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 악성코드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7초

스마트폰 악성코드 동향 및 전망 (Trends and Prospects of SmartPhone Malware)

  • 김상수;최연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30
    • /
    • 2013
  • 애플의 아이폰이 출시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이후,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이 출시되었고, 스마트폰의 편리함으로 인해 가입자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하는 악성코드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스마트폰 악성코드는 2011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발견되기 시작해 2012년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악성코드 발생 현황과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악성코드 동향 분석을 통해 악성코드의 향후 전망에 대해 기술한다.

  • PDF

PC를 이용한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 (Response Guide of Smart-Phone Malware Using PC)

  • 윤풍식;한승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35-1841
    • /
    • 2013
  •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악성코드, 좀비 스마트폰등의 스마트폰을 겨냥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은 PC보안 보다 더 취약하며, 스마트폰에 대한 공격은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며 좀비 스마트폰의 경우 좀비 PC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PC에서 DDoS 공격과 스마트폰 DDoS공격 및 악성코드를 비교 분석하고 데이터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의 패킷을 확인하는 방법과 스마트PC폰에 대한 악성코드들을 PC를 이용하여 탐지 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며 스마트폰 DDoS 공격과 악성코드에 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스마트폰의 보안 위협요소 동향 및 향후 대응 전략 (Smartphone Security Threat Trends and Future Strategy)

  • 홍종우;김희성;윤희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10-713
    • /
    • 2011
  • 스마트폰의 이용자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 그에 반응하듯 많은 기업들은 기존의 서비스 외에도 스마트폰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시작하고 있고, 기존의 모바일로 불가능했던 작업들을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케 되었다. 이처럼 스마트폰의 이용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관련 컨텐츠들이 봇물 쏟아지듯 넘쳐나면서 개인정보 유출이나 악성코드로 인한 보안 사고도 급격히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악영향을 미치는 악성코드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악성코드가 쉽게 보안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게 만드는 스마트폰의 보안 위협요소 대하여 알아본다. 또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응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향후에 이러한 악성코드들과 위협요소를 줄이는 방법, 또는 대응 전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폰 보안 사고를 줄이거나 사전에 예방하고, 더 나은 스마트폰 사용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 시스템 (Smart-phone Malicious Code Countermeasure System)

  • 송종근;이훈재;김태용;장원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3-226
    • /
    • 2013
  • 악성코드로 인한 정보보안 침해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정보보안 위협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에서 이루어 지며, 특히 악성코드는 스마트폰의 활성화와 함께 빠르게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과금 부과 등의 피해가 속출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은 다양한 경로로 악성코드를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확산되는 스마트폰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악성코드 분석과 결과를 반영하여 스마트폰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악성코드 탐지 기술 동향 (A Survey of Mobile Malware Detection Techniques)

  • 문화신;정보흥;전용성;김정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3호
    • /
    • pp.39-46
    • /
    • 2013
  •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소형 컴퓨터로 진화함으로써, 해커들의 주요 공격 타깃이 되고 있다. 해커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악성코드를 통해 개인정보를 탈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 소액 결제 및 프리미엄 SMS 서비스를 이용하여 금전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 악성코드에 감염된 스마트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러한 이득과 함께 모바일 악성코드는 그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안드로이드 마켓의 개방성과 안드로이드 단말의 높은 시장 점유율은 악성코드의 유포를 용이하게 하며, 이러한 이유로 모바일 악성코드의 대부분은 안드로이드 단말을 공격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렇게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악성코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을 탐지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보안 기법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을 위한 모바일 보안 진단 시스템 (The Mobile Security Diagnostic System against Smart-phone Threat)

  • 천우봉;이정희;박원형;정태명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37-544
    • /
    • 2012
  • 최근 무선 전산망 인프라를 발판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의 악성코드도 함께 급증하여 개인정보 유출, 과금 부과 등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무선전산망 환경의 보안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WIPS, MDM과 같은 무선 전산망 및 무선 단말 기기를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이 시판되고 있으나 이는 기업이나 대규모 사업자를 위한 솔루션으로 일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제한적이며 다양한 경로로 유포되는 알려지지 않은 악성코드를 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악성코드 유형에 따른 행위 분석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시스템 점검을 수행하여 악성 코드 감염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악성 코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블랙리스트 관리 기능, 악성코드 채증 기능이 포함된 모바일 보안 진단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 방안 (Smart-phone Malicious code Countermeasures)

  • 송종근;이훈재;김태용;장원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95-697
    • /
    • 2013
  • 스마트폰은 급소도록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악성코드로 인한 정보보안 침해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회적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 악성코드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스마트 TV등 다양한 방면으로 무선인터넷 환경, OS 플랫폼의 개방성, 오픈마켓의 위험성, 도난 및 분실로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 과금 부과 등의 피해가 속출 되고 있으며, 악성코드를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확산되는 스마트폰 악성코드 종류와 문제점 현황을 살펴보고 대응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모바일 인터넷 정보보호를 위한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 분석

  • 심재홍;이석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48
    • /
    • 2009
  • 최근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인구의 증가에 따라 스마트폰과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심비안, 윈도우 모바일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600여종의 모바일 악성 코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국내 모바일 악성코드의 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해외 현황 및 주요 침해사고 유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악성코드 분석을 통한 확산 방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tection Model of Propagation through Smartphone Malware Analysis)

  • 임수진;이정현;강형;박원형;국광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8
    • /
    • 2010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터넷 이용인구의 증가에 따라 스마트폰 악성코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해외에서는 심비안, 윈도우 모바일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모바일 악성코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04년 이후 발생한 모바일 악성코드에 대한 현황 및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보안 위협을 설명한다. 또한, 국내 스마트폰 악성코드의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악성코드 확산 방지 시스템에 대한 모델을 제시한다.

2010년 모바일 악성코드 동향 분석 및 전망

  • 서승현;김종명;전길수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8
    • /
    • 2011
  • 국내외 스마트폰 가입자 수의 폭발적인 증가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소설미디어 산업, 생활 밀착형 어플리케이션 개발산업, 모바일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등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이끌고 있으며, 정부 및 민간 기업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오피스 도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손안의 PC'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기존 PC가 가지고 있던 보안 위협 문제들도 내재하고 있으면서 무선인터넷 환경, OS 플랫폼의 개방성, 오픈마켓의 위험성, 도난 및 분실, 위치정보 노출 등의 신규 보안 위협도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취약성들을 활용한 새로운 모바일 악성코드들의 출현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발생한 국내외 모바일 악성코드의 현황을 살펴보고, 2010년에 출현하였던 모바일 악성코드들의 주요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 악성코드들의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