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폰 악성코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스마트폰 보안 위협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대응방법 동향

  • Kang, SungBae;Nyang, DaeHun
    • Review of KIISC
    • /
    • v.24 no.3
    • /
    • pp.36-43
    • /
    • 2014
  •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많은 업무가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 가면서 개인신상정보, 금융 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들도 함께 옮겨가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중요한 정보들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폰 보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휴대성 덕분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공격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더욱 접근하기가 쉬워졌으며 스마트폰 사용자는 PC 환경보다 더욱 다양한 취약점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취약점 때문에 스마트폰을 겨냥한 다양한 종류의 공격 방법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으로써 네트워크, 악성코드, 훔쳐보기 공격 등의 위협이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전적 손실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로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해당 위협들에 대해 설명하고, 해당 위협을 완화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인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Malicious Code (악성코드 분석 및 대응 방안)

  • Hong, Sunghuyck
    • Journal of Convergence Society for SMB
    • /
    • v.4 no.2
    • /
    • pp.13-18
    • /
    • 2014
  •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and the Internet,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can access networking in any where and any time. This causes the program to exploit various vulnerabilities and malicious code created to go out information, the disclosure of such crime increasing day by day. The proposed countermeasure model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block all kinds of malicious code activities.

  • PDF

The Detection of Android Malicious Apps Using Categories and Permissions (카테고리와 권한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 Park, Jong-Chan;Baik, Namk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6
    • /
    • pp.907-913
    • /
    • 2022
  • Approximately 70% of smartphone users around the world use Android operating system-based smartphones, and malicious apps targeting these Android platforms are constantly increasing. Google has provided "Google Play Protect" to respond to the increasing number of Android targeted malware, preventing malicious apps from being installed on smartphones, but many malicious apps are still normal. It threatens the smartphones of ordinary users registered in the Google Play store by disguising themselves as apps. However, most people rely on antivirus programs to detect malicious apps because the average user needs a great deal of expertise to check for malicious app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classify unnecessary malicious permissions of apps by using only the categories and permissions that can be easily confirmed by the app, and to easily detect malicious apps through the classified permissions.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and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undiscovered rate and false positives with the "commercial malicious application detection program", and the performance level is presented.

A Study on Feature Extraction of Zombie Smartphone (좀비 스마트폰 특징 추출에 관한 연구)

  • Lee, Da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222-223
    • /
    • 2015
  • Malicious network attacks such as DDoS is no clear preparedness, the damage is also a bar. In particular, when a smartphone is infected to the zombies, the damage such as communication fee billing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numerous network failures are expected. In this study, with reference of the features that appear in a zombie PC we extract the zombie smartphone's phenomena and features that appear while the zombie service is running.

  • PDF

Android Malware Analysis Technology Research Based on Naive Bayes (Naive Bayes 기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분석 기술 연구)

  • Hwang, Jun-ho;Lee, Tae-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7 no.5
    • /
    • pp.1087-1097
    • /
    • 2017
  •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increases, the number of malicious codes targeting smartphones is increasing. I 360 Security 's smartphone malware statistics show that malicious code increased 437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of 2016 compared to the fourth quarter of 2015. In particular, malicious applications, which are the main means of distributing malicious code on smartphones, are aimed at leakage of user information, data destruction, and money withdrawal. Often, it is operated by an API, which is an interface that allows you to control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operating system or programming langu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chanism to detect malicious application based on the similarity of API pattern in normal application and malicious application by learning pattern of API in application derived from static analysis. In addition, we show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detection rate and detection rate for each label derived by using the corresponding mechanism for the sample dat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oposed mechanism, it is possible to detect when the API pattern of the new malicious application is similar to the previously learned patterns at a certain level. Future researches of various features of the application and applying them to this mechanism are expected to be able to detect new malicious applications of anti-malware system.

A Study on Android Double Code-Signing (안드로이드 이중 코드서명 체계 연구)

  • Park, GyeongYong;Wi, SungGeun;Seo, SeungHyun;Cho, Tae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869-872
    • /
    • 2012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악성코드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많은 플랫폼들 중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에는 악성코드 검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악성코드 배포에 용이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발자가 생성한 자가 서명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어렵고,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변조 유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등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취약점들을 고려한 이중 코드서명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 환경을 유지하려는 제약사항 때문에 취약점들을 보완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는 안드로이드가 기반하고 있는 자바 코드서명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기존연구가 해결하지 못한 취약점을 해결하였다.

