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안전관리

검색결과 564건 처리시간 0.027초

건설재해 예방 증대를 위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실증연구 - 건설기계 중심 (Empirical Study of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to Increas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Effect - Centered on Construction Machinery)

  • 최승용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7-158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기계에 의한 협착 및 충돌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 중 건설기계 근접 방지시스템의 재해예방 효과를 분석하여 그 안전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건설기계 중 재해다발 및 위험성이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의 유무에 따라 근로자(1,000명 기준)의 행동 변화를 라이다 센스 장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로자-건설기계와 최단 이격거리, 위험구역 내 근로자의 체류시간, 위험구역 주변 근로자의 이동 경로 및 체류시간에 따른 근로자의 분포도 등 근로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한 결과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한 건설기계가 미설치한 건설기계보다 근로자와의 이격거리 확보와 위험구역내 체류시간을 단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이 건설기계와 관련한 협착 및 충돌 등에 의한 재해로부터 근로자의 안전성을 확보한 결과라 분석되었다.

  • PDF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현장 적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Activate Field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Technology)

  • 정덕화;김세훈;임석빈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6-21
    • /
    • 2021
  • 최근 건설업의 높은 재해율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의 현장 도입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제도적인 개선이 일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선된 제도의 효용성 파악 및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의 현장 적용 확산을 위한 추가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개선된 제도의 인지 및 건설현장에서 스마트 안전 기술을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스마트 건설안전의 현장 적용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안전관리비의 및 현장 안전 서류업무 중복 문제 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향후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도입·확산을 위한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스마트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건설안전 제도개선 연구 (A Study on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 박경수;임석빈;김세훈;구기영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9-1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에서 스마트건설기술의 원활한 도입을 위한 제도적 개선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수행절차를 따른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건설안전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건설재해 통계자료 분석 및 국내·외 선진국의 건설 안전관리 체계 및 제도를 분석한다. 셋째, 건설업 및 관련 산업의 스마트 안전기술의 적용 사례를 통해 스마트 안전 기술의 적용성을 고찰한다. 넷째, 기술 적용과 관련한 제도적 문제점 분석하고 정책 방향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그 결과,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근로자 안전을 위한 기술의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스마트 건설안전 체계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건설IT융합기술 : 스마트빌딩 기술 개발 사례

  • 백윤철;김형석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10호
    • /
    • pp.25-31
    • /
    • 2013
  • 본고에서는 건설기술과 IT기술이 융합된 건설IT융합기술에서 스마트 빌딩과 관련하여 안전, 건강, 편의, 에너지를 위한 기술들로 분류하여 사례와 함께 서술한다. 고층 빌딩의 안전성을 위한 건축 구조물 건전도 모니터링 기술, 빌딩 실내 또는 지하 주차장에서 쾌적한 공기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환기제어 시스템 기술, 빌딩 정보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한 빌딩정보모델링 기반의 센서와 영상 인터페이스, 스마트 빌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한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냉난방, 조명, 환기설비, 전력모니터링 관련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기술들을 적용한 스마트 빌딩은 유무선통신, 스마트디바이스와 같은 IT기술을 건축공학 및 빌딩자동제어, 설비 기술에 적용하여 빌딩 사용자에게는 안전 및 최적 환경을 제공하고 빌딩 소유주나 관리자에게는 관리비용 절감, 관리 편의, 빌딩가치 상승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회안전을 위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Security)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25-22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재난안전 위협요소를 단위 산업체 시설물뿐만 아니라 지역 및 국가 단위에서 실시간으로 감지 예측하고 예방 대응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본다. 예방 대비 대응 복구로 이뤄지는 재난관리의 전 단계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한 융복합 구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조기예측을 통한 선제적 예방과 대비 즉각적인 재난 정보 전달로 피해규모의 축소와 첨단 기술을 통해 재난현장에서의 인간한계 극복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의 전략으로 선제적 위험관리 및 예방 신속하고 효율적 현장 대응 및 복구와 민관 상호협력 및 효율적 연계협력의 사회안전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Bayesian Network를이용한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민감요인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Sensitive Factors Influencing Acha Accident Using Bayesian Network)

