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스마트글라스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esign of Constellation Content for Children Applied to Car Glass Roof (승용차 글라스루프를 활용한 어린이용 별자리 콘텐츠 디자인)

  • Choe, Jong-Hoon;Jung, Su-Young;Choi, Yu-Mi;Kwon, Min-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7
    • /
    • pp.141-149
    • /
    • 2013
  • Recently, the time in which children moves by car become frequent, they stay longer in the car because leisure life including camping and etc. increased. Children whose physical activities are active were subject to restriction because of the limited car boarding visual space and on security. Because of limited space in cars, domestic and foreign automotive companies show the different glass roof applied in cars that exhibited wide clear view in order to remove tedious and stuffy of children while they stay for a long time inside the car. In addition, the potential probability in which the Smart Car that the IT technology is grafted research and research that it utilizes the door window glass as the display is progressed and which the glass roof can be used as the screen can be sufficient. In this study, the in-vehicle display application case and Smart Devices constellation application were benchmarked. The car glass roof application method of the constellation studying content which performed the user survey for the child by the car with the parents whose movement is frequent and considers the child and fundamental interaction way tried to be drawn and we try to propose.

Technology of carbon sputtering on the mobile phone touch glass for prevention of ITO disconnection (ITO 목단선 방지를 위한 휴대폰 터치글라스상의 카본 스퍼터링 기술 개발)

  • Lee, Su-Yeong;Kim, Si-Myeong;Kim, Sang-Ho;An, U-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76-77
    • /
    • 2013
  • 스마트폰 화면의 대형화와 테블릿 PC 비중 확대와 더불어 모바일용 터치스크린의 평균 면적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폰 터치 글라스상의 ITO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carbon black을 이용한 스퍼터링 공법을 진행하였으며, 최적 증착 조건 도출 및 기존 인쇄 방식과 대등한 투과도 수치를 확보하였다.

  • PDF

Usability of CPR Training System based on Extended Reality (확장현실 기반의 심폐소생술 교육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

  • Lee, Youngho;Kim, Sun Kyung;Choi, Jongmyung;Park, Gun Woo;Go, Younghye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6
    • /
    • pp.115-122
    • /
    • 2022
  • Recently, the importance of CPR training for the layperson has been emphasized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An accurate and realistic training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CPR training effect for laypersons. In this study, we develop an extended reality (XR) based CPR training system and evaluate its usability. The XR based CPR training system consisted of three applications. First, a 3D heart anatomy image registered to the manikin is transmitted to the smart glasses to guide the chest compression point. The second application provides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bout the CPR process through smart glasses. At the same time, the smartwatch sends a vibration notification to guide the compression rate. The 'Add-on-kit'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depth and speed of chest compression via sensors installed on the manikin and sends immediate feedback to the smartphone. One hundred lay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reed that the XR based CPR training system has realism and effectiveness. XR based registration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PR training by enhancing realism, immers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Smart Home System with Indoor Lighting Control (실내 채광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 Tae-Seon Kim;In-Ho Cho;Won-Yeong Kim;Woo-Young Choi;Su-In Choi;Do-Hye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417-418
    • /
    • 2023
  • 최근 사용되는 스마트 홈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의 효율성, 편안함, 기능성을 추구한다. 하지만 기존 스마트 홈 시스템에는 실내 채광 조절이 블라인드나 커튼과 같이 사람의 관리가 필요로 한 부분이 적용된다. 본 논문은 이를 보완하고자 현재 자동차 및 항공기에 사용되는 스마트 윈도우처럼 주변 조명 조건에 따라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글라스나 필름 사용을 제안한다. 기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블라인드, 커튼 등과 달리 창문 자체적으로 외부 채광을 조절하고 실내 조명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실내의 환경을 변화시킨다면 사용자의 경제성과 편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것이다.

  • PDF

학술논문 - 친환경 오프셋 항균 잉크 개발에 관한 연구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12
    • /
    • pp.107-113
    • /
    • 2013
  • 2013년 한국인쇄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가 지난 11월 15일 서울인쇄센터 7층 강당에서 열렸다. 이번 추계학술논문발표회에서 스마트기기용 박막 커버글라스의 제조에 관한 연구, 친환경 오프셋 항균잉크 개발에 관한 연구 등이 발표됐다. 이성형, 조가람, 구철회(부경대학교 대학원 인쇄공학과, 부경대학교 공과대학 인쇄정보공학과)의 '친환경 오프셋 항균잉크 개발에 관한 연구'를 게재한다.

