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 부진아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의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

  • 김규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9권
    • /
    • pp.73-81
    • /
    • 1999
  • 7차 교육과정을 시행에 앞서, 현재 초등학생들이 수학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어 떤 이유로 수학에서 학습 부진을 느낄까? 라는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정규교육의 첫 단계인 초등학교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부진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고자 했다. 본 연구대상은 대전 ${\cdot}$ 충남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초등학교 6개 반을 선정하여 발달사고과정에서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는 4학년에서 6학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교과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 대해초등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고, 어떤 교과요인을 학습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중학생 ${\cdot}$ 고등학생 ${\cdot}$ 대학생들까지 연속하여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함이며, 새롭게 시행될 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과 구성면과 수학 학습 및 교수 방법론에 보다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한 노트쓰기활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activity with writing of note for learning of underachievers on mathematics class)

  • 이화연;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77-28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아의 노트쓰기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개별적인 노트쓰기 지도의 효과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를 탐구해 보는 것이다. 충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을 대상 중 학습부진아를 선택하여 연구하였고, 특별한 학생에게 맞춤으로 새롭게 구성한 수학노트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 수업시간이나 그 이후의 시간을 이용하여 스스로 노트를 정리하게 하였고, 일정기간마다 노트를 제출하여 교사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학생의 개별화 지도를 위하여 개인적으로 수학노트 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수학학습부진아들의 학습 태도와 흥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과 학습 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 방법 -고등학교 중심- (The Effective Method for the Underachievers - focused on high school-)

  • 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27-51
    • /
    • 2001
  •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of seeking and developing the efficient method for the students suffering from the problem “underachievement”, by improv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by increasing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and desire to study, and by changing their weak and poor teaming attitudes into desirable and positive ones.

  • PDF

제곱근의 뜻과 성질에 대한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 분석 (Analyzing Errors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Square Root of Positive Numbers and Related Calculations)

  • 도종훈;권오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21
    • /
    • 2019
  • 학교 교육에서 수학은 학습 부진의 문제가 가장 심각한 교과 중 하나이다. 특히 중학교 수학은 초등학교 수학과 고등학교 수학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비형식적 수학에서 형식적 수학으로 전환되는 시기에 위치해 있어 이 시기의 학습 부진은 이후의 수학 및 수학 관련 교과 학습에서 지속적인 부진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점에서 중학교 수학의 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 부진의 실태와 그 원인의 분석은 학생들의 미래 수학 학습을 위한 토대 마련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 시기와 내용의 계통성 측면에서 중학교 3학년 수학의 출발점이자 근간에 해당하는 제곱근의 뜻과 성질 이해 및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 학습 부진 학생들의 오류를 조사하고 그 유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근호 ${\surd}$를 괄호 ( )처럼 인식하는 오류나 $x=-2{\pm}{\sqrt{10}}$ 을 x=-2 또는 ${\pm}{\sqrt{10}}$ 으로 인식하는 오류는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뜻밖의 오류로서 본 연구와 같은 오류 분석 연구가 보다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사례라 할 수 있다.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9권
    • /
    • pp.219-226
    • /
    • 1999
  • 실업계 고등학교출신, 직장을 다니다 뒤늦게 진학한 학생, 수학성적 때문에 야간학과를 택한 학생들의 수학학습능력이 대학수학을 공부하기에는 부족함을 그들의 의견과 기초학습능력 검사와 수업을 통해 확인해보고 그들을 위한 수업지도 방법과 심리적 치료법을 곁들여 좋은 수업환경을 만들고 수업에 대한 반응으로부터 그들만을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수준에 맞는 교재를 만들어 ‘99학년도 2학기부터 시행에 본다음 종합적인 분석을 하여 계속된 현장연구 결과와 함께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대학수학 수업모델을 만든다.

  • PDF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의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메타인지 활동 분석 (The Analysis of Metacognitive Activity Through Writing Using CAS Calculator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4호
    • /
    • pp.531-545
    • /
    • 2010
  • 본 논문은 중학교 수학학습부진아가 대수 학습에서 CAS 계산기를 사용한 활동을 하여 어떠한 메타인지 활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한 그룹은 처치그룹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그룹은 통제그룹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각 그룹 학생들의 활동지를 살펴본 결과, 처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메타인지 활동이 더 활발히 일어났으며 몇 가지 측면에서 더 나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 수업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the Storytelling Teaching on the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Underachieved Students)

  • 김명길;김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3-45
    • /
    • 2019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 수학 수업을 통하여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학 성적이 하위 20% 이하인 학생 5명을 선정하여 함수 단원의 스토리텔링 학습자료를 구성하여 18주동안 36시간의 수업을 진행한 후, 수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 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 사후 설문의 평균이 증가하였고, SPSS 대응표본 t-검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여러 세부 항목들을 각각 분석한 결과 '학습 기술 적용'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흥미도', '자율 학습' 순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스토리텔링 수업이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학학습부진아의 CAS을 도입한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한 성차분석 (The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 on mathematics achievement after learning using CAS on mathematics underachiever)

  • 김인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57-180
    • /
    • 2011
  • 본 논문은 CAS 계산기를 사용한 학습을 하고난 후의 고등학교 수학학습부진아 중 남녀 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학학습부진아를 선정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한 집단은 처치집단으로 지필과 CAS 계산기를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고,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필만을 사용하여 활동지를 학습하였다. 이러한 학습의 전과 후에 지필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 학생들의 수학학업성취도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처럼,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처치집단의 남학생과 통제집단의 남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와 처치집단의 여학생과 통제집단의 여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 비교에서는 모두 처치집단의 학생들이 더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basic mathematic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university general mathematics)

  • 표용수;박준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25-541
    • /
    • 2010
  • P대학에서는 교양수학 교과에 대한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하여, 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수학카페 운영과 함께, 기초수학 특강, 개인지도 및 컴퓨터 활용학습 등을 시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름 및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기초수학 특강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중심으로 수학에 대한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기초수학 학습지도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함수 학습에 나타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rror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n Function Learning)

  • 심상길;최재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75-288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 학습부진아들이 중학교 함수를 재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사례별로 분석하여 그 원인을 수학과 특성, 함수학습에서의 오류 유형 등과 결부시켜 논의를 하였다.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다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에서 학습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주어진 문제에서 요구하는 풀이나 답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자신에 옳다고 생각하는 부분까지만 풀거나 주어진 문제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 자신이 생각하기 편리한대로 해석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하고, 문제를 이해하고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무엇을 구해야하는지 학생 스스로 알 수 있도록 돕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현실적인 문제에서 시작하여 그 내용을 이해시킨 후 특수한 예를 통해 일반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 등 수학 학습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