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혜자 만족도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기숙사 업무 지원을 위한 모바일 웹 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Web Services for Supporting Dormitory Works)

  • 김성완;손병오;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89-1398
    • /
    • 2013
  •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활용이 급증함에 따라 대학에서도 주요 학생 서비스들을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엄격한 학생 관리가 요구되는 기숙형 고등학교 및 대학 기숙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관생들에게는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웹 기반의 기숙사 업무 지원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첫째, 업무 관리 측면에서는 모바일 웹 및 전통적인 웹 기반의 관리 환경을 제공하여 점호, 외박 처리 등의 업무 처리 효율성을 높였다. 둘째, 관생 서비스 측면에서 모바일 웹 기반의 환경을 제공하여 웹에 접근 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항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비스 수혜자의 만족도를 높였다. 제안 시스템은 250명 규모의 남자 대학생 기숙사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운영되었으며 관생을 통한 설문 조사를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체외막 산소화 장치를 이용한 순차적 양측 폐이식 수술 치험 - 1예 보고 - (Sequential Bilateral Lung 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Support - A case report -)

  • 이미나;김관민;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96-99
    • /
    • 2010
  • 양측 폐이식 수술 중 공여자 또는 수혜자 폐의 기능 부전으로 저산소증이 유발되는 경우 인공폐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대개는 심폐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심폐기는 고용량의 헤파린 사용으로 출혈의 위험이 크며 심폐기 회로에 의한 보체 활성화는 조기 이식폐 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체외막 산소화 장치는 산소화를 충분히 보조하면서 저용량의 헤파린으로도 유지가 가능하다. 본 저자들은 대퇴정맥을 통해 정맥-정맥간 체외막 산소화 장치 보조 하에 순차적 양측 폐이식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대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노인복지를 위한 교회공동체 기관의 역할 (The Role of Church Communities in Elderly Welfare in Korea after the COVID-19 Pandemic)

  • 송정애;박유범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87-93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의 노인복지를 위한 교회 공동체 역할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노인복지에 대한 교회 공동체 기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복지 수혜자인 노인들의 삶이 보다 더 안정적이고 행복한 삶이 될 수 있게 하고, 정부와 지자체, 지역사회 단체, 교회와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효율적인 노인복지가 되게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써 각 교회의 담임목사와 노인복지 담당목사와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얻어낸 내용의 면접기록지를 1차 자료로 사용하였고, 1년간의 노인복지 사업 결과물을 2차 자료로 사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들이 코로나19 팬데믹의 힘든 환경, 상황 가운데서도 최소한의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자원과 지원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은 교회공동체에 많이 의존하고 있었고, 관계망 속에서의 안정감과 만족도도 높음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에 있어서 교회 공동체의 역할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노인복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의의이다.

자활분야의 주거복지서비스 변화와 함의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ousing Welfare Service in Self-sufficiency Assistance Program)

  • 서광국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2호
    • /
    • pp.87-95
    • /
    • 2016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2002년 시행되어 온 주거현물급여사업은 "주거급여법" 제정(2014.1.24.)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주거현물급여는 수급자 가구의 주거환경개선과 저소득층의 자활일자리 창출이라는 이중의 목표에 맞추어 13년간 사업이 시행되어 왔지만 각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이를 관리하고 시행하는데 따른 편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에 그동안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주거분야의 자활기업과 사업단의 매출액, 수익금의 변화와 새롭게 형성된 중앙 단위조직인 전국자활기업연합체가 향후 사업수혜자에 대한 만족도 향상과 제도변화에 따른 대응, 저소득층 일자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수준 향상 가능성과 사업관리체계의 변화요구에 대한 자기노력과 선도적 대응을 요청받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그동안의 주거현물급여사업에 대한 기존연구를 보완함과 동시에 새로운 제도 환경에 맞는 현장의 변화유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응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국자활기업이 저소득 대상에 대한 이해도 높은 특화된 서비스제공, 둘째 전국자활기업을 주거현물급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화된 기관으로 전환 유도, 셋째 공급기관으로서의 수선유지에 대한 업무와 관련된 명시적인 지침의 제시를 통한 제도변화와의 조응, 마지막으로 사업수행과정프로세스에서의 일관된 기준과 절차적 표준화를 위한 혁신이 동반되어야 한다.

