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ousing Welfare Service in Self-sufficiency Assistance Program

자활분야의 주거복지서비스 변화와 함의

  • 서광국 (재)중앙자활센터 사무처)
  • Received : 2016.04.11
  • Accepted : 2016.04.29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Housing benefits service that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2002 has been changed with the enactment of "Housing benefits Law"(2014.1.24). Though the service was conducted for 13 years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recipient households and create self-supporting jobs for low-income, there was a limit to ensure the efficiency due to variations in the administrative act and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For that reason, the sales account and the profits of self-supporting enterprises and their cooperative in housing welfare sector that played a pivotal role had gone through many ups and downs and that is why the national coalition of self-supporting enterprises that were newly formed are forced to take self-effort and play a leading role for the improvement of future beneficiaries' satisfaction, namely to develop the level of service to keep the decent jobs consistent for low-income while responding institutional policy change and the demands for improving the home-amelioration system. Accordingly,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on housing-benefits service and determine how the field can keep pace with the new institu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first, Central self-supporting enterprises provide high specialized-quality services to low-income families, second, central self-supporting enterprises induce to transition customized service agenc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residential housing benefits, Third, Housing self-supporting enterprises should correspondence with institutional change through the provision of explicit guidelines in relating to housing-service amelioration, the last, business practical process shall be accompanied by a consistent basis for innovative and procedural standards.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2002년 시행되어 온 주거현물급여사업은 "주거급여법" 제정(2014.1.24.)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동안 주거현물급여는 수급자 가구의 주거환경개선과 저소득층의 자활일자리 창출이라는 이중의 목표에 맞추어 13년간 사업이 시행되어 왔지만 각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이를 관리하고 시행하는데 따른 편차에 따라 사업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이에 그동안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주거분야의 자활기업과 사업단의 매출액, 수익금의 변화와 새롭게 형성된 중앙 단위조직인 전국자활기업연합체가 향후 사업수혜자에 대한 만족도 향상과 제도변화에 따른 대응, 저소득층 일자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수준 향상 가능성과 사업관리체계의 변화요구에 대한 자기노력과 선도적 대응을 요청받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에 그동안의 주거현물급여사업에 대한 기존연구를 보완함과 동시에 새로운 제도 환경에 맞는 현장의 변화유인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대응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국자활기업이 저소득 대상에 대한 이해도 높은 특화된 서비스제공, 둘째 전국자활기업을 주거현물급여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문화된 기관으로 전환 유도, 셋째 공급기관으로서의 수선유지에 대한 업무와 관련된 명시적인 지침의 제시를 통한 제도변화와의 조응, 마지막으로 사업수행과정프로세스에서의 일관된 기준과 절차적 표준화를 위한 혁신이 동반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2013), 정부 주거복지서비스 품질 및 프로세스 혁신.
  2. 서울시복지재단(2014), 임대지역 주민주도형 경제모델 지원사업보고서.
  3. 중앙자활센터, 한국에너지복지센터(2016), 공동조사자료집(2016년 2월).
  4. 중앙자활센터(2015), 자활사업통계자료집(미발간).
  5. 중앙자활센터(2015), 자활기업 실태조사.
  6. http://www.css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