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수학화

검색결과 1,238건 처리시간 0.027초

통계 자료의 정리와 표현에서 중학생들의 기호화와 해석화 과정 분석 (Analysis on the process in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ed and interpreted statistical data)

  • 김선희;이종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463-483
    • /
    • 2003
  • 수학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은 기호를 표현하고 해석하는 활동을 경험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활동을 수학기호의 기호화와 해석화라 하고, Peirce의 삼원적 기호 모델을 토대로, 학생들이 "키가 크면 발도 크다"라는 대상체에서 상관관계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도록 표현체를 구성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은 통계 자료를 정리하고 자신만의 기호를 만든 후 전체 학급토론을 통해 규약적 기호가 무엇인지 학습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교사의 의도에 포함되지 않았던 세부적인 기호화와 해석화를 이행하고, 기존 기호형판에 의존했으며, 자발적으로 반성의 해석화를 하였다. 수학 학습에서 기호화와 해석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볼 때, 수학 학습 지도에서는 수학기호의 표현과 의미가 함께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기호의 사용과 해석에 대한 교사의 안내 그리고 해석체와 표현체의 협상과 규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학생들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삼각함수 학습지도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 최종술;김향숙;김부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6권
    • /
    • pp.123-137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삼각함수의 학습에 테크놀로지가 기여할 수 있는 방법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효과를 명시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가 삼각함수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네 가지 방법론적인 면을 '수학과 학생들의 실제 경험의 연결',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 관계의 구체화',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 '사고력 중심의 수학교육 추구'의 관점에서 논한다. 이 네 가지 방법론적인 측면 중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관계의 구체화'와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을 중심으로 삼각함수의 학습법을 예시하면서 이 두 가지 방법이 어떻게 인지적으로 기여하는지를 보여준다.

  • PDF

수학적 모델링에서 스프레드시트 환경이 수학적 모델의 정교화 과정에 미치는 역할 (The Role of Spreadsheet in Model Refinement in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y)

  • 손홍찬;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4호
    • /
    • pp.467-486
    • /
    • 2007
  • 이 논문은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에서 스프레드시트 환경이 수학적 모델의 정교화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고찰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살피면 수학적 모델링에서 스프레드시트 모델의 활용은 학생이 분석 불가능한 수학적모델도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모델을 단순화하지 않고, 대신 모델을 정교화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학적 개념을 확장해 나갈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수학적 모델을 스프레드시트 모델로 변환하여, 수학적 모델로부터 수학적 결론을 얻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실세계 상황을 해석하고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명사화의 관점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교과서 문장제 분석 (Analysis of Word Problems in the Domain of 'Numbers and Operations' of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Nominalization')

  • 장혜원;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395-410
    • /
    • 2022
  • 명사화는 문법적 은유 중 하나로, 동적 표현을 명사 상당 어구를 통해 표현하는 것이다. 수학 문장제에서 명사화를 사용한 문장 표현은 수학화 단계에서 주목해야 할 대상을 분명하게 한다는 장점과 일상적 표현과 달리 문장의 이해를 어렵게 하고 온전한 수학적 모델링 단계의 경험을 저해한다는 단점을 모두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시 학생들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문장제 해결과 관련하여, 언어학적 요소인 명사화의 관점에서 교과서 문장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수와 연산 영역에 포함된 연산 관련 문장제 341개의 명사화 유형을 학년군별, 차시 활동과 단원 평가, 특화 차시별, 수식화에 대한 명시적인 요구 문장제의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수학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과 관련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 및 활용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Factors and the Application of Mathematical Visualiz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 주홍연;권혁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1호
    • /
    • pp.1-28
    • /
    • 2012
  • 본 연구는 30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통해서 수학적 시각화의 구성 요소를 알아보고, 시각화 구성 요소들이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히, 30명의 학생들 중 시각성 평가가 높은 5명의 학생들에 대해서 질적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시각화의 구성 요소는 크게 정신적 이미지, 외적 표상, 이미지의 변형 및 조작, 공간 시각화 능력으로 범주화 (Guti$\acute{e}$rrez, 1996) 되었고, 각 요소마다 더 세분화되어져 나타났다. 또한,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시각화 요소들은 외적 표상을 생성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정신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있었고, 정형화된 정신적 이미지의 경우 문제 해결에 대한 학생들의 풍부한 사고를 억제하고 문제에 대한 부적절한 풀이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차원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이미지 변형 및 조작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있었으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답을 추론하기 위한 이미지 탐색 활동과 도출된 답의 정당화를 위해서 이미지 조작 활동을 활용하고 있었다.

