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수학 수업

Search Result 1,438,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 Bang, Seung-Jin;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2 s.22
    • /
    • pp.417-434
    • /
    • 2005
  • 본 연구에서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제기 수업과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서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8주 동안 문제제기 수업을 실시하여 수업을 한 후, 문제해결력 검사지와 수학적 창의력 검사지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제기 수업을 활용한 수업방식이 기존의 교사 주도식 수업방식에 비해 문제해결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제기 수업이 교사 주도식 수업에 비해 수학적 창의력 신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학적 창의력 하위 요소 중 유창성과 융통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문제해결력 신장과 수학적 창의력 신장을 위해서 학교수업에서 문제제기 수업 활동의 도입을 제언한다.

  • PDF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 O, Yeong-Ye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1 s.18
    • /
    • pp.317-323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조사함으로써 예비 교사를 위한 수학 교육프로그램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 분석에 의하면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수업 수행 능력과 학생들의 학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가 지향하고 있는 교사들에 대한 학습자 중심 수학 수업으로의 개선과 변화된 수업 방식의 지속성에 매우 유효한 요인이 된다. 예비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보통의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특히 상당수의 예비 교사들은 자신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들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현재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수학 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적인 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수학 교육 프로그램의 초점이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 능력의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비 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그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학 교수법적 지식과 매우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담화 중심 초등 수학 수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

  • Kim, Sang-Hwa;Bang, Je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3-34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이 학습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수학교육의 목표로 강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초등학교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방법이나 수업 사례 분석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중에서 담화 중심형 의사소통 수업의 성취 요소와 목표를 고려하여 2 4 6학년 수학 수업을 실시한 후,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담화 중심 수업을 실시한 세 교실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수학수업에서 담화 중심의 수학수업 구현에 관한 시사점과 논의거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on Mathematic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초등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수업의 관계)

  • An Keum Jo;Lee Kyeong Hwa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5 no.1
    • /
    • pp.121-14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and how those reflect their teaching practices. For this goal : (1) Designing questionnaire to measur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2) Inquiring into character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out mathematics after analyzing questionnaire (3) Analyzing two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to understand how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ffect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 PDF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학지도가 문제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 Mun, Seong-Gil;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159-17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업이 수학적 문제해결력과 신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 교수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는 첫째, 개방형 수업 집단과 일반적 수업 집단간에 문제해결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개방형 수업 집단과 일반적 수업 집단간에 수학적 신념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방형 교수법에 의한 수업은 일반적 수업보다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신념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법임을 시사한다.

  • PDF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Heo, Do-Ha;O, Yeo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63-8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 적용 가능한 수학사를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수학사를 활용하는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수학사를 활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에는 교과서를 활용한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중에 수집된 자료는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을 주었으며, 둘째, 학생들이 수학적 논리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상대방에게 정당화하게 하였다. 또한 셋째, 수학사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Practice of Mathematics Lesson-Critique (수학 수업 비평의 실제)

  • Na, Gwisoo
    • School Mathematics
    • /
    • v.15 no.2
    • /
    • pp.369-387
    • /
    • 2013
  • This research intends to give a practice of mathematics lesson-critique and some perspectives on a mathematics lesson i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 carried out a mathematics lesson-critique on a lesson chosen as a good lesson by a local educational district in Korea. The main themes of mathematics lesson-critique were the reconstruction of lesson models, the pursuit of relational understanding, the activa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didactical transformation by a in-service teacher. Meanwhile we confirmed that we need to discuss the properness and adequateness of contents about division of natural numbers give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nd teachers' guide according to the revised 2007 mathematics curriculum.

  • PDF

W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in Lesson Design: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Lesson Plan of Elementary Mathematics (교사가 수업 설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 초등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Sunwoo, Jin;Pang, JeongSuk;Park, Ye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5 no.1
    • /
    • pp.15-36
    • /
    • 2021
  • A well-designed mathematics lesson is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Given this significance, this paper focused on analyzing what would be important elements for in-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7 in-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write down whatever they would consider important in designing a mathematics lesson. A mathematics lesson plan prepared by a pre-service teacher was provided for the in-service teachers. They were then asked to analyze the strengths of the lesson plan and to provide detailed feedback on how to improve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service teachers tended to analyze the given mathematics lesson plan in terms of what they considered important regarding lesson design. Such elements were specified when the in-service teachers described the strengths and feedback for improvement of the lesson plan. In particular, the asp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aterials were explained in detai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oke discussions on lesson design of in-service teachers and subsequent research.

Investigat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involving creative factor in High School (고등학교 수업 실재를 통한 창의 중심의 수학 수업 내실화 가능성 탐구)

  • Hwang, Hye-Jeang;Ko, Ho-Kyoung;Han, Se-Ho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3
    • /
    • pp.745-776
    • /
    • 2010
  • In this research, cases of classes for enhancing mathematical creativity are examined in order to explore how to improve methods of math instructions.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design a creative, efficient math class of superior quality, supplementing the current educational curricula. To this end, features and elements of creative math clas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ssignment characteristics, teacher's role, and teaching environment. Based on these, two high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for case study of creative instructions. By observing and analyzing their classes, the research identified main elements of creative clas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hree categories. The research also explored how to revitalize creative math class by eliciting opinions of resear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ir Mathematics Instructions in the Teaching Practice (교육실습에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 양상)

  • Kim, Hae Gyu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1
    • /
    • pp.1-24
    • /
    • 2018
  • This study included elev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teaching practices held by J Education College in 2015. After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encouraged to self-reflect on their mathematics teaching using a reflective survey sheet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their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imes of their mathematics practice instru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frequency of their mathematics teaching increased, the pre-service teachers'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increased, especially greatly with seven of them. However, the number of subcategories where the teachers'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increased was different from at least two to seven depending on the teacher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who performed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four times used more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than those who did two times or three times. Third, some pre-service teachers who taught two or three times never reached 90% of the total score of any subcategory, even in the subcategory where they showed increase in their uses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tise. Fourth, the subcategory of 'reflection before class - teaching perspective -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was analyzed as the most difficult one for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reason is, they think, that there are not enough materials on the historical back grounds of mathematical concep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