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 도시

Search Result 54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 Lee, Yoo Kyung;Lee, Seu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Smart City-based Metaverse a Study on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Kwon, Changhee
    • Journal of Integrative Natural Science
    • /
    • v.14 no.1
    • /
    • pp.21-26
    • /
    • 2021
  • 이 논문은 기존의 도시가 부동산 중심의 경제 원리로 형성됐다면 스마트시티는 거주자 생활을 중심으로 한 도시계획 서비스라고 말한다. 이런 스마트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철도와 도로 등 도시 인프라를 비롯해 유통, 의료, 교육의 혁신도 필요하다.하지만 스마트시티가 도시운영체제를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끝나는 건 아니다. 스마트시티기반에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당면한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을 위한 선행연구를 다뤄보기로 하였다. 도시운영체제를 입히는 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 해당 도시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의 스마트시티는 과연 어떠한 도시일까? 이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하여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을 모색하였다.

A Study on Smart Farm System based on Smart Greenhouse Standard (스마트온실 표준 기반의 도시형 스마트팜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Dong-Min;Lim, Ji-yong;Oh, Am-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6-417
    • /
    • 2019
  • 최근 도시농업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책적 육성과 지원에 힘입어 다양한 형태의 도시농업 조성이 확대되고 있다. 현대 농업은 스마트팜 보급이 일반화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도시농업은 전통적인 작물재배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농업의 다양한 유형을 고려한 도시형 스마트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도시형 스마트팜 시스템은 스마트팜 통합 컨트롤러와 스마트팜 서비스 플랫폼 서버로 구성되며, 스마트온실 표준 인터페이스 기반의 센서 및 구동기 연동과 IoT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도시농업의 유형에 따라 유동적으로 시스템을 구성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Planning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Smart City Services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도시종합계획과 스마트도시계획간 연결성 연구 - 광명시와 춘천시의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중심으로)

  • Kim, Hong Gwang;Yi, Mi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601-609
    • /
    • 2018
  • The Smart City Plan specifies that it should reflect the content of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which is the upper plan while presenting the basic direction, promotion strategy, servic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plans of a smart city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ies on whether pla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according to smart city planning hierarchy. In this study, we are to us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o find out the local government's smart city plan is actually highly connected to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 master plan at national level. To this end, we conducted a social network analysis on Gwangmyeong and Chuncheon, which were recently approved for smart city planning. First, 108 keywords were derived from the 2nd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se keywords and Smart City Planning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total connections of Smart City Planning in Gwangmyeong was 371, which was higher than 307 in Chuncheon, and the average degree of connection per keyword and network density were also higher in the Gwangmyeong Smart City Planning than the Chuncheon Smart City Plan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mart City Planning actually had a high connectivity with the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the keywords with high connection centrality were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lans.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Yu, Seung-Cheol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4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Analysis of Smart City's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스마트시티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분석)

  • Hwang, Eu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87-188
    • /
    • 2022
  •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유비쿼터스 도시(Ubiquitous City: U-City)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현재 스마트시티 정책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건설, 스마트 챌린지, 스마트도시형 도시재생사업 등 다양하게 추진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화 시대를 맞이하여 해외의 스마트정책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국내 도시문제 해결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시티를 구축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예정이다.

  • PDF

Implement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Smart City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

  • Ban, Yong Un;Kim, Yu Mi;Hong, Na Eun;Han, Kyung Min;Baek, Jong I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45-57
    • /
    • 2017
  • This study has intended to propose implementation measures to promote a smart city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U-City, which is the forerunner of a smart city in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planning elemen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smart city and sustainable smart city. The study defined the definition of the sustainable smart city and identified it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each sector of sustainable smart city.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integrate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a sustainable smart city to pursue. The implementation measures included three strategies and 17 major technologies based on the vision of 'transition to a sustainable smart city in respon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strategies were (1) establishing a sustainable smart city; (2) building and maintaining smart infrastructures; and (3) smart urban regeneration.

Value Creation and Competitiveness Achievement Strategies of Smart Cities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와 경쟁력 확보방안)

  • Lee, Young-Sung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59-68
    • /
    • 2017
  • Recently smart City has become a world-widely hot issue. Many cities have been trying to be smarter in solving urban problems. Different Countries and cities have adopted their own approaches. Accordingly,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defined in diverse ways. This research emphasizes value creation of smart cities. For that purpose, thoughtful sensitivity, accuracy, and speed are critical components in planning smart cities. Among these, thoughtful sensitivity is the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components, policy should be conceived to develop road maps to replicate successful cases to other cities and regions for long-term innovation of regions. Such experiences will be a firm basis for competitiveness and prosperity of our cities.

Developing and Applying Smart Tourism Cities Competitiveness Index (스마트관광도시 경쟁력 지표 개발과 적용)

  • Lee, Hyun-Ae;Koo, Chul-Mo;Chung, Hee-Chung;Chung, Nam-Ho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4
    • /
    • pp.91-108
    • /
    • 2022
  • Keen attention has been directed at "smart tourism cities" due to its role of solving urban problems arising from modern tourism development.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huge investments in developing uniform tourism apps without specific directions or guidelines for the transformation of smart tourism cit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tandardized and objective smart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 and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rankings of various cities around the world. The index comprises the five subindices of attractiveness, accessibility, digitalization readiness, sustainability, and co-partnership. The analysis results have shown that Singapore is the most competitive smart tourism city, followed by Amsterdam, New York City, Seoul and Barcelona, with Ho Chi Minh and Bangkok being relegated to the bottom of competitiveness rankings. We expect that this index can be employed as a global standard for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monitoring smart tourism city-related projec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