노인의 라이프케어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 미래 방향에 대한 제시 (A Suggestions of Futur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Community Care Business for Improvement of the Elderly's Life Care)

  • 양승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23-43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라이프케어 및 삶의 질향상을 위해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통합돌봄사업의 미래 가치성 확대와 방향성 제시를 위하여 현황과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적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서비스 수혜 노인의 욕구분석은 조사자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으로 구성하며, 특히 의료진의 진료방문을 통한 의학적관리 부분이 강화되어야 하며, 성별과 연령, 장애유형과 개인적 욕구취향에 따른 특화된 서비스 항목 부분이 점진적으로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서비스 항목에 대한 만족도 및 중복성 그리고 효과성 등을 분석하여 예산을 절감하며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항목구성과 신규 서비스 필요 항목 적용 등을 고려해 나간다. 셋째, 통합 스케줄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서비스 제공 직역단체와 수혜자 간의 사전예약 및 방문 스케줄 관리의 전문화가 필요하다. 넷째, 재원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보건의료 재정과 장기요양보험제도 그리고 사회복지재정사업 등과 합리적 재원공유 제도마련이 필요하며, 서비스 관련 산업분야와의 재원의 연계나 순환, 지방 공공의대 출신 인력투입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의 제안을 통해 통합돌봄사업은 보편적 노인 케어시스템으로의 완성과 미래 가치를 지닐 수 있게 될 것이다.

한국 해비타트의 재난위기경감 개입 효과성 연구: 방글라데시 남부 상습 침수지역 거주민의 정신건강 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Habitat for Humanity Korea's Disaster Risk Reduction Interventions: Focusing on the Mental Health of Residents of a Perennially Flooded Area in Southern Bangladesh)

  • 이수연;서은석;권구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788-805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기의 상습 침수로 인해 지속적으로 재난 스트레스를 경험한 방글라데시 남부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사)한국 해비타트의 재난위기경감 개입이 수혜자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개입대상지역에 거주하는 138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사전조사 및 2021년 11월 사후조사를 수행하였다. 중재적 개입은 개별 점진주택 제공, 공용인프라시설 개보수, 재난대응훈련을 통한 역량개발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사전-사후의 변화에 대한 대응표본 t-test와 처치집단 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개입 후 거주민의 우울, 불안, 신체화 및 삶의 질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개입 처치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재난대응훈련과 대비하여 개별 점진주택 제공과 공용인프라시설 개보수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이러한 결과는 (사)한국 해비타트의 재난위기경감 개입이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강 회복에 미치는 긍정적 역할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재난취약 개도국 대상의 위험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 개입방식을 제안하였다.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장애인복지관의 효율성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최경호;신현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11-121
    • /
    • 2015
  • 지금까지 장애인복지관 운영에 대해서는 사업 특성상 장애인복지 전반에 관한 긍정적이거나 또는 관대한 인식을 가져왔다. 그런데 장애인복지관이 다양한 산출물을 효율적으로 얻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장애인복지관의 운영과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서비스가 수혜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하여, 전국 176개 장애인복지관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성을 탐색해 보고,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전체 176개 장애인복지관에 대한 기술 효율성 평균은 0.4488, 순수 기술적 효율성은 0.6040 그리고 규모 효율성은 0.7080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장애인복지관 효율성 탐색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과 한계를 제시하면 첫째, 기술 효율성분석을 적용해 보았을 때, DMU2, DMU3, DMU8, DMU9, DMU11, DMU13, DMU14가 평균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적인 사회 경제적 편차와 함께, 사회복지 시설 예산의 지방 이양에 따른 정책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둘째, 규모의 효율성 분석 결과, DMU1, DMU5, DMU12, DMU16 등의 규모효율성이 낮은 장애인복지관들은 직원수, 세입액, 면적규모 등의 투입요소 규모를 확대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 개선이 기대되어지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되는 재활서비스에 대한 효율성 분석과 성과평가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정배달도시락 수혜 아동의 도시락 서비스 이용 실태와 평가 (Use and Assessment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문정아;유창희;이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935-943
    • /
    • 2015
  • 결식아동을 위한 급식은 지역 실정과 아동 여건에 따라 급식소 급식, 일반음식점 급식, 도시락 배달, 부식 지원 등의 방법으로 지원하고 있으나, 그중 도시락 배달은 완전한 식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낙인 현상 없이 아동이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먹을 수 있다는 면에서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도시락은 생산하는 장소와 섭취하는 장소가 분리되고, 섭취 전까지 취급 방법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락이 가정으로 배달된 후 가정 내 보관과 섭취 실태를 조사하고, 도시락 급식서비스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도시락 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길어졌고, 절반 정도의 아동들이 일주일에 4~5회 도시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 중보다는 방학 중 도시락 서비스 이용 빈도가 증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86.1%는 도시락을 받은 후 4시간 이내에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3.9%는 4시간이 지나거나 다음 날 아침에 먹는 경우가 있었고, 도시락을 섭취 시까지 싱크대나 식탁 등의 상온보관을 하는 비율이 30.1%였다. 특히 학년이 낮을수록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나 도시락을 섭취하기 전 안전한 보관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남은 음식은 냉장고에 보관 후 섭취전 가스레인지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였다. 배달도시락 서비스 품질 점수는 보통 정도였으나 음식의 간과 맛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이용 기간이 길어질 수록 메뉴 요인의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이 서울 일부 지역에서 도시락 배달을 받는 수혜자로 제한되어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결식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배달된 도시락을 어떻게 보관하고 섭취하는지에 대해 수혜 아동의 입장에서 수행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역에 따라 급식서비스 운영 방법이 다양하므로 향후 다양한 지역과 급식서비스 업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요구된다.

