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횡단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Development of Smart Curb Technology Supporting for the Crosswalk Safety Service (횡단보도 안전보행 서비스 지원을 위한 스마트 연석 기술 개발)

  • Kang, Wang-Kyu;Han, Jin-Woo;Park, Jung-Kwon;Woo, Byong-S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7-10
    • /
    • 2009
  •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퀴터스 정보 처리를 도시공간에 융합해서 도시민에게 편리하고, 건강하며, 안전하고, 쾌적한 생활을 누리도록 하는 목표로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신개념의 도시이다. 도시기반시설인 도로는 이러한 u-City를 구축하는데 있어 핵심 구성요소 이지만, 도로 공간에서 발생하는 인명사고는 u-City의 목표인 안전한 도시를 구축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도시 구축을 위하여 USN 기술을 활용하여 횡단보도 주변에서 보행자의 안전을 지원하는 시마트 연석에 대한 개념과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한다. 스마트 연석은 도로 연석과 동일한 크기로 설치되어 지상에 돌출되지 않으므로 주위 환경과 잘어울리며, 상부 모서리에 경광등이 점멸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 지역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 측면에서 바닥비춤조명을 비춤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PDF

A Study on Estimating the Crossing Speed of Mobility Handicapped for the Activation of the Smart Crossing System (스마트횡단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교통약자의 횡단속도 추정)

  • Hyung Kyu Kim;Sang Cheal Byun;Yeo Hwan Yoon;Jae Seok K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1 no.6
    • /
    • pp.87-96
    • /
    • 2022
  • The traffic vulnerable, including elderly pedestrians, have a relatively low walking speed and slow cognitive response time due to reduced physical ability. Although a smart cross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operated to improve problem, it is difficult to operate a signal that reflects the appropriate walking speed for each pedestrian. In this study, a neural network model and a multiple regression model-based traversing speed estimation model were developed using image information collected in an area with a high percentage of traffic vulnerability. to support the provision of optimal walking signals according to real-time traffic weakness. actual traffic data collected from the urban traffic network of Paju-si, Gyeonggi-do were use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evaluated through seven selected indicators, includ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ean absolute error.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ha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52 and 0.182; the neural network model ha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23 and 0.105. The neural network model showed higher predictive power.

Traffic Signal Automatic Control System (교통 신호등 자동 제어시스템)

  • Choi, Duk-Kyu;Yoon, Seung-Mok;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63-164
    • /
    • 2020
  • 교통 신호등 자동 제어시스템 기술은 교통 체증 현상을 방지하고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들의 안전을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1가구당 2차량에 가까운 보급률을 보이고 있는 현대 사회에 불가피하게 생기는 문제인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로 인한 교통 신호등 자동 제어시스템 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사거리에서 운전을 하다 보면 차량이 많이 지나가는 차선이 있는 반면 비교적 차량이 많이 지나가지 않는 차선들을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차량이 많은 차선은 신호시간 내 차량이 모두 지나가지 못해서 교통체증이 발생하게 된다. 교통 체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이 많이 정체 되고 있는 차선에 신호의 시간을 증가시켜주고 차량이 많이 없는 차선은 기본 신호의 시간을 주어 차량이 많이 있는 차선의 차들의 교통 체증을 해소시켜 준다. 그리고 차량이 많이 지고 스마트폰의 보급이 많아지다 보니 횡단 보도에서 스마트폰을 보고있다 횡단 보도에서 사고를 당하는 경우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보행자들을 위해 횡단 보도의 신호가 초록불이 되었을 때 간단한 음악이 나오고 발 밑에 횡단 보도 신호등과 같은 색깔이 나오게 하는 LED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초록불이 들어왔다는 것을 보행자들에 인식시켜 보행자들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Crosswalk Situation Recognition Device (횡단보도 상황 인식 디바이스 개발)

  • Yun, Tae-Jin;No, Mu-Ho;Yeo, Jeong-Hun;Kim, Jae-Yun;Lee, Yeong-Hoon;Hwang, Seung-Hyeok;Kim, Hyeon-Su;Kim, Hyeong-Jun;Park, Seung-Ryeol;Bae, Ch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143-144
    • /
    • 2020
  • 4차 산업 시대가 도래하여 빅데이터와 딥러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아주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현재 세계 여러 분야에서 이 기술들을 이용하여 일상, 산업 분야에 적용을 시키고자 한다. 국내에서는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시티와 같은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티에 적용할 수 있는 횡단보도 상황을 인지하여 교통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생산하거나 효율적인 교통제어에 활용할 수 있도록 Nvidia Jetson TX2와 실시간 객체 감지 기술인 YOLO v3를 이용하여 횡단보도용 상황 인식을 위한 영상인식 장치를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기술들을 이용하여 스마트시티 구축에 활용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추가적으로 필요한 객체를 감지하여 확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구현에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에지 컴퓨팅, 스페이스 디텍션과 같은 기술들을 활용하였다.