A Study on Smart Phone Communication Security Using AES256 Encryption (통신 호 네트워크 구간 암호화를 통한 스마트폰 통신 보안 전송 기법)

  • Bae, Ki-Tae;Yun, Hyeok-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15-3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스마트폰의 악성코드 및 해킹 도구에 의해 스마트폰의 음성, 문자, 데이터 도청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 [1]"미국 NSA가 35개국 정상 전화 도청 사건"에 이르기 까지 도청은 국가사회적 문제로 발단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호 사이의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음성, 문자, 데이터를 [2]"AES256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도청을 방지하고 AES256 암복호화를 송수신 스마트폰에서 수행하여 통신 호 사이 네트워크 구간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암복호화에 따른 네트워크 구간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Detecting Repackaged Applications using the Information of App Installation in Android Smartphones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앱 설치 정보를 이용한 리패키징 앱 탐지 기법)

  • Joun, Young Nam;Ahn, Woo Hy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4
    • /
    • pp.9-15
    • /
    • 2012
  • In recently years, repackaged malwares are becoming increased rapidly in Android smartphones. The repackaging is a technique to disassemble an app in a market, modify its source code, and then re-assemble the code, so that it is commonly used to make malwares by inserting malicious code in an app. However, it is impossible to collect all the apps in many android markets including too many apps.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RePAD (RePackaged App Detector) scheme that is composed of a client and a remote server. In the smartphone-side, the client extracts the information of an app with low CPU overhead when a user installs the app. The remote server analyzes the information to decide whether the app is repackaged or not. Thus, the scheme reduces the time and cost to decide whether apps are repackaged. For the experiments, the client and server are implemented as an app on Galaxy TAB and PC respectively. We indicated that seven pairs of apps among ones collected in official and unofficial market are repackaged. Furthermore, RePAD only increases the average of CPU overhead of 1.9% and the maximum memory usage of 3.5 MB in Galaxy TAB.

A Hybrid Vulnerability of NFC Technology in Smart Phone (스마트폰에서 NFC를 이용한 융.복합 하이브리드 취약점)

  • Park, Chang Min;Park, Neo;Park, Won Hyung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2 no.4
    • /
    • pp.3-8
    • /
    • 2012
  • Smartphones have all the recent technology integration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one of them and become an essential these days. Despite using smartphones with NFC technology widely, not many security vulnerabilities have been discovered.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various services in NFC technology, and to present a wide range of security vulnerabilities, prevention, and policies especially in NFC Contactless technology. We describe a security vulnerability and an possible threat based on human vulnerability and traditional malware distribution technic using Peer-to-Peer network on NFC-Enabled smartphones. The vulnerability is as follows: An attacker creates a NFC tag for distributing his or her malicious code to unspecified individuals and apply to hidden spot near by NFC reader in public transport like subway system. The tag will direct smartphone users to a certain website and automatically downloads malicious codes into their smartphones. The infected devices actually help to spread malicious code using P2P mode and finally as traditional DDoS attack, a certain target will be attacked by them at scheduled time.

스마트 사회의 보안위협과 정보보호 정책추진에 관한 제언

  • Lee, Gi-J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
    • /
    • pp.24-32
    • /
    • 2012
  • 우리는 지금 스마트 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기존에 PC에서 하던 작업들을 손쉽게 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이야기를 사이버공간에 게시함으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 정보들이 노출되고, 그러한 정보들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SNS를 이용한 악성코드의 유포 및 빠른 전파 등도 새로운 보안위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한 해킹 및 악성코드 감염 등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사회의 주요 보안위협을 살펴보고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 선진국의 관련 정책 동향과 국내 정책과 실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보호 정책 수립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스마트 사회 위험 요소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위협을 제기하고 최근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빅 데이터 환경의 보안위협을 분석하였다. 스마트 사회의 위협을 대비하고 있는 주요국 정책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유럽의 5개국 EU5(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는 스마트폰 위협을 중심으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일본은 스마트 워크중심의 보안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호주는 스마트 사회 보안위협에 대한 국민의 인식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스마트 사회의 보안위협에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스마트 모바일 시큐리티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추진중에 있다. 하지만 보안 실태를 보면 스마트 사회 보안위협에 대한 이용자들의 우려는 높은 반면 기업의 보안 대책 마련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향후 우리 사회가 디바이스간 융합을 넘어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초(超)연결(Hyper-Connectivity) 시대로 진화되어 가면 편리성이 증대되는 만큼 더 많은 위협에 우리의 일상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안전한 미래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보호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정책수립의 방향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