일개 시지역의 가정간호 수혜자들의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Clients' Home Care Satisfaction in Taejon City in Korea)

  • 김선숙;소희영;이태용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5권
    • /
    • pp.73-83
    • /
    • 1998
  • This study enrolled one thousand five hundred twenty one clients that were receiving home care services at five health centers and a home care services center in the city of Taejon from November 17 through December 7, 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atisfaction level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fficacies, of the client served home car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ge group of most of the subjects was 70-79 years: 76.9% of them were female and 87.3% were over 65 years. In education variables, over 90% of the clients were below primary school. In marital status variables, 63.4% of them had no spouse, 57.5% of them were widows and widowers. In living arrangement variables, alone(35.8%) was the most. In insurance status variables, medical aid(69.9%) was the most. In household income variables, below 000 won(72.6%) was the most. In hospitalization variables, 53% of the clients had no hospitaliz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home care service of male and female was similar.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group having religion was higher than the group having no religion and the Christianity group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p<0.001). In education variables, the over high school group was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p<0.01). In living arrangement variables, the other (sisters or neighbors etc.) group indicat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p<0.001). In insurance status variables, the other group(except for medical aid) was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p<0.001). In household income variables, below 390,000 won was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p<0.001). In hospitalization variables, 'over 4 times' group indicat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p<0.01). Home care took place more in health centers than in home care services center. In frequency of home care per month three times was the most. In opinion of home care frequency per month 82.8% of the people answered 'proper'. A lot of present illness was neuralgia, arthritis, digestive disease, hypertension & CVA. In contents of home care services variables, education & counselling was the most and medication was second. In duration of illness variables, over 10 years was the most. In place of treatment before home care service variables, hospital(57%) was the most. In illness condition after home care variables, 'moderate' was the most and 'much better'(85.5%) was second. In help of home care variables, 'much help'(71.5%) was the most and 'moderate'(28.1%) was second. In contents of counselling variables, treatment method of illness was the most. Home care services center indicate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health center(p<0.001). In opinion of home care frequency per month variables, 'less' was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p<0.001). In duration of illness variables, below one year was the highest and over 10 years was second(p<0.001). In place of treatment before home care service variables, health center was the highest (p<0.001). In illness condition after home care variables 'much better' was the highest and 'worse' was second (p<0.001). I n help of home care variables, 'much help' was the highest (p<0.001). In contents of counselling variables, cause of illness was the highest(p<0.001). According to the 14 items which consisted of 3 point scales the total level of satisfaction of home care service was very high, with total mean score 36.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most clients taking home care services are satisfied. However, organization and a fund are required to support high quality home care services to those who need them. Furthermore, a follow-up survey should be accomplished to evaluate the status of cl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