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스마트사회

검색결과 1,514건 처리시간 0.033초

21세기 학습능력 및 스마트 러닝 교수설계 모형 연구 (21st Century Learning ability and Smart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 Study)

  • 정재훈;김선회;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51-1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21세기에 인재양성에 필요한 학습능력의 동향을 알아보고 전통적 교육에서 스마트 교육으로 변화함에 따라 스마트 러닝 교수설계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21세기 사회는 지식기반사회, 지식정보사회 등 '지식'이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전통적 지식과 21세기에 필요한 학습능력을 통합하여 디지털 교과서, 온라인 수업, 클라우드 교육 서비스, 스마트 교육환경의 콘텐츠와 교수학습 모형을 융합하는 새로운 교수설계 모형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21세기 경영전략, 스마트 경영

  • 윤은기
    • 제품안전
    • /
    • 통권42호
    • /
    • pp.28-31
    • /
    • 1996
  • 과거 산업사회는 수직적인 조직구조에 타율적, 비 자발적인 인사결정이 이루어졌으며, 하드워커(Hard Worker)가 성공하는 사회였다. 그러나 현재의 정보화사회는 하드워커보다는 하드싱커(Hard Thinker)의 인재형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인간의 노동력 대신에 하이테크를 활용, 부가가치를 높이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나타나 것이 스마트경영이다.

  • PDF

프린팅 월드 - 스마트사회에 공헌하는 일본인쇄산업(7)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3호
    • /
    • pp.124-127
    • /
    • 2014
  • 일본에서는 인쇄산업의 영역과 인쇄비즈니스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기존 인쇄 산업이 갖고 있던 한계를 허물고 사회가 발전하는 방향에 맞춰 산업을 재정의해야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각 분야별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프린팅 월드 - 스마트사회에 공헌하는 일본인쇄산업(8)

  • 김상호
    • 프린팅코리아
    • /
    • 제13권4호
    • /
    • pp.116-119
    • /
    • 2014
  • 일본에서는 인쇄산업의 영역과 인쇄비즈니스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기존 인쇄 산업이 갖고 있던 한계를 허물고 사회가 발전하는 방향에 맞춰 산업을 재정의해야 미래를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각 분야별 과제와 방향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e Smart-based Cooperative Learning)

  • 김정랑;노재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25-632
    • /
    • 2014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와 앱, SNS, 미러링 등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최근 다양한 협업 상호작용을 강조한 스마트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스마트교육과 LT 협동학습 모형을 연계한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과 일반적인 협동학습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의 초등학생들보다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표현, 경청과 이해, 상호작용 등 의사소통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스마트 기반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생각이나 의견을 말과 글로 명료하게 표현하게 하고, 다른 학생들의 말과 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주며 사회적 상황에서 목적에 맞게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의 부작용 유형 분석 및 대응 방안 (Typ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Side Effects of using Smart Phone)

  • 김태희;강문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84-2994
    • /
    • 2013
  • 스마트폰의 등장은 컴퓨터를 손바닥 안으로 옮기는 혁명을 가져왔으며, 그 혁명은 생활의 편리함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스마트 사회를 선도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증후군을 포함한 부작용 요소가 과거의 그 어떤 IT 기기들보다 더욱 폭넓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이용 목적별로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 부작용 유형과 유형별 핵심 이슈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적 영향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진단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스마트폰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이해와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대응 방안은 스마트 사회의 창의 협력 소통 오락통의 플랫폼인 스마트폰을 바람직하게 활용하게 함으로써 가시적이고 잠재적인 부작용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 간의 융복합 분석 (Combined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Level and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 우예신;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75-280
    • /
    • 2020
  • 본 연구는 과제기반 설문조사를 통해 중고령자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구분하고,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전라도 지역에 소재한 노인시설에 방문하는 55세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과제기반 설문지를 실시하고,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0~3점 'C' 수준, 4~7점 'B' 수준, 8점 이상 'A' 수준으로 재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자료 처리는 SAS 9.4를 이용하였다. 총 97명의 데이터가 결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스마트폰 사용자가 85명(87.6%)로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r=0.22)가 나타났다. 평균비교 결과, 스마트폰 사용수준과 지역사회참여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p=0.04)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수준별로 지역사회참여도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인이 높은 스마트폰 교육요구도를 나타냈다. 교육만족도와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모달리티가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dality and Smart Device on Learner's Interaction Experience in Online Learning)

  • 박세영;신동희;김태양;신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07-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기기의 유형 및 모달리티(modality)가 학습자의 주관적인 상호작용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모달리티는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상호작용경험 평가, 다른 학습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유형의 경우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모달리티가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의 상호작용경험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변인으로서 상호작용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설계 원리를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스마트사회의 디지털융복합 이러닝 표준기술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n e-Learning Standard Technology Frameworks of Digital Convergence for Smart Society)

  • 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159-166
    • /
    • 2018
  •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면서 정보통신기술 융복합과 지능정보기술은 스마트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학습, 교육 및 훈련을 위한 지능정보기술 표준화 기반이 빈약하여 스마트 사회에 발맞춰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서의 신기술 표준 도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과거, 현재 및 미래에 활용될 교육정보 표준기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표준 기술에 대한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을 예측하기 위하여 산 학 연 관 교육 및 정보통신기술 표준 전문가들에게 3차례의 델파이 및 6차례의 패널 토의를 하였다. 그 결과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교육기술 표준 요소 도출을 하였으며 중 장기 표준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는 디지털 지능정보 사회에서 이러닝의 미래 표준화 기술 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Non-Work Related Use Behavior of Smartphone)

  • 이종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15-121
    • /
    • 2012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조직구성원들이 왜 업무 중에 직무와 무관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습관, 사용의향, 사회적 영향, 업무 상호의존성, 사용행동으로 구성된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행동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습관과 사회적 영향은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외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사용의향과 사용행동간의 관계는 업무 상호의존성에 의해서 긍정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