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 악성코드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초

스마트폰 보안 위협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대응방법 동향

  • 강성배;양대헌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43
    • /
    • 2014
  •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고 많은 업무가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겨 가면서 개인신상정보, 금융 정보와 같은 중요한 정보들도 함께 옮겨가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중요한 정보들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폰 보안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휴대성 덕분에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공격자도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더욱 접근하기가 쉬워졌으며 스마트폰 사용자는 PC 환경보다 더욱 다양한 취약점에 처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취약점 때문에 스마트폰을 겨냥한 다양한 종류의 공격 방법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으로써 네트워크, 악성코드, 훔쳐보기 공격 등의 위협이 개인정보 유출이나 금전적 손실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로 이루어지기 쉬우므로 해당 위협들에 대해 설명하고, 해당 위협을 완화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인 최신 기술 동향을 소개한다.

악성코드 분석 및 대응 방안 (Analysis and Countermeasure of Malicious Code)

  • 홍성혁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18
    • /
    • 2014
  • 본 각종 PC 및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터넷이 발전함으로써 정보시스템과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하여 모든 정보 자산의 네트워킹이 가능해졌다. 이로 인해 각종 취약점과 프로그램을 악용하여 악성코드를 만들어 정보를 빼내가거나, 유출을 시키는 등의 범죄가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른 각 시스템별 보안위협 및 어떤 방법으로, 어떤 경로로 위협을 해오는지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시스템을 비교하여 목적 및 수단을 알아보고 취약점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알아본다.

  • PDF

카테고리와 권한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악성 앱 탐지 (The Detection of Android Malicious Apps Using Categories and Permissions)

  • 박종찬;백남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907-913
    • /
    • 2022
  • 전 세계 스마트폰 이용자 중 약 70%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표적으로 한 악성 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글은 증가하는 안드로이드 대상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해 'Google Play Protect'를 제공하여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악성 앱들이 정상 앱처럼 위장하여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되어 선량한 일반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가 악성 앱을 점검하기에는 상당한 전문성이 필요하기에 대부분 사용자는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에 의존하여 악성 앱을 탐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앱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카테고리와 권한만을 활용하여 앱의 불필요한 악성 권한을 분류하고 분류한 권한을 통해 악성 앱을 쉽게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상용 악성 앱 검출 프로그램'과 미탐율·오탐율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성능 수준을 제시하고 있다.

좀비 스마트폰 특징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 Extraction of Zombie Smartphone)

  • 이대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2-223
    • /
    • 2015
  • DDoS와 같은 악성 네트워크 공격은 뚜렷한 대비책이 없으며, 그 피해 또한 막대하다. 특히, 스마트폰이 감염되어 좀비화 될 경우 통신요금 과금 및 개인정보 유출 등 네트워크 장애와 더불어 다양한 사용자 피해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좀비 PC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이 악성코드에 감염되어 좀비 서비스가 실행되는 동안 나타나는 현상 및 특징들을 추출한다.

  • PDF

Naive Bayes 기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분석 기술 연구 (Android Malware Analysis Technology Research Based on Naive Bayes)

  • 황준호;이태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087-1097
    • /
    • 2017
  • 스마트 폰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 폰을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들이 증가하고 있다. 360 Security의 스마트 폰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2015년 4분기에 비해 2016년 1분기에 악성코드가 437%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 폰 악성코드 유포의 주요 수단인 악성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 정보 유출, 데이터 파괴, 금전 갈취 등을 목적으로 하는데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인 API에 의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 분석으로 도출한 어플리케이션 내 API의 패턴을 지도 학습 기법으로 머신에 학습하여 정상 어플리케이션과 악성 어플리케이션 내의 API 패턴의 유사도에 따라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탐지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샘플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도출한 label 별 탐지율과 탐지율 개선을 위한 기법을 보인다. 특히, 제안된 메커니즘의 경우 신종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API 패턴이 기존에 학습된 패턴과 일정 수준 유사한 경우 탐지가 가능하며 향후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한 feature를 연구하여 본 메커니즘에 적용한다면 anti-malware 체계의 신종 악성 어플리케이션 탐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안드로이드 이중 코드서명 체계 연구 (A Study on Android Double Code-Signing)

  • 박경용;위성근;서승현;조태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9-872
    • /
    • 2012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악성코드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많은 플랫폼들 중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에는 악성코드 검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악성코드 배포에 용이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발자가 생성한 자가 서명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어렵고,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변조 유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등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취약점들을 고려한 이중 코드서명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 환경을 유지하려는 제약사항 때문에 취약점들을 보완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는 안드로이드가 기반하고 있는 자바 코드서명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기존연구가 해결하지 못한 취약점을 해결하였다.