  • PDF

수학화 경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수학적 능력 및 수학화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Abilities and Mathematization in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Elementary Students)

  • 김윤진;김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3호
    • /
    • pp.345-365
    • /
    • 2006
  • This study, to effectively teach the concepts, principle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2nd graders' learning of numbers and operations, offers realistic problem situation and focuses on the learning based on 'mathematiz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inciples of RME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the mathematics education trend of Netherlands influenced by Freudenthal's theory. The instruction is applied to forty-one students of the 2nd grader for six weeks in twelve serie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abilities, the group takes test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sing aspects through students' output at the instruction process is taken into account to evaluate the instruction's effects. The result shows that the mathematising experience instruc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abilities is proved to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in learning numbers and operations after carrying out this instruction.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mathematising aspects are mostly horizontal and vertical mathematization.

  • PDF

수학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의 해결 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3rd Graders' Solving Processes of the Word Problems by Nominalization)

  • 강윤지;장혜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83-97
    • /
    • 2023
  • 명사화는 문법적 은유 중 하나로, 수식으로 변환해야 하는 대상의 수학화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과 함께 복잡하고 압축된 문장 구성으로 인해 문장 이해를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명사화가 실제 학생들의 문장제 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명사화 여부에 따른 사칙연산 문장제 8개를 제공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는 문제 이해 및 수식화 가능 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검사에 참여한 학생에게 명사화에 대한 사전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이해 단계에서 명사화 또는 탈명사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명사화의 유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성공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수식화 단계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사화가 문장제의 문제 이해 및 수식화 단계에서 교수학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문장제의 학습에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 its Validity)

  • 옥보명;이창연;류병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233-25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불안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계획·실행을 위한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설명하고,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로 수학교과, 수학태도, 수학시험, 환경 등 4개 요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중학생용 수학불안 검사 도구 MASS-M이 개발되었다.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 요인으로서 '수학시험' 요인, '환경' 요인, 특히 수학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교과' 요인과 심리적 처치를 설명하는 '수학태도' 요인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MASS-M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타당화한 검사 도구로써,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련 연구에 일관성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중학생의 수학불안을 처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새 천년 수학교육의 민주화를 위하여 나아갈 방향

  • 고상숙;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1권
    • /
    • pp.437-450
    • /
    • 2001
  • 본고는 ICME-9에서 발표되었던 Alan Bishop과 B. D‘Ambrosio의 논문을 중심으로 미래의 수학교육방향을 고찰해보고자 시도되었다. 민주화는 교육의 한 측면으로 항상 제시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수학 교육에서는 명확하게 제시되어진 일이 거의 없다. 우리 모두가 여전히 수학은 일부 공부 잘하고 머리 좋은 사람들만이 잘 할 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하여왔고 그러한 생각은 학교 졸업 후 사회에 나가서도 특권의식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수학이 메마르고 특권주의적 과목이 아닌 보편적이고 민주적인 과목 즉, “모두를 위한 수학교육”이 되어야 함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 PDF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쓰나미를 소재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Gifted Students by Using Mathematical Modeling -Focus on Tsunami-)

  • 서지희;윤종국;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785-799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 수업이 수학 영재 학생들에게 문제해결의 기회를 제공하고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통해 다양한 수학적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정 하에 중학교 3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자료를 적용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수학적 모델링의 단계별 활동과정을 살펴보고 각 단계에서 어떠한 수학적 사고능력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능력이 나타났는데 문제를 이해하는 실세계 탐구과정에서는 정보의 조직화 능력이, 상황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직관적 통찰능력, 공간화/시각화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반성적 사고 능력이 나타났다. 수학모델 개발과정에서는 수학적 추상화 능력, 공간화/시각화 능력, 수학적 추론 능력,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으며 모델적용 과정에서는 일반화 및 적용 능력과 반성적 사고가 나타났다. 모델링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반성적 사고능력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