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폰광고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8초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martphone usage motivation on application display advertising attitude and avoidance: Mediating effect of ad intrusion)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59-56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동기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309명이며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공변량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광고침입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는 지각된 광고침입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폰 에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침입성 지각은 광고회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태도와 광고회피 행동간에 인과관계에서 광고침입성 지각은 매개효과를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광고회피 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제안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광고효과 분석 : 광고 사용자와 광고 제공자의 인식차이 비교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Effect in Smart Phone Environment : The Comparison of Users with Providers of Commercial)

  • 하성호;오준석;이봉규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1-239
    • /
    • 2011
  • 스마트폰 시장의 확장과 함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모바일광고의 형태 및 시장 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존의 모바일광고는 문자 기반의 푸쉬형 광고였지만 스마트폰 환경의 모바일광고는 애플리케이션에 덧붙여지는 배너형태 또는 광고 자체를 위하여 개발된 브랜디드앱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모바일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하여 광고업계 종사자들과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비교해 보았다. 분석 결과는 모바일광고 사용자와 광고업계 종사자들 간에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확연히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환경의 광고 제작 시 주로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제시하며 광고업계 종사자들이 광고제작 시 사용자의 입장을 충분하게 고려하여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개인형 모바일 광고 모델 연구 (A Study of a Personalized Mobile Advertising Model with Digital Signages)

  • 송지혜;이미희;진태우;노광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441-4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폰간의 양방향 광고 및 정보 전송이 가능한 차세대 광고 모델을 제안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옥외라는 공간의 특성상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짧은 시간 동안 주목을 유도해 광고를 노출시켜야 하고 설명형 광고 표출이 어려운 공간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스마트폰은 사용자들과 물리적으로나 심리적 거리상으로 가장 밀접한 위치에 있고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어 광고효과가 뛰어난 매체이다. 따라서 디지털 사이지니 앞을 지나가며 관심있는 정보나 광고를 스마트폰으로 전송 받고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스마트폰으로 본다면 디지털 사이지니 광고매체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고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개인형 모바일 광고에 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고, 향후 실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 PDF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의 회피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What are the factors affecting avoidanc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display advertising?)

  • 정진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253-260
    • /
    • 2012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단일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의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7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획득, 오락성, 학습/업무활용, 멀티미디어 활용, 생활편의성, 시간 활용으로 나타났다. 학습/업무활용성 동기와 생활편의성 동기가 높으면 광고회피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광고에 대한 지각된 침입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여 집단이 저관여 집단보다 정보획득, 오락성, 사회적 관계형성, 멀티미디어 활용, 생활편의성, 시간활용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를 제작하는 광고실무자에게 스마트 폰 사용자가 광고회피 행위를 줄일 수 있는 해답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LBS 기반의 스마트폰 광고 경매 시스템 (LBS Based Smartphone Advertising Auction System)

  • 최준수;한광수;박정우;이유준;전민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39-742
    • /
    • 2013
  •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의 스마트폰 광고 경매 시스템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 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대역 지역을 대상으로 광고 위치 혹은 지역을 세분화 하여 나눈 셀 단위의 영역을 경매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광대역 지역을 셀 단위로 구획화하여 관리하는 광고 제공 서버와 광고 위치를 경매하는 웹 서버, 그리고 스마트폰에 광고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과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 매개효과 검증 (Untangling the Way Smartphone-based Multiscreening Influences Attitude toward Mobile Video Advertising)

  • 이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76-185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multiscreening)이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관련 작용기제를 탐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작용기제의 탐색을 위해서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미치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링의 영향력이 소비자의 지각된 광고정보성과 광고침입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n=155) 결과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이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의 관계성은 모바일 비디오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성 인식을 통해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지각된 침입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를 통한 모바일광고의 이용자 선호에 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Preference for Mobile Advertising between Smart Phone and Smart Pad)

