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도어락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ystem Design for Access to Subway Vent based Bluetooth Smart Door-Lock (지하철 환기구 출입관리를 위한 블루투스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Kim, Tae-Yong;Lee, Da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63-65
    • /
    • 2016
  • In this paper, smart door-lock system to access public facilities will be proposed. An existed door-lock system using physical door-lock, NFC Tag, and RFID could be replaced by our proposed system. Automatic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with security authentication module enables the worker to access public facilities efficiently.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oor-Lock System using a smart phone on Near Field Communication environments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Dong-Hyun;Ban, Chae-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0 no.11
    • /
    • pp.1217-1224
    • /
    • 2015
  • The doorlock using buttons has been widely used since it does not exploit the physical key and has much functions though it is cheap. However, the doorlock has problems where it is easy to forget the secret number since the user has to remember the number and difficult to keep secure when the one secret number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oorlock system us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proposed system controls the open and close of the doorlock using user data acquired by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The implemented doorlock system has the benefit to control the doorlock without a secret number.

Development of the Smart Doorlock with Triple Security Function (삼중 보안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도어락 개발)

  • Moon, Seo-Young;Min, Kyeong-Won;Seo, Jae-Sub;Lee, Seon-Woo;Ko, Yun-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1
    • /
    • pp.115-124
    • /
    • 2020
  • We studied smart door lock of triple security system that strengthened the security capability as it is thought that the criminal case by security vulnerability of door lock is serious in modern society. Remote locking/unlocking function, voice recognition function through mobile phone application built on Eclipse App and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function are implemented in the door lock.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urity of the door lock can be strengthened through evaluation results of the app-based operation test, the voice recognition operation test, and the fingerprint recognition operation test on the experiment-made door lock system.

Smart Door Lock Systems using encryption technology (암호화 기법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 Lee, Sung-Won;Park, Seung-Min;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7 no.1
    • /
    • pp.65-71
    • /
    • 2017
  • Since existing Internet of Things(IoT) is vulnerable, it may cause property damage due to the information leakage. Especially, the smart door lock system built on the IoT can cause more damage.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classify the data generated by the sensor according to the condition and send an alarm message to the user's smartphone through Google Cloud Message (GCM). We made it possible to check the images in real time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and control the door lock using the TCP / IP protocol. Also, we applied OTP-Based Matrix SEED algorithm to door lock system to improve security.

Design of Context-awareness Smart Digital DoorLock based on Open Source Hardware (오픈 소스 하드웨어 기반의 상황인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설계)

  • Lee, Se-Hoon;Lee, Byeong-Gi;Lee, Soon-Chan;Lee, D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상황인식 스마트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상황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시스템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인식하고,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가 문을 열려고 하는 행동 인식한다. 위 두 가지의 요건이 충족된다면, 사용자가 도어락에 별다른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하며, 이러한 인증 절차의 간소화로 인해 편리성은 증대 되고, 보안성도 보다 효과적이다.

  • PDF

Smart door locks with facial recognition (안면 인식이 적용된 스마트 도어락)

  • Da-Young Lee;Jea-Wook Jeon;Yun-Seo Ha;Hyuck-Jun Su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88-789
    • /
    • 2023
  • 기존 도어락의 핀 인증 방식은 사용자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이에 대한 솔루션으로 안면인식 도어락을 제안하며 Jetson nano에 face recognition 딥러닝 모델을 적용한 도어락을 제작한다. 거주자의 이미지를 촬영한 뒤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여 저장한다. 사용자가 도어락의 카메라에 인식되었을 때 저장된 안면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거주자의 특징점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거주자임이 인지되었을 때 도어락은 unlock되어 열리게 된다. 안면 인식 도어락 사용 시 보안상 취약해질 수 있는 기존 도어락의 핀 인증 방식에 대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사진 및 영상을 활용하여 여러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Video Digital Doorlock System for Recognition and Transmission of Accessing Object (접근객체 인식 및 전송을 위한 영상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 Lee, Sang-Rack;Park, Jin-Tae;Woo, Byeong-Hyeon;Choi, Ha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20-23
    • /
    • 2014
  • 기존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두어 보안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카메라와 센서, 통신 모듈이 결합된 디지털 도어락과 중계기, 서버를 시스템화하여 도어락 설치장소 전방에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 및 인식하고 이미지와 문 열림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전송해 주는 영상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실험 결과 대상거리 내에서 96~98%의 접근자 인식률과 사용 통신망에 따라 평균 약 17.1~23.9초의 전송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도어락 시스템 전방의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 보안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Smart Door Lock using Internet of Things (IoT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연구)

  • Kim, Jang-Won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3 no.6
    • /
    • pp.539-544
    • /
    • 2020
  • The research is on progressing to operate digital door lock with the method to guarantee the security and safety in the meantime to use digital door lock conveniently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standardizing various service providing technology using IoT in home network currently. In this study, compose home network interconnecting Raspberry-PI and web server reflection this trend and composed the system to control the door lock after connect Arduino substituting converter function. Making Raspberry-PI using dynamic IP address using existing open source easily maintain DNS information and possible to connect internet network in home network ethernet and finally, making the smartphone can control door lock remotely entering designated address after connect the internet. The connection between home network and Arduino is executed by Raspberry-PI and bluetooth pairing as 1:1 and make random user's access to be impossible. Especially, to make open/close the door lock with smartphone not by using password on the keypad or using RFID card is judged as the method increasing the security make random user's access to be impossible and also increased the usefulness making remote control to be possibl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Door Lock System using Beacon and QR Code (비콘과 QR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i, Jinu;Kim, Beomseok;Jeon, Jiye;Shin, Dongho;Kim, Jinok;Park, Jongho;Lee, Sukhoon;Jeong, D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11-1314
    • /
    • 2017
  • 이 논문은 비콘과 QR코드를 이용해 방문자 식별 및 원격제어를 구현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1인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도어락에 원격제어와 보안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기존 논문에서는 동영상 전송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등 다양한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한 도어락 시스템을 제안한다. 하지만 동영상 전송방식은 센서가 방문자를 오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IoT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을 이용한 도어락은 해제 후에 사용자가 집의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비콘과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방문자 식별 및 원격제어를 구현한다. 또한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보인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OpenCV-based Digital Doorlock (OpenCV기반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Sang-Young;Kang, Hwa-Young;Lee, Ka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321-324
    • /
    • 2019
  • 최근 국내에는 실업률 상승, 혼인률 하락 등 청년층 생애주기 변화, 단독거주, 고령층의 증가에 따라 1인 가구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어 1인 가구를 겨냥한 맞춤형 보안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 인터넷 기술을 적극적으로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디지털 도어락의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5G 시대의 도래에 따라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반 기술로 주요 IT 기업들이 상용화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디지털 도어락은 열쇠가 필요하지 않으며 위급상황이나 안전상황에 클릭 한번으로 출동 요원의 출동을 곧바로 요청할 수 있어 고객에게 편의성과 보안성을 제공한다. 하지만 비밀번호 방식의 디지털 도어락은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교체해주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같은 자리의 버튼만을 누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해당 위치에 지문이 남아서 비밀번호가 노출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사물 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을 사용하게 된다면 안전한 도어락 사용으로 주거 보안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1인 가구를 노리는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의 UART 통신, 머신러닝 CV를 이용하여 얼굴 인식으로 동일인임을 판단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구현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