이 풀리게 되는 무인 렌탈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 PDF

바이오인식 국제표준화 동향

  • Kim, Jason
    • Review of KIISC
    • /
    • v.29 no.4
    • /
    • pp.29-34
    • /
    • 2019
  • 바이오인식기술은 사람의 지문 얼굴 홍채 정맥 등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음성 서명 자판 걸음걸이 등 행동적 특징(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자동화된 IT 기술로 추출 저장하여 다양한 IT 기기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기술이다.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 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 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인증, PC 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 깊숙이 자리잡게 되었다. 2001년 미국의 911 테러사건으로 인하여 전 세계 국제공항 항만 국경에서 지문 얼굴 홍채 등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출입국심사가 보편화됨과 동시에 ISO/IEC JTC1 SC37(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모바일기기에 지문 얼굴 등 바이오정보를 탑재하여 다양한 모바일 응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모바일 바이오인식 응용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개발 보급되고, 삼성전자 페이팔 중심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지급결제솔루션에 대하여 페이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비자카드 마스터카드 등 미국 주도의 사실표준화협의체인 FIDO1), ITU-T SG17 Q9(Tele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바이오인식기술은 스마트폰을 통한 비대면 인증기술 수단으로서 핀테크, 원격의료분야에서 중요한 요소기술로 작용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인식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기구를 소개하고, 각 기구별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A Home Automation system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 폰 기반 홈 자동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ng, Yun-Jae;Park, Kyoung-Wook;Lee, Sung-K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6 no.4
    • /
    • pp.589-594
    • /
    • 2011
  • Smart Home or Home Network technology is one that continuously creates added value, making a better life. This paper designed and developed a smart home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This proposed smart home system consists of home server control system, remote smart application system and home node structure. Home node structure, in detail, is composed of intrusion detection, gas leakage or gas valve control, door lock, automatic curtain, ventilation control and On/Off control modules and these modules are controlled at home server. Home server makes it easy to control home automatic control system anytime, anywhere as it provides remote interface that enables control via smartphone and user interface in itself.

A Study on Enhanced 3PAKE Scheme against Password Guessing Attack in Smart Home Environment (스마트홈 환경에서 패스워드 추측 공격에 안전한 개선된 3PAKE 기법에 대한 연구)

  • Lee, Dae-Hwi;Lee, Im-Y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6 no.6
    • /
    • pp.1471-1481
    • /
    • 2016
  • As concern about IoT is increasing recently, various IoT services are being launched. Smart home is closely related to our daily life by combining IoT with user's residential space. Therefore, if an unauthorized user accesses a device inside a Smart home, it can cause more serious damage to user as it is related with daily lives. For instance executing the command allowing unauthenticated access for the internal locking device can be a real harm to user's property like a home invasion. To prevent this problem, this paper introduces 3PAKE Techniques, which provides authenticated Key exchange through Home gateway using Password-based Authenticated Key Exchange(PAKE).

Smart Outlet System for Single-person Household based on IoT (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기반의 1인 가구를 위한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 Kim, Hye-Suk;Park, Byeong-Ju;Cho, Young-Ju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5
    • /
    • pp.895-904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oT based smart outlet system for one-person household with electric safety, electric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and transmission of messages to the reserved contacts by connecting the emergency network. The proposed smart outlet system is implemented by parsing packet data and protocol between server, module, application and WiFi AP receiver. The WiFi AP built for communica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outlet but also for the gas barrier, the door lock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the remote monitoring function by receiving the amount of power of the receptacle received through the AC current sensor (SCT-013) in real time. The smart outlet system is expected to be capable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the power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automatic power use analysis in addition to the standby power cutoff function.