  • 김기연;박수경;신재우;이종기;이봉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8-142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이용자의 차별적인 특성을 규명하고, 모바일광고의 선호 유형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모바일광고의 이론적 범위가 정형화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광고수용자 관점의 광고인식이나 선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모바일기기 이용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Jacques Attali(1992)의 노마드 이론을 토대로 개인정황관련성, 변화지향성, 속전속결성 변인과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생활방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분석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Q이론을 통해 발견한 바 있는 이용자 인식에 기인한 모바일광고 유형 분류체계를 양적 연구에 적용하여, 스마트폰 이용자 317명과 스마트패드 이용자 107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동통신이나 광고 산업에서 이용자 세분화 및 모바일광고의 마케팅 전략 프레임워크나 이론적인 틀로서 활용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

융합 상황정보 기반 스마트 환경에서의 광고 모델 연구 (A Study of Advertising Model based on Hybrid User Context in Smart Space)

  • 윤용익;이수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87-195
    • /
    • 2012
  • 스마트폰은 사용자 상황인지를 통해 개인 소비자들의 행동을 쉽게 예측할 수 있고 그들의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같은 디지털 기기들은 소비자가 관심 있는 광고를 구매시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광고 매체로 각광받는 스마트 폰과 인터넷 기반 TV의 동향을 알아보고 스마트 공간내의 N-screen을 포함 다양한 기기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 융합 상황정보로 소비자에게 관심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광고 방법인 스마트 광고 모델을 제시해 본다. 이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관심 있는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구매유도를 촉진시킨다.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통한 개인 맞춤형 모바일 광고 서비스 연구 (A Research on Personalized Mobile Advertising Service using the Linkage between Digital Signage and Smartphones)

  • 노광현;황호영;김승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9-14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옥외 광고 매체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와 스마트폰의 연동을 통한 개인 맞춤형 모바일 광고 서비스를 제안한다. 광고 콘텐츠 제공업체가 디지털 사이니지에 제공하는 광고 콘텐츠에 광고 메타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하면 디지털 사이니지 주변에 위치하는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광고에 대한 메타테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앱에서는 수신된 광고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전자잡지를 자동 생성하게 된다. 사용자는 이 전자잡지를 통해 제품 정보를 검색하고, 내용 수정 및 공유할 수도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제공되는 광고 도달 범위를 사용자의 스마트폰까지 확장함과 동시에 개인이 원하는 광고만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조만간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폰광고 이용자의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인지가치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the Context Awareness Value on the Smartphone Adopter' Advertising Attitude)

  • 양창규;이의방;황운초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73-91
    • /
    • 2013
  • 스마트폰 광고시장의 급격한 성장으로 그간 광고태도연구에서 주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었던, 재미(Entertainment), 정보(Information), 짜증(Irritation)과 같은 일반적으로 광고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외에 스마트폰의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Context Awareness Valu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간 상황인지가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주로 위치(Location)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는데, 스마트폰을 통해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는 위치 이외에도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무선인터넷기술의 활용을 통한 SNS 활용, 유심카드를 이용한 개인 확인, 다양한 앱의 활용 등의 변화는 기존의 모바일기기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의 활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인지가치의 요인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동통신시장의 광고채널이 스마트폰으로 전환되면서 발생하는 상황인지가치의 영향을 고려한 분석을 실시하여, 이전 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했던 최근 광고시장 상황이 반영된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이전의 광고태도 연구에서 주요한 요인이라고 여겨졌던 재미와 짜증은 영향은 적어지고, 여전히 정보가 미치는 영향은 크게 작용되고 있어 이는 현재의 정보화시대에서 정보의 중요성 및 영향력에 대한 이해와 분석도 여전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광고시장변화에 따라 활동(Activity), 시기(Timing), 위치(Location) 등과 같은 상황인지가치가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신원은 영향이 없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가치와 상황인지가치는 스마트폰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스마트폰광고 시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이용자의 상황에 최적화시켜 스마트폰 광고를 실시하여야만, 광고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