  • PDF

Smart Crosswalk System using IoT (IoT를 사용한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

  • An, KwangEun;Jeong, Young Ju;Park, Jae Sung;Jeong, Se Yeon;Choi, Hong Jun;Lee, Jong Sup;Seo, Dongm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931-93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횡단보도의 보행자와 차량 간에 효율적인 도로 사용을 유지하면서 횡단보도 사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야간 횡단보도 보행자 사고를 센서, 카메라, 투광기 및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전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이를 적극적으로 추적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진입하였을 때 보행자에게 조명을 비추어 보다 먼 거리에서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을 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 내 사고 발생 시 관제 센터에서 현장 정보를 수신 받아 상황에 맞춰 대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Smart traffic signal solu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smart traffic light and receiver) (시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교통신호 솔루션(스마트 신호등과 수신기))

  • Hong, Inhee;Lee, Sumin;Jang, Soonho;Yoon,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302-1304
    • /
    • 2021
  • 본 프로젝트는 시각장애인의 도심이동 지원 및 횡단보도에서의 안전한 보행을 위해 고안되었다. 시각장애인용 글래스를 제작하여 Custom train 한 YOLOv5 와 Lidar 센서를 통해 횡단보도 내에 객체를 감지하면 위험 음성을 송출하고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도록 청각적으로 지도하였다. 또한 보호자용 앱을 구현하여 보호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정감을 주고자 하였다.

Bidirectional BLE enabled Audible Pedestrian Signal for Visual Impaired Pedestrian (양방향 통신 지원 시각장애인용 BLE 기반 음향신호기)

  • Kim, Ju-Wan;Kim, Jungsook;Na, Dong-Gil;Kim, H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
    • /
    • pp.99-106
    • /
    • 2017
  • Audible Pedestrian Signal(APS) is an additional equipment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pedestrian signals in non-visual formats such as audible tones and verbal messages. It can provide information to pedestrians about the location and directions of a crosswalk, and the traffic signal status. In general, a pedestrian who is visually impaired uses a 358.5MHz wireless remote controller to activate the APS and crosses at the crosswalk with the help of the APS. The existing APS can only receive an activation message from the remote controller. Therefore, the APS has an issue, especially at intersections, that all APSs with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remote controller are activated simultaneously. It makes to confuse the visual impaired pedestria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BLE-enabled APS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via Bluetooth with a smartphone. The proposed system solves the problem and provides them with additional information, so that visually impaired pedestrians can cross at the crosswalk more conveniently.

Development of ICT-based road safety integrated facilities for pedestrian crossing (ICT기반 횡단보도용 교통안전 통합시설물 개발)

  • Cho, Choong-Yuen;Yim, Hong-Kyu;Lee, Min-J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93-99
    • /
    • 2017
  •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that occurred in Korea last year is 10 out of every 100,000 people, ranking it 6th among the 35 OECD member countries. The accident rat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ople is also hi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affic safety facilit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the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in non-urban areas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lated literature, the accident factors using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data and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Traffic safety integrated facilities for ICT-based pedestrian crossings are subject to cross-sectional coverage of child protection zones. The smart safety fence prevents vehicles from parking illegally and informs pedestrians that there is an access vehicle on the pedestrian crossing. The smart bump is designed to warn drivers who are not aware of the pedestrians. In order to standardize the appropriate form and size of the traffic safety facilities for pedestrian crossings, we constructed a standard model for each type, considering the road function, press classification, power, lane number, geometric form, etc. As a result, the rate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vulnerable people was reduced. In addi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maintenance costs will be reduced by the use of a solar power supply and their compatibility with the existing installed safety fence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Crosswalk System based on Vehicle Detection and Speed Estimation using Deep Learning on Edge Devices (엣지 디바이스에서의 딥러닝 기반 차량 인식 및 속도 추정을 통한 스마트 횡단보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ang, Sun-Hye;Cho, Hee-Eun;Jeong, Jin-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4
    • /
    • pp.467-473
    • /
    • 2020
  • Recently,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has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penetration rate of cars in Korea. In particular, not only inter-vehicle accidents but also human accidents near crosswalks are increasing, so that more attention to traffic safety around crosswalks are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for predicting the safety level around the crosswalk by recognizing an approaching vehicle and estimating the speed of the vehicle using NVIDIA Jetson Nano-class edge devices. To this end, various machine learning models are trained with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deep learning-based vehicle detection to predict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speed of an approaching vehicle. Finally, based on experiments using actual driving images and web simulation, the performance and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are validated.

Machine Learning based Optimal Location Modeling for Children's Smart Pedestrian Crosswalk: A Case Study of Changwon-si (머신러닝을 활용한 어린이 스마트 횡단보도 최적입지 선정 - 창원시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Suhyeon;Suh, Youngwon;Kim, Sein;Lee, Jaekyung;Yun, Wonjoo
    • Journal of KIBIM
    • /
    • v.12 no.2
    • /
    • pp.1-11
    • /
    • 2022
  • Road traffic accidents (RTAs) are the leading cause of accidental death among children. RTA reduction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social issue among children. Municipalities aim to resolve this issue by introducing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hat help prevent traffic accidents near children's facilities. Nonetheless such facilities tend to be installed in relatively limited number of areas, such as the school zone. In order for budget allocation to be efficient and policy effects maximized, optimal location selec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is needed. In this paper, we employ machine learning models to select the optimal locations for smart pedestrian crosswalks to reduce the RTAs of children.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location index using variable importance measures. By using k-means clustering method, the authors classified the crosswalks into three types after the optimal location selection. This study has broadened the scope of research in relation to smart crosswalks and traffic safety. Also, the study serves as a unique contribution by integrating policy design decisions based on public and open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