생체신호를 이용한 텔레바이오인식기술 동향 및 전망

  • Kim, Jason;Lee, Saewoom
    • Review of KIISC
    • /
    • v.26 no.4
    • /
    • pp.41-46
    • /
    • 2016
  •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통제 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 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 PC 인터넷 인증),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림1]은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biometrics)과 행동적 특징(Behavioral biometrics)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기술인 바이오인식기술의 유형과 함께 각 기술별 보안취약점(괄호 안 빨강색글자)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들어, 모바일 지급결제서비스 ATM 인출기 인터넷전문은행 등과 같은 핀테크 분야에서 비대면 인증기술로 바이오인식기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한편, 가짜지문 등 기존의 신체적 특징을 이용한 바이오인식기술의 위변조 위협에 대한 우려 존재함에 따라 뇌파 심전도 근전도 맥박 등 살아있는 사람의 행동적(신체의 기능적) 특징을 이용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기술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주요 선진국에서 차세대 바이오인식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1] 또한, 이러한 생체신호는 최근에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에서 스마트워치를 통해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스마트폰을 통하여 모바일 지급결제, 헬스케어 등과 같은 IoT 모바일 융복합 응용서비스에 활용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뇌파 심전도(심박수)와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워치 밴드형 의복형 또는 패치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생체신호센서, 생체신호 인증기술 및 관련표준화 동향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국내외 관련기술과 표준화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지난 2015년 5월29일에 발족한 국내외 전문가그룹인 KISA"모바일 생체신호 인증기술 표준연구회"(이하 KISA 표준연구회)가 구심점이 되어 한국형 생체신호를 이용한 차세대 텔레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국내외 표준화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ZigBee Authentication Protocol with Enhanced User Convenience and Safety (사용자 편의성 및 안전성이 강화된 ZigBee 인증 프로토콜)

  • Ho-jei Yu;Chan-hee Kim;Sung-sik Im;Soo-hyun Oh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2 no.1
    • /
    • pp.81-92
    • /
    • 2022
  • The rapidly growing IoT market is expanding not only in general households but also in smart homes and smart cities. Among the major protocols used in IoT, ZigBee accounts for more than 90% of the smart home's door lock market and is mainly used in miniaturized sensor devices, so the safety of the protocol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device using Zig Bee is not satisfied with the omnidirectional safety because it uses a fixed key during the authentication process that connects to the network, and it has not been resolved in the recently developed ZigBee 3.0.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method that provides omnidirectional safety to the ZigBee authentication protocol and can be quickly applied to existing protocols. The proposed improved ZigBee authentication protocol analyzed and applied the recently developed OWE protocol to apply ECDH, which has low computational volume and provides omnidirectional safety in IoT. Based on this, it provides the safety of the ZigBee authentication protocol,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user convenience as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ertificate or password input.

Development of Smart Helmet based on Realtime Information (착용자의 실시간 정보 전송에 기반한 사고 예방 스마트 안전모 개발)

  • Ahn, Hyeong-Wook;Park, No-Il;Kim, Sunmyeng;Oh, Du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09-1210
    • /
    • 2017
  • 착용자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빠른 대처가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한다. 안전모 내부에는 라즈베리파이와 아두이노, 보조배터리, 각종 센서 모듈들이 내장되어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카메라 모듈과 통신 모듈을 갖고 있다. 아두이노에는 소리센서와 도어락센서, 충격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작업자의 주변 상황에 대해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각 센서들은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자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자 서버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상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위험 상황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수행한다.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해 스마트 안전모는 무선통신 환경에서 상황에 따른 센서들의 동작에 의해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Security System to use Bluetooth Communication for Home Automation (Bluetooth 통신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보안 시스템)

  • Jung, Yun-Hwa;Yoon, Joo-Dae;Ahn, Gwa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889-89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주거생활의 안전을 위해 암호화 코드를 포함한 홈 서버를 설계하고,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암호화 코드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제안한 홈 시큐리티 시스템은 적외선 통신이나 무선랜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종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제안된 보안 시스템은 건물이나 공장, 자동차 등에서도 적용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홈 오토메이션을 위한 DES 암호화 알고리즘 기반의 디지털 도어 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암호화 코드를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을 구성하면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얻을 수 있고, 키의 분배가 용이하다. 제안하는 보안 시스템은 스마트 폰을 키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이성을 증대시켰다.

  • PDF

A Remote Radio Door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무선 출입문 관리 시스템)

  • Jang, Seokhun;Lee, Taewoo;Son, Minhan;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33-35
    • /
    • 2012
  • 최근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홈네트워크, U-City, 홈오토메이션 등의 실생활 적용이 가능해졌다. 이미 삼성, LG 등의 기업에서는 관련 제품을 양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그 기술의 관련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제품 및 시스템들은 가격이 높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AP (Access Point)가 반드시 존재하여야 하며 가정 내의 모든 전자기기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구현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 블루투스의 D2D (Device-to-Device) 기술을 적용하여 AP의 필요성을 없애고 불필요한 연동을 제외하며 간단한 구현을 요구하는 저가의 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실험적인 구현을 위해 모터 및 카메라 제어, 타이머, 통신 등이 가능한 AVR ATmega169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원격 디지털도어락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