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시티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 플랫폼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플랫폼 연동 구현 사례 (Implementation of Interworking between the Smart City Platforms for Enhancing City Data Interoperability)

  • 김성윤;성낙명;박승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6-159
    • /
    • 2022
  • 최근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를 이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시티를 위해서는 국내 108개 지자체에 보급된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활용을 통한 시너지를 발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 플랫폼으로 연구 중인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와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간의 연동 구현 사례로써,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의 도시 상황 이벤트를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로 연계하고,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에서의 데이터 융·복합 분석 결과로써 도시 예측 이벤트를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으로 연계한 구현 사례를 기술한다.

  • PDF

스마트시티의 핵심 가치와 경쟁력 확보방안 (Value Creation and Competitiveness Achievement Strategies of Smart Cities)

  • 이영성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59-68
    • /
    • 2017
  • 최근에 스마트시티가 전세계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많은 도시들은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욱 스마트한 도시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은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료한 개념 규정이 되어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스마트시티가 되기 위한 도시들의 철학과 접근방법은 크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스마트시티의 가치창출을 강조하고 있다. 만약에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도시라면 겉으로만 똑똑한 헛똑똑이 도시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시티가 가치를 창출하려면 사례깊게 배려하는 섬세한 감수성, 정확성, 속도가 중요하다. 이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사려깊게 배려하는 섬세한 감수성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혁신을 이루어낼 수 있을 때 시민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시티가 시민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을 때, 그에 따라 스마트시티가 우리나라 전역으로 확산될 때, 스마트시티를 뛰어넘어 스마트지역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EDC 스마트시티 홍수분석 통합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Flood Analysis Platform in the EDC Smart City)

  • 이성학;구본현;심규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54-354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한 강우사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재해 위험도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서낙동강 지역에서는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2023년 완공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대저수문과 녹산수문이 각각 상/하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가 위치한 좌안에는 평강천이 유입하고 우안에는 대감천, 예안천, 주중천, 신어천, 금천천, 조만강 및 지사천이 유입하고 있다. 스마트시티의 대저수문과 녹산수문 구간은 4월-10월 기간 동안 주변지역 농업용수 공급을 위하여 하계의 일시적인 방류를 제외하면 연중 담수가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하천형 저수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낙동강의 홍수예보는 낙동강의 본류 구간만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구간은 주로 수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스마트시티의 조성과 함께 서낙동강 구간의 홍수 영향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스마트시티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한 홍수분석은 거의 수행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구간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기반의 홍수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웹기반 통합플랫폼을 개발하였다. 홍수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개발계획을 기반으로 단기유출모의, 하천흐름모의 및 도시유출모의를 연계하여 분석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홍수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대상 하천구간의 농업용수이용, 수문조작 기준을 고려하였다. 단기유출모의는 홍수통제소의 유출분석을 위하여 사용되는 저류함수법을 적용하였으며, 하천흐름 모의는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모형을 적용하였으며, 하천흐름모형의 결과를 미국 환경청(EPA) 도시유출모형인 SWMM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상 구간의 하천 취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일별 담수심추적법을 활용한 논 농업용수 수요량을 산정하여 반영하고, 농업용수 수요량에 따른 저수량과 수문운영 룰을 고려하였다. 또한 부산에코델타 스마트시티의 개발에 따른 상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웹기반으로 사용자가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각 모형의 입력자료와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에코델타 스마트시티의 개발에 있어 홍수위험을 분석 및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활용하여 홍수에 안전한 부산에코델타 스마트시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쓰리 티어 방식의 스마트시티 관리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Smart City Security Management in Three Tier Smart City Management System)

  • 황의동;이용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5-33
    • /
    • 2019
  •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개인의 사생활이나, 공공재적인 요소가 많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하며, 따라서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보안에 대한 연구는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 티어(Tier)로 구성된 스마트시티 시스템을 위한 보안 요소들을 정의하고, 각각에 필요한 기술들에 대해서 기술한다. 또한, 스마트시티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도시구성요소와 미들웨어와의 보안 관리를 위하여 스마트시티 미들웨어에 보안계층을 설계하고 구현한 내용을 소개한다. 인프라보안계층은 블록 암호 (Block Cipher) 알고리즘과 메시지 다이제스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하고, 정책서버를 통한 장치 접근 관리를 하여 인가된 장치만 스마트시티 구성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Smart Cities: A Review of the Most Recent Literature)

  • 마크 호프만
    • 정보화정책
    • /
    • 제27권1호
    • /
    • pp.3-35
    • /
    • 2020
  •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유승철
    • 방송과미디어
    • /
    • 제27권4호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Smart City-based Metaverse a Study on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 권창희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2021
  • 이 논문은 기존의 도시가 부동산 중심의 경제 원리로 형성됐다면 스마트시티는 거주자 생활을 중심으로 한 도시계획 서비스라고 말한다. 이런 스마트시티가 되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철도와 도로 등 도시 인프라를 비롯해 유통, 의료, 교육의 혁신도 필요하다.하지만 스마트시티가 도시운영체제를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끝나는 건 아니다. 스마트시티기반에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당면한 각종 도시 문제를 해결을 위한 선행연구를 다뤄보기로 하였다. 도시운영체제를 입히는 도시의 지역적 특성을 살리면 해당 도시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의 스마트시티는 과연 어떠한 도시일까? 이에 대한 답변을 하기 위하여 스마트시티기반의 메타버스(Metaverse)를 통한 도시문제해결을 모색하였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IFEZ 스마트시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mart City Project Evaluation System: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IFEZ Smart City)

  • 이상호;조희연;민윤홍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3-97
    • /
    • 2023
  • 프로젝트의 평가란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결과물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은 시스템 구성요소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로 프로젝트가 나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서비스별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추가 프로젝트를 통하여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확장되기도 한다. 이렇게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가 목표 및 전략에 맞추어 진행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인 프로젝트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는 스마트시티의 기획, 설계, 구축 및 운영의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평가체계로부터 도출된 지표는 의사결정자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종료 이전에도 프로젝트의 성과를 중간 평가하고 이로부터 얻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의 적용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에 개발된 평가체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항목별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종합적인 계획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프로젝트의 우선적인 개선 요소를 파악하는 데 본 연구가 참고가 될 것이다.

국내 스마트시티 서비스 적용 경향 분석 (Current Trend of Smart City Service Application in Korea)

  • 김민주;정승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4-203
    • /
    • 2019
  • 최근 스마트도시 조성을 도시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동력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스마트시티를 통한 산업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과 서비스 개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 확대가 예상된다. 도시 성장 동력으로써의 스마트도시서비스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의 지원을 위한 스마트시티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과 적용 현황 분석을 통해 서비스 개발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 추진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산업 활성화와 스마트도시 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근거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 및 주요전략 도출 (Derivation of a Vision and Major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Smart City)

  • 현창택;왕지환;김승권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4-7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각종 사회문제와 부작용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하여 스마트시티 조성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각 부처별로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 및 전략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부처별 입장에서 제시되는 한계점을 보이고 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과 핵심전략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의 현황 분석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비전을 설정하였다. 또한 국내외 스마트시티 현황 분석 및 문헌고찰을 통하여 STEEP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스마트시티 비전 달성을 위한 주요전략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스마트시티 비전 및 주요전략들은 성공적인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