  • 김상현;신연철;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2-163
    • /
    • 2022
  • 기술발전에 따라 건설현장은 스마트 안전관리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의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2.1.27)이후 50인 이상 사망사고는87건(96명)으로 전년 동기109건(111명)대비22건(20.2%), 15명(13.5%)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토교통부,2022). 반면에 단순비교지만 일본0.14%, 미국0.37%, 영국0.03%에 비해 한국의 재해율이 높으므로 다양한 안전관리활동의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아차사고 유형이 건설현장 특성간의 민감도모델 제시를 기반으로 근본적인 재해관리가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이루기 위해 국토교통부의 아차사고 발굴데이터를 분석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공사기간, 공사규모, 신체부위 등의 요인간의 아차사고 민감성요인에 대하여 Bayesian Network를 이용하여 아차사고에 영향을 주는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4차 산업혁명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Established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61-567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전 과정에 적용하여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간 사회 경제 환경 피해 등을 최소화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위험예측 및 위험징후 모니터링 기술에 의한 예측평가와 재난정보수집분석 및 현장상황 실시간 감지 분석에 의한 5세대 통신시스템의 예방,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몸으로 기억하는 교육과 훈련에 의한 대비, 재난안전관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인공지능에 의한 대응, 정찰 탐색 및 방재 구호에 위한지능형로봇에 의한 복구와 피해규모 분석 현장상황 공유하기 위한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조사 분석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대응체계 구축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 기대효과 제안 (Proposal of Expected Effects of Smart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Control System)

  • 김덕진 ;;박광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44-647
    • /
    • 2023
  • 건설은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하여 고위험 산업으로, 매년 많은 사고와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노동부 중대산업재해감독과에 따르면 2022 년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발표 결과, 건설 사고 사망자는 341 명으로,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자의 53%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사회 변화와 다양한 경기 변동, 물가 상승에 따라 건설 공사 비용 절감을 위한 안정성 결여, 시공 품질 관리의 어려움, 근로자 안전 의식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 현장의 근본적인 안전문화의 정착과 함께,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건설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다. 그리고, 건설안전관리를 위한 스마트 건설 안전관리통합관제시스템(SCMS)의 기능과 적용 범위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건설 현장의 안전사고 예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다양한 연구와 데이터 수집과 분석 등 기술적인 연구와 함께 법과 제도에 대한 개선 논의가 필요하다.

재난안전 실무자의 스마트 재난관리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민간참여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outh Korean Disaster Officials' Readiness to Facilitate Public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Using Smart Technologies)

  • 류현숙;김학경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35-63
    • /
    • 2020
  • 최근 대형복합 재난 및 테러 등 발생으로 국가위기 및 재난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증가되고 있으며, 재난 및 안전사고 강도와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재난 대응과 복구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범사회적 재난안전 관리의 역량 강화 및 복원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가 위주의 재난안전 관리가 아닌, 민간영역과·지역사회와의 협력적 체계를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사례들을 볼 때, 새로운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민간의 참여확대가 현실적으로 가능해졌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국가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이 필수적이며, 특히 최근 스마트앱 사회연결망서비스(SNS) 등의 등장 및 이용 영향으로 기존 '명령과 통제' 방식의 재난 및 안전관리에도 변화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의 스마트 기술 기반 시민참여 사례로는 지난 2010년 아이티 대지진 당시 재난복구에 시민과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이끈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우샤히디(Ushahidi) 사례,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 발생 시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등을 통한 생사확인 등의 위기소통 사례, 2011년 5월 미국 조플린 토네이도 발생 시 페이스북 사이트를 통한 시민주도 실종자 찾기 및 생사확인 그리고 긴급구조와 지원 사례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부산해운대 오피스텔 화재 발생 시 시민의 동영상 촬영 및 뉴스 제공, 2012년 대풍 볼라벤 북상시 SNS를 통한 시민주도 정보 공유 및 확산,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카톡 등 SNS를 통한 생사확인 및 구조현황 공유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민간참여 확대가 재난 및 안전관리에 가져오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민간참여에 대해 한국정부 재난안전 실무자가 느끼는 인식 및 기존 재난 및 안전관리에 스마트 민간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준비도(readiness)를 실증 조사해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 민간참여 확대에 대비한 정부 재난관리 조직과 실무자의 준비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MART 모델(System, Motivation, Ability, Response, Technology)을 제시한다. SMART 모델에 따라 재난안전 실무자의 법제도(System), 동기(Motivation), Ability(역량), 반응(Response), 및 기술(Technology) 등 5개 영역별 준비 수준을 측정, 분석해 향후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안전모와 비콘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Helmet and BLE Beacons)

  • 서귀빈;민세동;이승현;홍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1-68
    • /
    • 2019
  • 과거 건설공사의 목표는 원가절감과 공사기간의 단축을 통한 효율성 증진이었다. 하지만 최근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고용 노동부는 산업 재해로 인한 사망자를 절반으로 감소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도적 및 법적 개선이 추구되고 있으며 안전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 대형 건설 회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건설업체는 안전관리에 많은 부족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안전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안전모와 비콘을 이용하여 건설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