통신 호 네트워크 구간 암호화를 통한 스마트폰 통신 보안 전송 기법 (A Study on Smart Phone Communication Security Using AES256 Encryption)

  • 배기태;정민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315-31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폭발적 증가와 함께 스마트폰의 악성코드 및 해킹 도구에 의해 스마트폰의 음성, 문자, 데이터 도청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 [1]"미국 NSA가 35개국 정상 전화 도청 사건"에 이르기 까지 도청은 국가사회적 문제로 발단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 호 사이의 네트워크에 전송되는 음성, 문자, 데이터를 [2]"AES256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도청을 방지하고 AES256 암복호화를 송수신 스마트폰에서 수행하여 통신 호 사이 네트워크 구간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암복호화에 따른 네트워크 구간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앱 설치 정보를 이용한 리패키징 앱 탐지 기법 (Detecting Repackaged Applications using the Information of App Installation in Android Smartphones)

  • 전영남;안우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9-15
    • /
    • 2012
  • 최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리패키징을 이용한 악성코드가 급증하고 있다. 리패키징은 이미 배포되고 있는 앱의 내부를 수정한 후 다시 패키징하는 기법이지만, 악성코드 제작자가 기존 앱에 악성코드를 삽입하여 배포할 때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앱을 제공하는 안드로이드 마켓이 다양하고, 각 마켓에서 제공하는 앱이 매우 많기 때문에 모든 앱을 수집해서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RePAD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탑재된 클라이언트 앱과 원격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이다. 클라이언트는 적은 부하로 사용자가 설치한 앱의 출처와 정보를 추출하여 원격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앱의 리패키징 여부를 탐지한다. 따라서 리패키징 앱 판별을 위해 앱의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실험을 위해 클라이언트 앱과 원격서버를 갤럭시탭과 윈도우즈 기반의 PC에 각각 구현하였다. 여러 마켓에서 수집된 앱 중 7 쌍의 앱이 리패키징된 것으로 판정하였고, 갤럭시탭에서 평균 1.9%의 CPU 부하와 최대 3.5M의 메모리 사용량을 보였다.

스마트폰에서 NFC를 이용한 융.복합 하이브리드 취약점 (A Hybrid Vulnerability of NFC Technology in Smart Phone)

  • 박창민;;박원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8
    • /
    • 2012
  • 스마트폰의 최근 보급 확대와 함께 비접촉식 초단거리 무선통신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기술이 탑재된 모바일 NFC 단말기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모바일 NFC 단말기의 개방형 특성과 다양한 서비스, 통신 기술과의 접목으로 인한 보안 취약성 발생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해커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URL을 기록한 NFC 태그를 대중 교통 단말기 근처 숨겨진 장소에 부착한다. 이는 온 오프라인이 결합된 융 복합 하이브리드 성격의 공격시도로서 스마트폰은 NFC 운용모드 중 하나인 Reader/Writer 모드를 통해 악의적으로 부착된 NFC 태그를 인식하여 악성코드에 감염이 된다. 다음으로 단말기 사용자는 NFC 운용모드 중 하나인 Peer-to-Peer 모드 이용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무의식적인 악성코드 확산을 돕고, 마침내 지정된 D-day에 모바일 DDoS의 형태로 최종 목표지점을 공격한다는 취약점에 대해서 연구한다.

스마트 사회의 보안위협과 정보보호 정책추진에 관한 제언

  • 이기주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1호
    • /
    • pp.24-32
    • /
    • 2012
  • 우리는 지금 스마트 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기존에 PC에서 하던 작업들을 손쉽게 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이용자 수가 급증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일상적인 이야기를 사이버공간에 게시함으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 정보들이 노출되고, 그러한 정보들이 범죄에 악용되는 사례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SNS를 이용한 악성코드의 유포 및 빠른 전파 등도 새로운 보안위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밖에 스마트 기기를 대상으로 한 해킹 및 악성코드 감염 등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스마트 사회의 주요 보안위협을 살펴보고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 선진국의 관련 정책 동향과 국내 정책과 실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보호 정책 수립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스마트 사회 위험 요소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의 보안위협을 제기하고 최근 글로벌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빅 데이터 환경의 보안위협을 분석하였다. 스마트 사회의 위협을 대비하고 있는 주요국 정책을 살펴보면, 미국의 경우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유럽의 5개국 EU5(영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는 스마트폰 위협을 중심으로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일본은 스마트 워크중심의 보안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며 호주는 스마트 사회 보안위협에 대한 국민의 인식제고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스마트 사회의 보안위협에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스마트 모바일 시큐리티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추진중에 있다. 하지만 보안 실태를 보면 스마트 사회 보안위협에 대한 이용자들의 우려는 높은 반면 기업의 보안 대책 마련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향후 우리 사회가 디바이스간 융합을 넘어 모든 사물이 연결되는 초(超)연결(Hyper-Connectivity) 시대로 진화되어 가면 편리성이 증대되는 만큼 더 많은 위협에 우리의 일상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안전한 미래 사회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보호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정책수립의 방향을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