  • PDF

No.1 Safety Engineer - 아사히초자화인테크노한국(주) 김태권 과장

  • Kim, Seong-Dae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4
    • /
    • pp.24-25
    • /
    • 2014
  •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디지털기기가 대중화되면서 디스플레이(화면) 산업도 다양한 변화를 맞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달은 유리 소재에 대한 기술 개발을 더욱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경북 구미시에 위치한 아사히초자화인테크노한국(이하 AFK)은 전 세계 디스플레이용 글라스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일본의 AGC 그룹에 의해 2004년 설립된 곳이다. 특히 AFK는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인 TFT-LCD 용 유리 기판을 제조하는 곳으로 AGC 그룹의 디스플레이용글라스에 관한 최점단 기술이 집결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 AFK에서 안전관리업무를 맡고 있는 이가 오늘의 주인공인 김태권 과장이다. 그는 회사 설립 초기부터 자체적인 안전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면서 고도의 기술력과 안전이 조화된 일터를 만들어가고 있다. 안전관리업무의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는 김태권 과장을 찾아가 그만의 안전철학을 들어봤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owing Machine System using VR Contents (VR 콘텐츠를 응용한 로잉머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Ban, Hyun-Jin;Yun, Da-young;Kim, Jae-rim;Baek, Se-yeon;Lee, Na-young;Chang, Young-hyun;Kim, J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9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분야인 가상현실을 헬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에 응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와 GYRO센서를 활용하여 로잉머신의 동작 상태를 이중 데이터로 측정하고, 분석한 값을 활용해서 Unity를 사용하여 AR 어플리케이션을 설계, 구현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을 AR 글라스를 통해 실행한 결과, 생동감 넘치는 운동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시각적 부담 과다로 인하여 로잉머신 운동효과 경험에 부분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2차적 개선으로 VR 콘텐츠로 전환을 적용하여 안전한 운동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VR 콘텐츠 개선기술을 적용하면 사용자 안전에 우선하는 헬스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Development of Abrasive Film Polishing System for Cover-Glass Edge using Multi-Body Dynamics Analysis (다물체 동역학 해석을 이용한 커버글라스 Edge 연마용 Abrasive Film Polishing 시스템 개발)

  • Ha, Seok-Jae;Cho, Yong-Gyu;Kim, Byung-Chan;Kang, Dong-Seong;Cho, Myeong-Woo;Lee, Woo-J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0
    • /
    • pp.7071-7077
    • /
    • 2015
  • In recently, the demand of cover-glass is increased because smart phone, tablet pc, and electrical device has become widely used. The display of mobile device is enlarged,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high strength against the external force such as contact or falling. In fabrication process of cover-glass, a grind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process to obtain high strength of glass. Conventional grinding process using a grinding wheel is caused such as a scratch, chipping, notch, and micro-crack on a surface. In this paper, polishing system using a abrasive film was developed for a grinding of mobile cover-glass. To evaluat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esigned system, finite element model of the polishing system is generated, and multi-body dynamic analysis of abrasive film polishing machine is propo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ress and displacement analysis of abrasive film polishing system are performed, and using laser displacement sensor, structural stability of abrasive film polishing system is confirmed by measuring displacement.

CNN-Based Hand Gesture Recognition for Wearable Applications (웨어러블 응용을 위한 CNN 기반 손 제스처 인식)

  • Moon, Hyeonchul;Yang, Anna;Chun, Sungmoo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58-59
    • /
    • 2017
  • 손 제스처는 스마트 글라스 등 웨어러블 기기의 NUI(Natural User Interface)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손 제스처 인식에서의 인식률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인식기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딥러닝 기반의 손 제스처 인식 기법 또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눈문에서는 웨어러블 기기에서의 미디어 소비 등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손 제스처 인식 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기법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깊이 정보와 색 정보를 이용하여 손 윤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손 윤곽선 영상을 데이터 셋으로 구성하여 CNN 에 학습을 시킨 후, 이를 바탕으로 손 윤곽선 영상으로부터 제스처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Detection of Hand Gesture and its Recognition for Wearable Applications in IoMTW (IoMTW 에서의 웨어러블 응용을 위한 손 제스처 검출 및 인식)

  • Yang, Anna;Hong, Jeong Hun;Kang, Han;Chun, Sungmoon;Kim, J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33-35
    • /
    • 2016
  • 손 제스처는 스마트 글라스 등 웨어러블 기기의 NUI(Natural User Interface)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MPEG 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 및 웨어러블 환경에서의 미디어 소비를 지원하기 위한 IoMTW(Internet of Media-Things and Wearables)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손 제스처를 웨어러블 기기의 NUI 로 사용하여 웨어러블 기기 제어 및 미디어 소비를 제어하기 위한 손 제스처 검출과 인식 기법를 제시한다. 제시된 기법은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깊이 정보와 색 정보를 이용하여 손 윤곽선을 검출하여 이를 베지어(Bezier) 곡선으로 표현하고, 표현된 손 윤곽선으로부터 손가락 수 등의 특징을 바탕으로 제스처를 인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